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 10

별자리를 찾아서 2. 누가 선을 그었는가?

예전에 '별자리가 형태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오해에 대해' 쓴 적이 있습니다. 그 이야기를 조금 더 해 보고자 합니다. 별자리가 형태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오해를 하게 만드는 원인이 어디에 있을지 생각해 봤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그 원인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째는 별자리를 시기 별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별자리를 인식할 때 별자리 선에 무의식적으로 얽매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첫째. 별자리를 시기 별로 구분하지 않는 점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혹시 '프톨레마이오스자리'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는지요? 프톨레마이오스자리란 고대의 별자리로서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인 알마게스트를 통해 전하고 있는 별자리입니다. 제가 앞서 글에서 소개한 '아모르포토이'라는 단어는 바로 이 프톨..

쌍둥이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

쌍둥이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기 목록은 첨부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 대상 분류 밝기 각크기/각분리 거리(광년) 적경 적위 딥스카이원더스 출처 찾아가는 방법 1 M35 산개성단 5.1 28' 2,600 6시 09.0분 +24° 21' 3월 1장 쌍둥이자리 에타별 및 1별과 함께 직각삼각형을 구성함. M35는 직각 꼭지점 지점에 있음. 2 오토스트루베 134 (OΣ 134) 이중별 7.6, 9.1 31" 2,600 6시 09.3분 +24° 26' 3월 1장 M35에서 북동쪽 끄트머리에 있는 금빛 색조의 밝은 별. 3 NGC 2158 산개성단 8.6 5' 12,000 6시 07.4분 +24° 06' 3월 1장 M35의 남서쪽 경계 옆에 작은 ..

별자리의 기원

이하 내용은 국제천문연맹(IAU)에 게시된 '별자리의 기원'을 번역한 것입니다. 지구에 인류가 출현한 이래 하늘에 있는 천체들에 위대한 상징이 부여되었습니다. 인류의 역사와 수많은 문화권을 통틀어, 별자리의 이름과 신화들이 별들이 늘어선 패턴에 부여되어왔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별자리는 바로 이로부터 탄생한 것입니다. 처음으로 별자리가 기록된 것은 언제일까요?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프랑스 남부 라스코 동굴에 천문학적 상징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림이 있다고 합니다. 이 그림은 17,300년 전 우리 조상들이 동굴 벽에 밤하늘의 모습을 기록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림에는 플레이아데스성단이 히아데스성단과 함께 나란히 그려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정말 17,000년 전에 그려진 이 그림이 처음으로 별의 패턴을..

삼각형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

삼각형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기 목록은 첨부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 대상 분류 밝기 각크기/각분리 거리(광년) 적경 적위 딥스카이원더스 출처 찾아가는 방법 1 M33 은하 5.7 71' x 42' 2,500,000 1시 33.9분 +30° 40' 1월 4장 삼각형자리 알파별의 서북서쪽 4.3도 지점 2 NGC 604 무정형성운 10.5 1.0' x 0.7' 1시 34.5분 +30° 47' 1월 4장 M33 내부의 별생성구역, M33의 중심에서 북동쪽으로 12분 거리, 11등급의 별 바로 옆. 3 콜린더 21 (Collinder 21) 자리별 8.2 7.0' 1시 50.2분 +27° 05' 1월 4장 삼각형자리 알파별에서 남남서쪽 2.5도..

페가수스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

페가수스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기 목록은 첨부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 대상 분류 밝기 각크기/각분리 거리(광년) 적경 적위 딥스카이원더스 출처 찾아가는 방법 1 M15 구상성단 6.2 18.0' 33,600 21시 30.0분 +12° 10' 11월 6장 페가수스자리 세타별에서 엡실론 별까지 선을 긋고 이 선을 반 정도 더 늘린 지점. 2 피스 1 (Pease 1) 행성상성운 14.7 1" 21시 30.0분 +12° 10' 11월 6장 구상성단 M15내에 있는 행성상성운, 산소III성운필터 필요 3 NGC 7094 행성상성운 13.4 94" 21시 36.9분 +12° 47' 11월 6장 M15에서 동북동쪽 1.8도 지점. 협대역필터 또는 ..

