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minence 7

태양으로부터 50,000 킬로미터.

Image Credit & Copyright: Pete Lawrence 태양의 모서리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비록 난폭하게 날뛰는 괴물처럼 보이지만 이 사진은 그저 태양 자기장에 의해 표면 위로 치솟아 오른 얇은 가스의 껍데기인 홍염을 담고 있는 것일 뿐이다. 태양의 이벤트를 담고 있는 이 사진은 지난 주 작은 빛통으로 촬영되어 인위적으로 색깔을 입힌 것이다. 고도를 나타내는 선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 홍염은 태양 표면으로부터 5만 킬로미터 이상 치솟아 올랐다. 지름 12,700 킬로미터의 지구는 이보다 훨씬 더 작게 보일 것이다. 이 거대한 홍염 아래로 활성지역 12585가 보이고 쌀알무늬의 태양 위로 둥둥 떠다니는 밝은 색의 필라멘트들이 보인다. 이 필라멘트들은 사실 홍염이 태양 원반에..

SDO가 촬영한 홍염

Video Credit: NASA/Goddard/SDO AIA Team 가장 멋진 태양 풍경 중 하나가 홍염 분출 광경이다. 2011년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NASA의 태양활동관측위성(Solar Dynamic Observatory spacecraft, 이하 SDO)이 표면으로부터 분출해 오르는 거대한 홍염의 모습을 인상적으로 담아냈다. 이 드라마틱한 폭발은 자외선으로 관측되었으며 이 동영상은 90분동안 매 24초마다 촬영한 사진으로 구성되었다. 홍염의 크기는 대단히 거대하다. 그래서 지구 전체가 뜨거운 가스가 만들어내는 장막 아래 딱 들어맞을 정도이다. 홍염은 태양의 자기장에 따라 흐르며 때때로 태양 표면 상공에 머물러 있기도 한다. 비활동성 홍염은 대개 한 달 정도 지속되며 코로나 질량 분출과 함께 ..

태양의 홍염

Image Credit & Copyright: Alan Friedman (Averted Imagination) 태양의 동쪽 지평선을 향해 뻗어나가며, 뒤꼬인 자기장에 갇혀있는 백색 플라즈마의 으스스한 광경이 9월 16일 촬영되었다.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개인 망원경에 이온화 수소 빛을 받아내는 협대역 필터를 장착하여 촬영된 이 사진에는 태양의 가장자리로 둥실 떠오르고 있는 거대한 홍염의 모습이 담겨있다. 60만 킬로미터 폭의 자기장 플라즈마 담벼락은 태양계의 또다른 작은 세계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반해 태양계에서 가장 큰 가스상 행성인 목성이 만들어내는 자기장의 폭은 14만 3천킬로미터이며 지구의 자기장 폭은 고작 1만 3천 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다. 그 외양때문에 산울타리 나무 홍염(hedgerow..

꼬인채로 분출하는 홍염

Video Credit: SOHO Consortium, EIT, ESA, NASA 태양 괴물처럼 보이는 이것의 손톱에는 10개의 지구가 딱 맞아들어갈 정도이다. 이 괴물은 거대한 홍염으로서, 30여분 간의 장면을 담은 이 동영상에서 태양으로부터 솟구쳐 나오는 모습이 보인다. 그런데 이 거대한 홍염에서 중요한 것은 그 크기 뿐만 아니라 그 형태도 포함된다. 8자로 꼬인 형태는 태양으로부터 쏟아져나온 태양 입자들을 꿰고 있는 복잡한 자기장의 존재를 말해준다. 태양 표면 바로 아래에 서로 다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는 가스들이 표면의 폭발 양상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이 사진은 2000년 초, 태양 주위를 공전하던 SOHO 위성에 의해 촬영된 5장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 비록 거대한 홍염과 왕성한 ..

태양과 홍염

Image Credit & Copyright: jp-Brahic 간혹 드라마틱한 홍염이 태양의 모서리너머로 희미하게 보일 때가 있다. 이와 같은 일이 지난 주 거대한 홍염으로 나타났는데, 이 사진은 최근 극대기를 보이는 태양의 모습을 강조하여 보여주고 있다. 앞쪽으로 보이는 채층에 뜨거운 가스가 일렁이는 모습이 매우 세밀하게 보이는 이 사진은, 수소에서 복사되어 나오는 특정 색체만을 가지고 촬영된 것이다. 홍염은 태양 자기장에 의해 태양 표면 바로 위에 뜨는 가스구름이다. . 오른쪽 상단에 묘사된 지구는 이 홍염보다도 작은 크기이다. 비록 매우 고온이긴 하지만, 홍염은 태양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어둡게 보이는데, 이는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광구보다 홍염이 약간은 더 저온이기 때문이다. 비교적 격렬하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