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s 152

샤프 산

이 사진은 큐리오시티호의 마스트캠으로 촬영한 샤프산의 모습으로, 카메라에 기록된 원색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원색의 사진이라 함은 일반적인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했다면 보였을 색체를 그대로 보여준다는 것으로서 일체의 보정이 가해지기 전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에올리스 몬스(Aeolis Mons)라 불리기도 하는 샤프산은 2012년 8월 큐리오시티호가 착륙하여 탐사임무를 수행중인 게일 크레이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 크레이터 바닥면으로부터 5킬로미터 이상의 높이로 솟아있다. 비록 지금 큐리오시티호는 과거에 미생물들이 서식했을만한 증거가 발견된 '옐로우나이프 베이'라는 곳에서 좀더 많은 시간을 보낼 예정이지만 샤프산의 완만한 경사면은 큐리오시티호의 임무를 수행할 주요 목적지이기도 ..

화성 착륙 9주년을 맞는 오퍼튜니티호

오퍼튜니티 호가 화성에 착륙한 것은 지난 2004년 1월 25일로서 오늘이 착륙 9주년 되는 해이다. 애초에 오퍼튜니티호에 부여된 임무는 3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탐사였으나 화성 날짜 기준으로 3200일이 넘었음에도 이 골프 카트 정도 크기의 탐사로봇은 아직도 붉은 해성 화성을 왕성하게 탐사하고 있다. 이 사진은 오퍼튜니티호가 착륙지역으로부터 총 35킬로미터를 이동한 거리에서 담아낸 사진으로 지난 해 11월과 12월에 촬영되었다. 디지털로 이어붙인 이 파노라마 사진은 엔데버 크레이터의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늘어선 마티제빅 언덕을 210도각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 형태를 따서 코퍼(솥) 클리프라는 이름이 붙은 검은 돌출부가 왼쪽으로 보이고 화이트워터 레이크라는 이름이 붙은 밝은 돌출부가 오른쪽 멀리 보이고 ..

큐리오시티의 동선 지도

이 지도는 큐리오시티가 '브래드버리 착륙장'이라는 이름이 붙은 착륙지점부터, 화성 도착 후 130화성일이 지난 2012년 12월 17일 도착 지점까지의 궤적을 그린 지도이다. 확대 상자에서는 가장 최근 이 지역을 가로지른 발자취가 세부적으로 나타나 있다. 큐리오시티는 화성에 도착한 후 125 화성일이 지난 12월 12일에 '엘로우나이프 베이'라고 불리는 약간의 침하지대로 들어서서 26.1 미터를 움직였다. 그리고 127일째인 12월 14일에는 32.8미터를 그리고 3일뒤엔 5.6미터를 이동했다. 옐로우나이프 베이는 큐리오시티가 드릴 작업을 수행할 첫 번째 바위가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이다. 이 분지의 지면은 큐리오시티가 브래드버리 착륙장으로부터 가로질러온 곳의 지형과는 다른 형태를 가진 지형이다. 화..

화성의 상승온난 기류가 만들어내는 대기의 흐름

이 삽화는 화성의 '상승온난기류'를 표현한 것으로서 화성 표면에 나타나는 기압의 일변화 양상을 행성 전체 스케일의 기후현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태양빛은 화성 주간 반구의 표면과 대기를 데워 상승기류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상승한 기류는 높은 고도에서 대기를 불쑥 치솟아 오르게 만들고 이것이 대기압의 평준화 방향인 붉은 색 화살표 방향으로 퍼져나가게 된다. 대기가 불룩하게 치솟아 오른 부분에서 퍼져나가면서 그 아래에서는 대기압이 낮아지는 현상을 겪게 된다. 그 결과 대기는 화성의 반대편 야간 반구보다 훨씬 두껍게 쌓여있지만 화성 표면 부분에서는 훨씬 적은 밀도와 기압을 받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화성이 자전을 하는 동안 부풀어오른 대기 부분 역시 동쪽에서 서쪽으로 매일 이동을 계속한다. NASA의 큐리오시티 ..

화성의 암맥 홈스테이크(Homestake)

이 사진은 NASA의 화성 탐사로봇인 오퍼튜니티호가 2011년 11월 엔데버 크레이터의 서쪽 가장자리, 캐이프욕(Cape York) 구역의 북쪽 가장 자리에서 홈스테이크(Homestake)라고 명명된 무기질 암맥을 촬영한 것이다. 이 암맥은 엄지손가락 정도의 굵기에 45센티미터 길이로 사진에는 그 일부분이 담겨 있는 것이다. 사진에서는 밝은 암맥 위로 미묘한 선형 질감도 보이는데, 이 사진은 오퍼튜니티 호의 현미경 촬영기로 세부 모습을 촬영하고 파노라마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의 색체를 강화하여 이를 합성한 것이다. 사진이 담고 있는 폭은 5센티미터이다. 이 사진을 촬영한 날은 오퍼튜니티호가 화성에서 임무를 시작한지 2766일째가 되는 2011년 11월 4일이었고,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오퍼튜니티 호에 완전..

