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흡사 유령과도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우측에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고 있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이 불타오르는 가스구조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성운은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1만 1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발광지역의 세세한 모습은 협대역 필터로, 그 주위를 둘러싼 배경은 광대역 필터로 촬영하여 이를 조합한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8월 4일 자)
http://apod.nasa.gov/apod/ap120804.html
참고 : NGC 7635를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4
원문>
The Bubble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Explanation: Blown by the wind from a massive star, this interstellar apparition has a surprisingly familiar shape. Cataloged as NGC 7635, it is also known simply as The Bubble Nebula. Although it looks delicate, the 10 light-year diameter bubble offers evidence of violent processes at work. Above and right of the Bubble's center is a hot, O star, several hundred thousand times more luminous and around 45 times more massive than the Sun. A fierce stellar wind and intense radiation from that star has blasted out the structure of glowing gas against denser material in a surrounding molecular cloud. The intriguing Bubble Nebula lies a mere 11,0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boastful constellation Cassiopeia. This view of the cosmic bubble is composed of narrowband and broadband image data, capturing details in the emission region while recording a natural looking field of stars.
'3. 천문뉴스 > NASA 오늘의 천체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상곡 : 2012년 David Milan Award 동영상부문 수상작 (0) | 2012.08.06 |
---|---|
발광성운 IC 1396 (0) | 2012.08.05 |
M5 (0) | 2012.08.03 |
남극의 별 일주사진 (0) | 2012.08.03 |
모뉴먼트 벨리(Monument Valley)의 은하수 (0) | 2012.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