돌고래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

돌고래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기 목록은 첨부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 대상 분류 밝기 각크기/각분리 거리(광년) 적경 적위 딥스카이원더스 출처 찾아가는 방법 1 NGC 6891 행성상성운 10.4 18" 20시 15.2분 +12° 42' 10월 7장 돌고래자리 에타별에서 정서방향으로 3.5도 지점에 이중별 스트루베 2664가 있음. 이 이중별에서 서남서쪽 1.1도 지점. 0.5도 길이로 도열한 8등급에서 10등급의 별들이 만드는 일직선 상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별'의 모습을 하고 있음. 2 스트루베 2664 (Σ2664) 이중별 8.1, 8.3 28" 20시 19.6분 +13° 00' 10월 7장 돌고래자리 에타별에서 정서방향으로 3...

알마게스트의 48개 별자리 -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별자리 목록

No별자리그리스어표기그리스어 발음별 숫자아모르포토이IAU표기약어1거문고Λύρα뤼라10 LYRALyr2게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94CANCERCnc3고래Κῆτος케토스22 CETUSCet4궁수Τοξότης톡소테스31 SAGITTARIUSSgr5까마귀Κόραξ 코락스7 CORVUSCrv6남쪽물고기Ἰχθύς Νότιος이크튀스 노티오스116PISCIS AUSTRINUSPsA7남쪽왕관Στέφανος Nότιος스테파노스 노티오스13 CORONA AUSTRALISCrA8독수리Ἀετός아에토스96AQUILAAql9돌고래Δελφίν델핀10 DELPHINUSDel10땅꾼Ὀφιοῦχος 오피우코스245OPHIUCHUSOph11마차부Ἡνίοχος히니오코스14 AURIGAAur12목동Βοώτης보오테스221BOOTESBoo..

아모르포토이(αμορφωτοἰ)

별자리에 속하는 별이지만 별자리의 형태를 구성하지 않는 별들을 일컫는 고대 그리스어. 아모르포토이(αμορφωτοἰ)는 별자리에 속하는 별 중에 별자리의 형태를 구성하지 않는 별들을 일컫는 고대 그리스어이다. ​ 이 단어는 단어 자체의 의미보다 이 단어가 성립되려면 '별자리는 특정한 형태를 띠고 있다.'라는 명제가 먼저 성립되어야 쓸 수 있는 단어라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 현대 천문학은 별자리를 영역의 개념으로 본다. 즉, 형태로서의 별자리가 아닌, 하늘을 측량하여 경계를 지은 개념으로 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은 '오리온 자리'를 나타내는 별지도이다. 그림 설명> 국제천문연맹에서 제공하는 '오리온자리' 별지도 ​ 현대 천문학에서의 오리온 자리는 이 그림에서 밝은 영역을 말한다. 눈에..

오리온 벨트의 남쪽 지역

이 사진에서 오리온 벨트를 찾을 수 있는가? 육안으로 쉽게 관측되는 오리온 벨트로 알려진 이 친숙한 3개의 별은 이 사진의 상단 왼쪽에 위치해 있다. 한편, 오리온 별자리의 남쪽 구역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는 오리온 벨트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알니탁 (Alnitak) 부근을 고감도 광대역 사진으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알니탁의 왼쪽에 나타나고 있는 것은 불타오르고 있는 성운으로서 검은 먼지 선들과 함께 밝은 복사를 방출하는 구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알니탁의 바로 아래를 확대해서 관찰하면 말머리 성운을 볼 수 있다. 오리온 성운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좀 떨어진 곳에는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M42가 자리잡고 있다. 이 사진에서 오른쪽 하단에 가장 밝게 나타나고 있는 별이 리겔(Rigel)이다.이 밝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