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지능

2012. 4. 29. 18:154. 끄저기/끄저기

 

 

책의 내용 중 진화의 치열한 경쟁현장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붉은 여왕 효과' 개념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스스로를 계발하는데도 똑같이 적용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시시때때로 책을 읽으면 마치 그 사람이 계속 자기계발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처럼 묘사되지만, 오히려 쉼없이 책을 읽지 않으면 깡통으로 전락해버린다는 것이 좀더 사실에 부합하는 설명일 것이다.


이 책 '다윈지능'을 읽으며 역시 느낄 수밖에 없었던 진리중에 하나였다.

내가 만약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나는 여전히 대학교 1학년때 익힌 '장구한 시간동안 발생하는, 의도되지 않은 변화'로만 진화를 이해하고 내가 '진화'의 개념을 잘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었을 것이다.

 

즉, 깡통으로만 계속 머물러 있으면서도 나 스스로 깡통이라는 것을 모르며 살고 있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진화론 전반에 대해 너무나도 간결하고 쉽게 기록되었으면서도 나같은 일반인이 마냥 진화론의 맹점이라고 느껴왔던 사항들을 콕콕 집어내어 명쾌하게 설명하는 부분들에서는 찬탄을 금할 수 없었다.

 

 

1. 다윈에 다가가는 입문서

 

2009년은 다윈 탄생 200주년, '종의 기원' 출간  150주년이었다고 한다.
진화론을 그저 교양 수준에서만 알고 있었던 나로서는 관심 두지 않고 지나갔던 해였지만 이 책을 통해 이렇게 뒤늦게나마 그 기념에 함께 동참할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에 소심한 다행을 느끼기도 한다. 

 

책을 읽으며 진화론이 결국 사람이 살아가는 이 세상의 하나하나의 사회현상에 얼마나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이 지점에서 스스로에게 아쉬울 수밖에 없는 것은 이런 저런 경로를 통해 '진화론'에 대해서 많이 들어도 보았고, 후학들의 이런 저런 이론들도 짬짬이 접해보았지만, 정작 다윈의 책 '종의 기원'을 읽어보지 못했다는 점이다.
  
하나의 거대 조류를 만들어낸 사상의 시원에 대해 정작 직접 접해 볼 기회를 만들지 못한 것으로 나 자신의 무식함을 탓해야 할지, 제도 교육의 맹점을 탓해야 할지 모르겠다.
물론 두 개 모두 탓해야 하는게 맞을 것이고, 거기에 하나 더 탓을 얹어보자면 이런 이론 자체에 대한 진지한 접근 없이 가십거리로만 접근되는 사회의 경박성도 무시못할 것이라 생각한다.
  
정작 다윈의 진화론은 그 자체가 아닌 종교계의 공격거리로만 다루어진 것 같고, 불행하게도 1980년대 중, 고등학교 시절을 보낸 내 기억에 심지어는 학교의 생물 선생님조차 시험에 나올 내용 정리 후 이러이러한 문제가 있다는 가십거리 얘기로 마무리지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이런 탓을 계속하는 것은 결국 나 자신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기에 이 책 '다윈지능'과 함께 다윈의 '종의 기원'을 함께 구입했다. 

어쨌든 일반인의 피상적이고 단편적인 지식이나마, '종의 기원'을 읽고 나면 나름 하나의 자부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 '다윈지능'은 그런 측면에서 진화론의 다양한 모습을 흥미롭게 풀어주면서 '종의 기원'이라는 본류에 접근하기 위한 사전 준비로서 훌륭한 가이드가 되고 있는 책이다. 

  

2. 간결한 원리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설명.

 

책의 앞 부분인 2장, 자연선택의 '원리' 부분에서는 네가지로 정리되는 자연선택의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한 종에 속하는 개체들은 각자 다른 형태, 생리, 행동 등을 보인다. 즉 자연계의 생물 개체들 간에 변이(Variation)가 존재한다.
둘째, 일반적으로 자손은 부모를 닮는다. 즉 어떤 변이는 유전(Heridity)된다.
셋째, 환경이 뒷받침할 수 있는 이상으로 많은 개체들이 태어나기 때문에 먹이 등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할 수밖에 없다.
넷째,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형질을 지닌 개체들이 보다 많이 살아남아 더 많은 자손을 남긴다.[자연선택 Natural Selection]    
  

