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마스 12

토성에 다가서다.

Video Credit & Copyright: Cassini Imaging Team, ISS, JPL, ESA, NASA, S. Van Vuuren et al.; Music: Adagio for Strings (NY Philharmonic) 우주선에서 토성으로 접근한다면 어떤 모습을 보게 될까? 그저 상상만 할 필요는 없다. 지난 2004년 카시니호가 실제 이 일을 해 냈으니 말이다. 당시 카시니호가 토성에 접근하면서 수천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공전궤도에 진입한 후에는 수십만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이 동영상은 카시니 호가 초기에 촬영된 사진들을 아웃사이드 인(Outside In)이라는 제목의 IMAX 영화를 만들기 위해 큰 사이즈의 사진으로 재가공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재보정하여 만든 것이다. 마지..

미마스 컬러 지도 - 2014

NASA의 카시니호가 10여년동안 토성계를 탐사하면서 촬영한 사진들을 이용하여 토성의 위성인 미마스의 전역 컬러 지도가 만들어졌다. 이 지도는 카시니의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진 토성의 위성들에 대한 최초의 전역 컬러 지도이다. 사진에 보이는 색체는 모두 인위적으로 과장된 것이며 인간의 육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인 자외선과 적외선 영역까지를 담고 있다. 미마스의 가장 거대한 충돌 크레이터인 허셜 크레이터를 제외하고 지도상에 보이는 드라마틱한 구조는 미마스의 공전방향 반구의 적도대를 구성하고 있다. 카시니호가 발견한 이 적도대는 그 주변 지형보다 자외선 영역에서 현저하게 더 밝은 양상을 보이며 사진에서는 약간 푸른 빛으로 나타나있다. 테티스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존재하는 이 구조는 토성의 자기장에 포섭된 ..

지난 10년간 토성 위성의 변화.

두 대의 보이저호가 1980년대 초 토성을 짧게 스쳐간 이래 과학자들은 더 많은 정보에 굶주려왔다. 두 대의 보이저 호는 토성의 얼음 위성들인 이 새로운 세상에 대해 짧은 영상들을 제공해주었으며 과학자들은 이 위성들 사이에서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했다. 그리고 보이저 호의 계승자인 NASA의 카시니호는 지난 10여년 동안 토성과 그 위성들의 주변을 여행하면서 여러 사진들과 데이터들을 수집하였다. 이 와중에 취합된 소중한 데이터들로부터 만들어진 천연색 지도들은 토성의 6개 주요 위성들에 대한 전역 지도가 제작됨으로써, 카시니호의 수많은 목표중 하나가 기본적으로 충족되었음을 보여준다. 연무에 뒤덮혀 있는 타이탄을 제외한 미마스, 엔켈라두스, 테티스, 디오네, 레아, 이아페투스, 이상 6개의 ..

테두리를 두른 토성

거의 우리쪽으로 모서리를 드러내보이고 있는 고리에 둘러싸인 토성과 함께 테티스가 사진 우측 하단 모서리에 크게 밝은 점으로 보이고, 토성의 고리 바로 위 4시 방향으로 살짝 초승달 모양의 미마스가 보인다. 고리의 그림자가 토성 표면에 드리워지면서 하나하나의 고리가 섬세하게 나타나고 있고, 이 그림자가 토성의 남극 주변을 휘감고 있다. 비록 토성의 고리와 비교적 큰 규모를 지닌 토성의 위성들이 토성의 적도면에 바짝 붙어 공전하고 있지만, 이 사진은 이들이 모두 공전면에 정확하게 도열해 선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그 증거의 일부인 미마스(지름 396킬로미터)와 테티스(지름 1062킬로미터)가 사진에서 토성 고리의 위와 아래에 위치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이 위성들의 공전궤도가 토성고리에 비해 약간씩 ..

미마스 : 거대한 크레이터를 품은 작은 위성

미마스와 충돌한 것이 무엇이었던 간에 미마스를 거의 파괴지경까지 몰고갔을 것이다. 그 결과 남아 있는 것이 이 토성의 가장 작은 위성 상에 있는 가장 거대한 충돌 크레이터 중 하나이다. 1789년 미마스의 발견자인 윌리엄 허셜 경의 이름을 따 허셜 크레이터라 명명된 이 크레이터의 직경은 130킬로미터이며 이 사진에 그 모습이 보이고 있다. 미마스의 약한 중력은 표면을 구체로 유지할 수 있을만큼만 유지되고는 있지만, 그 중력이 너무나 약해서 표면에 이처럼 상대적으로 큰 구조물이 남아 있는 상태이다. 미마스의 대부분은 물로된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주 소량의 바위들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확히 기술하자면 거대하고 먼지 투성이인 눈뭉치라 할 수 있다. 이 사진은 현재 토성 궤도를 공전중인 카시니호가 2..