화성 탐사선 스피릿 호의 맥머도 파노라마 사진

이 사진은 NASA 의 스피릿 호가 스스로를 촬영한 자화상으로서 스피릿 호에 탑재된 파노라마 카메라(Pancam)를 이용하여 촬영한 360도 맥머도 파노라마 사진이다.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 스피릿 호는 로우 릿지(Low Ridge)라고 불리는 조그만 언덕에 머무르고 있었다. 그곳에서 스피릿 호는 화성 남반구가 겨울을 지나는 동안 과학탐사 임무를 계속 수행할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태양전지판을 태양으로 향한채 머무르고 있었다. 스피릿 호와 스피릿 호를 둘러싼 로우 릿지의 풍경이 실제 컬러에 가깝게 표현되어 있다. Pancam 이 사진의 부분 부분을 촬영하기 시작한 것은 스피릿 호가 화성탐사를 시작한지 814일째(2006년 4월 18일)되는 날이었으며 사진 촬영을 완료한 때는 980일째인..

화성의 메탄가스

만약에 화성 대기에 메탄이 포함되어 있다면 과연 이 메탄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라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가능할 것이다. 생명체를 근원으로 하지 않는 메탄 발생가능성으로는 혜성이나, 자외선에 의해 행성간 먼지 입자의 산화침전, 그리고 물과 바위간의 상호 작용 정도를 들 수 있다. 생명체를 근원으로 하는 것이라면 한 때 화성에 미생물이 살았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화성대기로부터 메탄을 제거시키는데 사용된 잠재적인 침전기재는 대기중의 광화학작용과 메탄가스 손실이 있다. 과학자들은 큐리오시티호에 탑재된 10개의 장비를 활용하여 게일 크레이터 지역이 한 때 미생물들이 생존할만한 환경을 갖추었던 적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할 것이다. 출처 :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Jet ..

화성대기의 구성

이 그래프는 화성 대기에 존재하는 다섯가지 가스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자료는 10월 22일 NASA의 화성 탐사 로봇에 탑재되어 있는 4극 질량 분석계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지금 탐사기기가 위치하고 있는 화성의 남반구, 게일 크레이터의 위치지역인 남위 4.49도, 동경 137.42도 지역은 초봄을 맞고 있다. 이 그래프는 각 가스들의 구성에 나타나고 있는 매우 다른 편차를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도록 대수눈금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른 가스들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스는 이산화 탄소로서 전체 대기의 95.9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는 각각 아르곤, 질소, 산소, 일산화탄소가 차지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화성의 계절변화에 따른 대기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큐리오시티호의 ..

큐리오시티의 자화상

화성 84일째(2012년 10월 31일). NASA 큐리오시티호가 마스핸드렌즈이미저(the Mars Hand Lens Imager,이하 MAHLI)를 이용하여 촬영한 총 55장의 고해상도 사진을 이어붙여 이와 같은 총천연색의 자화상을 만들어냈다. 큐리오시티호가 자신이 처음으로 화성토양을 걷어올린 게일크레이터의 '락네스트(Rocknest)'라 명명된 위치에 머물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화성 토양을 걷어올리면서 생긴 4개의 자국이 큐리오시티 바로 앞 표토에 보이고 있다. 게일크레이터의 바닥은 5킬로미터 높이의 침전물이 쌓인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고, 사진 우측으로는 샤프 산이 보인다. 사진 왼쪽으로 아련히 보이는 산맥은 게일크레이터의 북쪽 담벽이다. 화성의 풍경이 원형으로 모아져보이고, 큐리오시티호의 마..

화성 토양의 첫 번째 X선 분석 결과

이 그래픽은 NASA의 큐리오시티호의 화학성분 및 광물분석 기구(the Chemistry and Mineralogy instrument, 이하 CheMin)에 의해 분석된 화성토양의 첫번째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은 크리스탈 장석과 휘석, 그리고 감람석이 비결정질물질에 혼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큐리오시티호가 착륙한 게일크레이터에서, 바람에 날려온 물질들이 쌓여 있는 곳을 대상으로 채취해낸 토양샘플은 하와이 화산지대 토양과 비슷한 유형을 보이고 있다. 큐리오시티가 이들 토양을 채취한 날은 화성에 도착하고 69일(화성 날짜 기준)이 지난, 2012년 10월 15일 이다. 이렇게 채취된 토양은 X선 회절 분석을 위해 이틀뒤인 10월 17일 CheMin 으로 옮겨졌다. 이 샘플에 X선을 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