그리고 이후의 다양한 이야기들은 이 네가지의 기반 조건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예의 위대한 이론들이 그러하듯  다윈의 진화론 역시 이처럼 간결한 원칙만을 가지고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분화되어, 서로 아무런 상관도 없어 보이는 생명현상의  기본 메커니즘을 충분히 설명하는 위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진화론 하면 단골손님처럼 다루어지는 다양한 논란 거리로서  '진화에 대한 오해 - 진화가 진보를 담보하는지에 대한 시각', '정밀한 신체 기관(예를 들어 포유동물의 '눈')을 들어 진화의 맹점을 공격하려는 것에 대한 상식적인 수준에서의 반박', '에이즈나 조류 독감에 대한 현재의 시각과 이것이 얼마나 잘못된 접근인지에 관한 의견', '성선택의 개념과 함께 펼쳐지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번식의 현장과 유성 생식의 기원에 대한 독특한 시각' 등의 이야기는 그 자체가 유익한 지식이 되면서도 왠만한 소설책이나 만화책을 능가하는 흥미와 재미가 함께 버무려져 있다.  

내용의 유익함을 떠나서 통섭을 강조하시는 최재천 선생님의 필력이 왠만한 인문학자 못지 않음을 새삼 느끼게 해 준다. 

  

 

3. 아쉬움 - 종교배려 컴플렉스

 

항상 다윈을 얘기할 때, 진화론을 얘기할 때, 자연선택을 얘기할 때 동전의 뒷면처럼 따라오는 것이 종교의 문제이다.

  
나는 사실 진화론을 얘기하는데 자꾸 종교가 따라붙는 현상 자체를  어처구니 없게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사실 진화론 학자들께서 종교에는 좀 무심하거나 무관심하셔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예를들어 행성 물리학 분야에서 별의 생성과 행성계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 정설이 갖추어진지 오래인데 이 부분에서는 그 어떤 종교도 물고 늘어지는 현상이 보이지 않는다.
교회에서 지구의 역사가 기원전 4천 몇년이라고 떠든다 한들, 거기에 행성 물리학자가 가서 암석의 방사선 동위원소 측정치를 들이댈 필요가 어디있겠는가.
  
그런 측면에서 최재천 교수님이 학문간의 소통, '통섭'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학자임에는 분명하나 후반부에 구태여 종교와 관련된 부분으로 여러면을 할애하실 필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책의 내용에서 종교를 다룬 부분이 의미있는 부분은 종교의 발생 부분을 '과민성 행위자 탐지장치', '믿음 엔진'과 같은  (유전자에 각인된 요소인지는 모르겠지만) 심리적 요소와 연관짓는 몇몇 견해를 제공하는 부분일 뿐이다. 

 

학문간에 연계와 교류는 그 결과에서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하여 사실과 허구 간에 통섭의 결과 만들어낼 수 있는게 고작 - 단어가 성립될지는 모르겠지만 - 반사실, 반허구라면 거기에 투입된 노력은 없으니만 못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진화론의 맹점이라는 공격들은 가만보면 항상 다소 극단적인 종교계에서 제기되며 더더군다나 문제 제기자는 진화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마저 없는 사람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정작 종교 자체에 충실하고 종교의 가르침대로 삶을 살아가는 선량한 종교인이 진화론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감을 표명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책이나 강연에서 종교 자체의 언급이 구태여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그 부분이 이 책을 접하는데 남는 아쉬움의 하나였다. 

  

 

간혹 히트친 영화의 원저나, 그 내용을 그대로 책으로 만들어 낸 책들이 신간이나 베스트셀러 목록에 자리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너무 함부로 찍어낸 책을 한 번 접한 이후 개인적으로는 절대 사서 보지 않는 종류의 책들이다.

 

하지만 EBS 를 통해 최재천 교수님의 강의를 먼저 접하고 선택하게 된 이 책은, 각 장에서 교수님의 강의 장면에 대한 기억이 다시 떠오르면서 머릿속에 좀더 선명한 기억을 남겨주었다.

 

3년여 전부터 개인적으로 매해마다 꼭 한 권 이상의 진화론 관련된 책들을 읽어오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리처드 도킨스의 책이었지만 앞으로는 항상 최재천 선생님의 책들이 될 것 같다. 

'4. 끄저기 > 끄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령  (0) 2012.06.09
십자군 이야기  (0) 2012.06.03
단테의 신곡  (0) 2012.04.24
한밤중에 행진  (0) 2012.04.22
서울은 깊다  (0) 201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