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NASA 오늘의 천체사진 2276

북극성의 먼지성운

북극성을 중심에 두고 촬영된 이 4도 폭의 광대역 사진에는 미리내 평면 위로 솟아오르고 있는 상대적으로 낯설고 희미한 먼지 구름 복합체의 일부가 담겨 있다. 합쳐진 미리내의 별빛이 우주먼지에 반사되고, 이 반사된 별빛은 반사 성운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성운의 특징과 동일한 푸른빛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오랜동안의 노출을 이용하여 담아낸 이 사진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을 붉은 빛 가시광선으로 전환해내는 먼지 알갱이들의 희미한 붉은 빛 냉광도 함께 담겨 있다. 확장된 적색 복사(extended red emission)로 언급되곤 하는 이 희미한 우주의 불꽃은 성간 먼지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이기도 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로 알려져 있는 복잡한 유기 분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지구에서 ..

센타우루스 A 은하

단지 1100만 광년 떨어진 거리에 가장 가까운 활동은하인 거대 타원은하, 센타우루스 A가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찬드라 우주 망원경의 X선 이미지와, 유럽우주국의 가시광선, VLA의 전파 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가시광선 사진에는 가스와 먼지, 별들로 뒤섞인 은하의 중심부가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는 반면 전파 망원경과 X선 망원경으로 촬영된 사진에는 은하의 핵으로부터 쏟아져나오는 고에너지 입자들의 강력한 기류가 나타나 있다. X선 이미지에서 밝게 나타나고 있는 은하의 중심은 태양질량의 1000만배에 달하는 블랙홀로서 이 블랙홀이 입자들을 가속시키는 에너지원이다. 활동성 은하핵으로부터 폭발이 왼쪽 상단 방향으로 치솟고 있다. 이 고 에너지 기류는 약 1만 3000년 광년의 길이로 뻗어있다. 그 반대 방..

IC 342

아름다운 나선은하 IC342는 만약 숨겨져 있지만 않았더라면 훨신 더 유명해졌을지도 모른다.나선형 팔을 활짝 펼치고 있는 IC342는 밤하늘에 두드러진 은하이지만, 미리내 평면에 펼쳐진 수많은 별과 가스, 그리고 성간 먼지 뒤에 존재하고 있어 대부분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이 은하는 북쪽의 기린자리에 단지 700만 광년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비록 IC342 은하의 빛이 우주먼지들에 가려져 희미하지만, 놀라우리만치 선명한 이 사진에는 은하의 희미한 먼지들과 푸른 성단들, 그리고 나선형 팔과 은하의 핵으로부터 몰아치는 폭풍을 따라 새로운 별들이 형성되면서 뿜어내는 분홍색 불꽃들이 잘 나타나 있다. IC342는 최근까지 새로운 별의 생성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있..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목성과 이오

뉴호라이즌 호가 태양계를 항해하면서 경이로운 사진들을 촬영하고 있다.뉴호라이즌 호는 2007년 2월 목성과 활화산으로 익히 알려진 목성의 위성 이오 근처를 통과했다. 적외선으로 촬영된 목성의 이 합성사진에서 대적반이 하얀색으로 보이고 있고, 목성의 복잡한 대기에 타원모양, 소용돌이 모양의 복잡한 태풍들과 행성을 휘감고 있는 대기의 띠가 보인다.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목성의 위성 이오는 합성처리된 것이다. 우연히도, 이오의 화산 트바쉬타르(Tvashtar)에서 연기구름이 분출되고 있다. 서리와 유황용암이 이 위성을 덮고 있고, 파란색의 태양빛을 반사하고 있는 연기구름 바로 아래에 잠깐동안 붉은색 용암이 빛나고 있다. 뉴호라이즌 호는 여행을 계속하여 2015년 명왕성에 도착할 예정이다. 정보출처 : NASA ..

사분의자리 유성우

유성우는 어디에서 생기는 것일까? 그 답을 찾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지난 주말에 발생한 사분의자리 유성우를 연구했다.특히, 천문학자들은 지난 며칠동안 북부 캐나다 지역에서 NASA의 DC-8 비행기에 탑재된 MAC 특수 카메라를 통해 사분의자리 유성우의 모습을 전례없이 세부적으로 연구했다. 이 사진은 단속적으로 촬영된 여러 장의 이미지를 조합한 것이다.왼쪽에 보이는 것은 항공기 표지등에 반사된 DC-8의 꼬리 부분이고, 중앙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초록색은 오로라이다. 그리고 곳곳에 흩뿌려지고 있는 유성우도 보인다. 예고된 바와 같이 사분의 자리 유성우는 매우 정확한 시간에 발생했고, 아주 많은 수의 유성우들이 관측됐는데, 이 날 많을 때는 시간단 100개의 유성이 관측됐다. 전세계에서..

목성의 고리

목성은 왜 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목성의 고리는 1979년 보이저 1호가 목성을 통과할 때 발견되었지만, 고리의 기원은 수수께끼였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목성주위를 공전했던 갈리레오 탐사선에 의해 이 고리들이 목성 주위의 작은 위성들과 충돌한 유성의 파편에 의해 생겨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작은 유성이 목성의 작은 위성 아드라스티아와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 유성은 위성에 크레이터를 남기면서 기화되고, 이 충격으로 폭발되어 나온 파편과 먼지들이 목성궤도로 날아들게 된다. 이 사진은 목성이 해를 가리는 시점에 갈릴레오 탐사선으로부터 촬영된 것이다. 고리를 구성하고 있는 먼지입자들뿐만 아니라 태양빛을 반사시키고 있는 목성 상층 대기의 작은 먼지입자들도 볼 수 있다. 정보출처 :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