명왕성 34

Pluto의 다섯번째 달

왜소행성 플루토 주변을 공전하는 다섯번째 위성이 발견되었다. 이 위성은 2015년 플루토에 도착할 예정인 뉴호라이즌 호의 임무를 돕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이 이달 초에 촬영한 사진에서 발견되었다. 사진에서 이 위성은 왜소행성 플루토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아주 작은 점처럼 보이며, 이 일련의 천체들은 태양 주위를 천천히 공전하고 있다. 임시적으로 S/2012 (134340) 1 로 기록되고 사진에서는 P5로 라벨링된 이 위성의 지름은 대략 15킬로미터이며 대부분 얼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플루토는 아직 어떤 탐사선도 방문하지 않은 태양계의 가장 유명한 천체이며, 따라서 그 기원과 세부적인 모습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7월 16일 자) http..

플루토 제 4 위성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닉스와 하이드라는 2005년 5월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플루토의 두번째, 세번째 위성으로서 처음 소개되었다. 여기 이 허블의 사진은 이 얼음덩어리 왜소행성의 4번째 위성을 보여주고 있다. P4로 임시 명명된 이 위성은 플루토 궤도를 약 31일 단위로 공전하고 있다. 현재 플루토의 위성중 가장 작고 희미한 위성으로 알려진 P4의 지름은 약 13에서 34킬로미터 정도로 예측되고..

Orcus

태양계 외곽, 명왕성의 반대편에서 새로운 천체가 발견되었다. 90482 오르쿠스(90482 Orcus)가 처음 발견되는 때는 2004년이며, 현재까지 카이퍼 밸트에서 가장 큰 천체로 알려져 있는 명왕성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오르쿠스 역시 언젠가는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명왕성과 같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오르쿠스와 명왕성은 유사한 공전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두 왜소행성이 가지는 태양과의 최단 및 최장거리가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그 궤도 역시 동일한 타원형 궤도를 가지고 있고, 태양계의 여타 행성의 공전면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기울기 역시 동일하다. 이 왜소행성들은 해왕성의 거대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해왕성이 3번 태양주변을 공전하는 동안에 2번 태양을 공전하고 있다. 그런데 ..

허블망원경을 통해 이룩한 과학적 발견 -12-

각종 소행성의 발견 명왕성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한 쌍의 작은 위성이 발견되어 '닉스(Nix)'와 '하이드라(Hydra)'로 명명되었다. 이 사진은 2005년에 촬영되었는데, 이들 위성들은 명왕성보다 대략 5천배 희미한 밝기를 가지고 있으며, 1978년 발견된 명왕성의 최대 위성인 카론(Charon)이 명왕성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보다 2~3배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 허블은 명왕성과 그 외각의 얼음 천체를 연구하기 위해 태양계 변두리를 탐사했다. 그리고 이러한 와중에 명왕성의 주위를 공전하는 새로운 위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닉스'와 '하이드라'로 명명된 이 위성들은 명왕성의 유일한 위성으로 알려진 카론과 같은 색깔을 띄고 있다. 이들 위성들이 같은 색깔을 띄고 있다는 점은 수십억년전 이들 위성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