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국립전파천문대(NRAO)(85)
-
라디오파로 중성자별 충돌의 비밀을 파헤치다.
사진1> VLA가 촬영한 이 라디오파 사진은 두 개 중성자별의 충돌 및 중력파가 발생한 지역으로부터 온 라디오파를 촬영한 것이다. 사진에서 가운데 점이 충돌이 발생한 곳에서 발생한 전파복사이다. 1억 3천만 광년 거리의 은하에서 초고밀도 중성자별 한쌍이 충돌하였으며 그 결과 블랙홀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중력파 뿐 아니라 라디오파도 대량으로 방출하면서 이와 같은 파국적인 사건의 특성에 대한 오랜 질문에 답을 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었다. 2017년 8월 17일 라이고와 비르고 중력파 천문대가 두 개 중성자별들의 충돌로 축발된 시공간의 희미한 요동이 촉발된 위치를 특정해냈다. 중력파는 1세기 전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예견한 것으로서 ..
2017.11.29 -
VLA가 목성대기의 작용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알려주다.
사진 1> 이 사진들은 목성 대기의 거대 폭풍인 그 유명한 대적반을 VLA가 라디오파로 촬영한 사진(상단)과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사진(아래)이다. 라디오파 사진은 눈에 보이는 구름 아래로 30~90킬로까지 잠겨들거나 상승하는 복잡한 암모니아가스 기류를 보여주고 있다. 과학자들이 국립과학재단의 초대형배열(Very Large Array, VLA)을 이용하여 유례없는 목성 대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가시광선으로 관측되는 목성 구름 표면의 구조가 그 아래로 수십킬로미터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모습이 발견된 것이다. 과학자들은 눈에 보이는 목성의 구름 표면으로부터 그 아래 100킬로미터 깊숙한 대기까지 목성대기의 역학을 연구하는데 VLA를 사용하곤 한다. 캘리포니아 대학 임케 드 파터(Imke..
2016.09.21 -
COSMOS J100054 : 60억 광년의 거리에서 수소복사를 탐지하다.
사진1> 이 사진은 COSMOS J100054 은하에 대한 전파 사진이다. 배경은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것이다. 주황색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수소 원자로부터 발생하는 복사이다. 천문학자들이 국립과학재단 칼 G. 얀스키 초대형배열(Very Large Array, 이하 VLA)의 관측 능력을 이용하여 은하의 진화와 주위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50억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은하에서 우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원소인 수소원소로부터 복사되는 희미한 라디오파 복사를 포착해냈다. 뉴저지 주립대학 히메나 페르난데즈(Ximena Fernandez)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번에 이뤄낸 관측은 이와 동일한 종류의 관측으로는 기존..
2016.09.19 -
NGC 1332 : 가장 정밀하게 측정된 초거대질량 블랙홀의 질량값
사진 1> NGC 1332를 촬영한 이 사진은 은하 중심의 초거대질량 블랙홀을 둘러싼 가스 원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AMLA의 관측 데이터는 이 원반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대단히 놀라운 정밀도로 측정해낸 블랙홀의 질량을 말해주고 있는데, 이번에 측정된 이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6억 6천만 배이다. 이 사진은 카네기-어빈 은하 탐사 프로그램(the Carnegie-Irvine Galaxy Survey)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상단 왼쪽의 네모 상자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것으로 적외선으로 바라본 은하의 중심부를 보여주고 있다. 먼지가 가득한 은하 원반이 검은 그림자로 보이고 있다. 상단 오늘쪽 박스는 ALMA가 획득한 데이터로 구성된 것으로 은하원반의 회전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바..
2016.06.04 -
ALAM의 중력렌즈 사진에 숨겨져 있던 난쟁이암흑은하
사진 1> 중력렌즈 SDP.81에 대한 이 합성사진은 훨씬 멀리 떨어진 은하를 촬영한 ALMA의 사진(빨간색 아치)과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렌즈 작용을 하고 있는 은하의 사진(파란색의 가운데 천체)을 합성한 것이다. 이 고리가 구부러진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천문학자들은 약 40억 광년 거리에 암흑난쟁이은하가 숨어 있다는 사실을 확정할 수 있었다. (분석 데이터는 이 암흑난쟁이은하의 위치로 왼쪽 하단 아치 부근에 하얀색 점이 있는 지점을 지목하고 있다. ) ALMA가 중력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한 SDP.81의 사진에 나타난 미묘한 뒤틀림이 바로, 40억 광년 거리에서 중력렌즈작용을 하는 은하의 헤일로에 숨어 있는 난쟁이암흑은하의 존재를 말해주는 단서였다. 이번 발견은 비슷한 천체들을 더 많이 발..
2016.04.18 -
은하의 진화와 충돌병합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주는 중력파 탐사
Credit: B. Saxton (NRAO/AUI/NSF) 동영상> 이 동영상에서 지구는 머나먼 은하의 초거대질량 이중블랙홀로부터 발생한 저주파 중력파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리고 있다. 천체물리학자들은 이 중력파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지구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은하 크기의 탐지기로서 펄서들을 활용하고 있다. 중력파 관측을 위한 북아메리카 나노헤르츠 천문대(the North American Nanohertz Observatory for Gravitational Waves, 이하 NANOGrav)의 새로운 관측 결과에 따르면 저주파 중력파를 관측하는데 있어 천체물리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중요한 한계치가 수립되었다고 한다. 이번 결과는 은하가 얼마나 자주 충돌하는지, 그리고 충돌하는 은하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
2016.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