토성의 풍경

미마스의 그림자가 토성을 가로질러가는 동안 토성의 위성 야누스가 토성의 북극 부근에 보이고 있다. 야누스는 토성 북극 바로 위에 아주 희미한 점으로 보인다. 미마스의 그림자는 토성의 남반구, 토성 고리 바로 남쪽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사진은 목성의 고리 평면 25도 아래 지점에서 태양빛을 받지 않는 토성 고리를 바라보며 촬영한 것으로 카시니호의 가시광 광대역 카메라로 2012년 8월 24일 촬영되었다. 이 사진을 촬영할 당시 카시니 호는 토성으로부터 260만 킬로미터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태양 - 토성 - 카시니호 순으로 정렬한 상태였다. 카메라의 화각은 80도이며, 한 픽셀은 152킬로미터를 담고 있다. 사진에서 야누스는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토성에 비해 1.3배 정도 밝기를 인위적으로 강화시킨..

토성 위성에 패크맨 모양으로 나타나는 열 분포차

NASA의 카시니호 미션에 동참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토성의 위성들에서 1980년대 비디오 게임의 아이콘인 '패크맨'을 닮은 두 개의 형상을 잡아냈다. 그 중 하나는 이미 2010년 미마스에서 관측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테티스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 패턴은 카시니호가 적외선분광계를 통해 얻은 열 분포양상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여기서 좀더 높은 온도를 가진 지역이 패크맨 모양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과학자들이 테티스에서 이 패크맨 모양의 데이터를 얻어낸 것은 2011년 9월 14일이었다. 패크맨 모양의 입 안쪽에 해당하는 곳의 낮기온은 주변에 비해 52도 정도 낮은온도를 보이고 있었다. 가장 온도가 높은 지역은 영하 184도(90K)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미마스의 패크맨 모양은 2010년 2월 1..

미마스(Mimas)

사진 상단에 보이는 토성의 달인 미마스는 자신의 모행성으로 인해 너무나 작은 난쟁이처럼 보인다. 미마스(지름 396킬로미터)가 토성의 남반구와 북반구에 또렷이 보이는 폭풍들과 비교했을 때 너무나 애처롭게 보인다. 이 사진은 태양빛을 받지 않는 토성 고리의 하단 18도 위치에서 올려다보는 각도로 촬영되었다. 토성의 북반구가 상단에 위치하며 27도 왼쪽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이 사진은 카시니호에 장착된 와이드행글 카메라로 촬영되었으며 752나노미터에 해당하는 근적외선 파장을 고감도 분광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것이다. 사진을 촬영할 때 카시니호는 토성으로부터 2400만 킬로미터 커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태양 - 토성 - 카신호 순서대로 정렬한 상태였다. 사진의 화각은 64도이며, 한 픽셀당 140킬로미터를 담..

토성과 위성들

토성은 얼마나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을까? 지금까지 발견된 것은 62개인데, 가장 작은 것은 지름이 1킬로미터 남짓한 것들도 있다. 그러나 3월 9일 촬영된 토성 및 토성의 가족사진에는 규모가 가장 큰 6개의 위성만이 보인다. 지구의 달보다는 크고 심지어는 수성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의, 직경 5150킬로미터의 타이탄이 가장 하단 왼쪽에 보인다. 타이탄부터 시작해서 오른쪽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보이는 위성은 각각 미마스, 테티스, 엔켈라두스, 다이오네, 레아이다. 토성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위성인 타이탄은 1655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인 크리스챤 하위헌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발견된 'S/2009 S1'으로 명명된 위성은 카시니 호에 의해 2009년 발견되었다. 오늘밤 토성은 지구의 밤하늘에서 태양..

미마스의 허셜 크레이터

토성의 위성인 미마스에 있는 이 거대 크레이터는 왜 이토록 기이한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일까? 미마스는 토성의 소규모 위성 중 하나임에 반해 미마스의 특징인 허셜 크레이터는 태양계를 통털어 대규모의 충돌 크레이터 중 하나이다. 불과 한 달 전 토성궤도를 공전중인 카시니호가 1만킬로미터 거리에서 미마스를 통과하면서 촬영한 이 사진에는 허셜 크레이터의 유례없이 생생한 모습이 담겨있다.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 인위적인 착색을 가한 이 사진에는 이전에 미마스의 이미지로부터 얻은 색채정보를 포함하여, 주변의 좀더 어두운 톤을 띠는 크레이터들에 비해 밝은 톤을 띠고 있는 허셜 크레이터의 색채가 잘 대비되어 나타나 있다. 이 색채의 차이로부터 지표의 조성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미마스가 겪어온 격렬한 충돌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