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uto 52

플루토(Pluto)로의 접근 : 점점더 선명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플루토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본 블로그 내에서는 주류 천문학계와는 상관없이 더 이상 '명왕성'이 아닌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사진 설명> 이 사진들은 뉴호라이즌호에 장착된 LORRI(장거리탐사화상기, Long-Range Reconnaissance Imager)가 2015년 5월 8일~ 12일 사이에 촬영한 사진들이다. LORRI가 한달 전 촬영한 사진과 비교해보라 (각 사진 왼쪽, 또는 https://big-crunch.tistory.com/12347972 ) 이 한 달동안 플루토까지의 남은 거..

플루토(Pluto)로의 접근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본 블로그 내에서는 주류 천문학계와는 상관없이 더 이상 '명왕성'이 아닌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Video Credit: NASA, Johns Hopkins U. Applied Physics Lab., Southwest Research Inst. 여기 플루토가 다가온다. NASA의 뉴호라이즌호가 이제 해왕성의 궤도를 넘어 태양계에서 아직 탐사되지 않은 천체로서 가장 유명한 플루토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이 동영상은 플루토와 플루토의 가장 커다란 달인 카론이 질량 중심점..

하이드라(Hydra)와 닉스(Nix) : 플루토 발견 85주년을 기념하는 뉴호라이즌 호의 사진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클라이드 톰보우(Clyde Tombaugh)의 역사적인 플루토 발견 85주년을 기념하여, 올해 여름 이 꽁꽁 얼어붙은 왜소행성과의 조우를 위해 항진 중인 NASA의 우주선이 플루토 주위를 공전하는 작은 위성들의 사진을 처음으로 보내왔다. 플루토의 위성인 닉스와 하이드라의 모습이 담긴 이 일련의 사진들은 2015년 1월 27일부터 2월 8일 사이, 뉴호라이즌 호가 플루토로부터..

ALMA를 통해 바라본 플루토(Pluto)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천문학자들이 ALMA(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를 이용하여 NASA의 뉴호라이즌호가 2015년 7월 플루토와 5개의 위성 가까이에 도착했을 때 정확하게 자신의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플루토의 위치와 태양 공전궤도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비록 지금까지 수십년 동안 지상에 위치한 가장 큰 망원경들과 우주의..

플루토 너머를 관측하기 시작하다.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Credit: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Southwest Research Institute (JHUAPL/SwRI) 그림1> 이 상상화는 뉴호라이즌 호가 태양계 생성시 남겨진 유물인, 도시 정도 크기의 카이퍼 벨트 천체와 조우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태양이 67억 킬로미터 저편에 황도대의 먼지 구름속에 파..

플루토의 달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

플루토에서 새로 발견된 위성에 이름이 지어졌다. P4, P5라는 임시 이름이 붙여졌던 플루토 주위의 네번째, 다섯번째로 발견된 이 위성에 국제천문연맹은 각각 케베로스(Kerberos)와 스틱스(Styx)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이 작은 달들은 2011년과 2012년 허블우주망원경이 2015년 플루토에 근접하게될 뉴호라이즌호의 비행을 준비하는 와중에 발견하였다. 케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저승의 초입을 지키는 머리가 여럿 달린 개의 이름이며, 스틱스는 저승과 이승을 가르고 있는 신화상의 강을 주관하는 여신의 이름이다. 두 개의 명칭 모두 플루토와 연관이 있는 이름으로 플루토는 신화에서 저승세계를 주관하는 신의 이름이다. 이 두 개 위성 모두 반사도가 정확하지 않아 그 크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략 지름 20킬..

소행성 플루토의 다섯번째 위성 발견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사진1> 이 사진에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된 왜소행성 플루토를 공전하고 있는 다섯번째 위성이 담겨있다. 초록색 원안의 천체가 이번에 새로 발견된 위성 P5로서, 이 사진은 7월 7일 허블 WFC3에 의해 촬영되었다. 2012년 6월 26일, 27일, 29일, 그리고 7월 9일에 촬영된 다른 데이터를 조합하여 이 위성의 공전궤도를 알아낼 수 있었다. 이 위성의 너비는 9.6..

Pluto의 다섯번째 달

왜소행성 플루토 주변을 공전하는 다섯번째 위성이 발견되었다. 이 위성은 2015년 플루토에 도착할 예정인 뉴호라이즌 호의 임무를 돕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이 이달 초에 촬영한 사진에서 발견되었다. 사진에서 이 위성은 왜소행성 플루토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아주 작은 점처럼 보이며, 이 일련의 천체들은 태양 주위를 천천히 공전하고 있다. 임시적으로 S/2012 (134340) 1 로 기록되고 사진에서는 P5로 라벨링된 이 위성의 지름은 대략 15킬로미터이며 대부분 얼음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플루토는 아직 어떤 탐사선도 방문하지 않은 태양계의 가장 유명한 천체이며, 따라서 그 기원과 세부적인 모습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7월 16일 자) http..

플루토 제 4 위성

* 플루토(Pluto)는 '명왕성'을 말합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명왕성'이라는 한자식 표현은 '해왕성, '천왕성'등과 동급의 표현으로 행성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더 이상 '명왕성'으로 적시하지 않고 영어 표현 그대로 '플루토(Pluto)'로 표현합니다. 닉스와 하이드라는 2005년 5월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플루토의 두번째, 세번째 위성으로서 처음 소개되었다. 여기 이 허블의 사진은 이 얼음덩어리 왜소행성의 4번째 위성을 보여주고 있다. P4로 임시 명명된 이 위성은 플루토 궤도를 약 31일 단위로 공전하고 있다. 현재 플루토의 위성중 가장 작고 희미한 위성으로 알려진 P4의 지름은 약 13에서 34킬로미터 정도로 예측되고..

플루토(Pluto)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왜소행성 플루토(구 : 명왕성)는 특히 요즘과 같이 별이 가득 들어찬 우리 은하의 중심부인 궁수자리를 지날 때는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운좋게도 7월 초, 플루토는 암흑성운의 전면을 지나면서 쉽게 관측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 작은 천체가 사진의 중앙부근 두개의 선으로 지시되고 있는 이 사진은 7월 5일 뉴멕시코주에서 촬영되었다. 플루토가 선명히 보이는 이유는 암흑성운 바나드 92(Barnard 92, B92)가 배경을 이루는 우리 은하의 수많은 별들을 차단해 주기 때문이다. B92의 바로 왼쪽에 있는 검은 성운 역시 에드워드 에머슨 바나드가 분류한 암흑성운 B93이다. 왼쪽 하단에 보이는 것은 산개성단 NGC 6603이다. 사실 지금의 플루토와 암흑성운들, 성단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