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6)
-
허블 텐션(Hubble Tension)은 더 깊은 미궁에 빠졌다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허블상수(the Hubble Constant)는 우주가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를 의미하는 상수로서 우주론의 기본적 상수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양한 관측을 통해 계산된 허블 상수와 빅뱅의 여파인 우주배경복사를 통해 예견된 허블상수와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 차이를 허블텐션(Hubble Tension)이라 한다. 허블텐션의 가장 강력한 관측 증거 일부를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이 진행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인 존스홉킨스대학 및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애덤 리스(Adam Riess)는 허블상수의 국부적 측정치를 개선하기 위해 진행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관측현황을 발표하였다. 다음의 내용은 애덤 리스의 발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사진 설명> 이 사진은 NGC 5584 은하의 사진으로서 제..
2023.09.23 -
서호주 일식 여행 11 - 피너클스 사막의 장관
2023년 4월 16일. 오늘은 세월호 9주기이다. 세월호 사건은 나를 여러모로 변화시킨 사건이다. 아침에 눈을 떠 잠시나마 세월호 아이들을 위한 마음의 기도를 올렸다. 주말이 끝나는 일요일이어서 그런지 레지포인트 캠핑장을 가득 메웠던 캠핑카들이 줄줄이 캠핑장을 떠났다. 모든 캠핑카가 퍼스를 향해 남쪽으로 차를 돌렸다. 하지만 우리 부부는 반대인 북쪽으로 향했다. 일상을 완전히 제껴버린 여행자만의 특권이었다. 오늘부터는 퍼스 도시권을 벗어나 본격적으로 북쪽으로 올라가는 여정이 시작된다. 석회암 기둥으로 유명한 피너클스 사막(Pinnacles Desert)을 들른 후 세르반테스(Cervantes)에서 점심을 먹고 제럴턴(Geraldton)까지 312킬로미터 거리의 여정이 오늘의 여정이다. 2023년 4월 ..
2023.09.22 -
누가 죄인인가? : 하얀 리본
영화 하얀리본. 영화는 20세기 초 독일의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한다. 시대와 배경, 그리고 흑백으로 처리된 영화의 장면 하나하나가 모두 적절하다. 사람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르고 산다. 몰라서 그럴 수도 있고 실수로 그럴 수도 있지만 일부러 그럴 수도 있고 아예 목적으로 그럴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잘못에 대해서는 처벌이 따른다. 처벌은 법적 처벌일 수도 있고 관습적 처벌일 수도 있다. 공동체의 괴롭힘이나 따돌림일 수도 있고 어른의 훈육일 수도 있다. 하지만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하는 게 있다. 모든 잘못이 처벌되는 것도 아니고 처벌이 잘못의 경중에 따라 적절하게 매겨지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영화는 처벌받지 않는 어른들의 잘못과 가혹하게 처벌되는 아이들의 잘못을 교묘하게 대비하고 있다. 내가 이 영..
2023.09.20 -
110억년 전 은하에서 자기장을 탐지해내다.
천문학자들이 ALMA(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를 이용하여 110억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는 은하의 자기장을 관측했다. 이 은하는 우주의 나이가 고작 25억 년 밖에 되지 않던 시절의 은하이다. 이번 관측은 우리은하 미리내와 같은 은하의 자기장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는 행성이든 별이든 은하든, 자기만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2023년 9월 6일 네이처지에 개재된 논문의 주저자인 영국 하트퍼드셔 대학의 천체물리학 교수 제임스 기치(James Geach)는 은하가 수십만 광년에 걸쳐 뻗어있는 자기장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
2023.09.20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허빅하로 211 (HH 211)
허빅하로 천체(Herbig-Haro, 약어 HH)란 갓태어난 어린 별 주위에 형성된 밝은 천체를 말한다. 이 천체는 갓태어난 어린 별로부터 대단히 빠른 속도로 쏟아져나온 폭풍과 제트가 주변에 있는 가스 및 먼지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다. 이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HH 211로서 제로 등급의 원시별에서 쏟아져 나오는 폭풍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중심에 있는 원시별은 고작 수만 년 정도 밖에 안 된 아주 어린 태양과 비슷하며 그 질량은 오늘날 태양 질량 대비 8%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별 역시 결국에는 우리 태양과 같은 별로 성장할 것이다. 적외선 사진은 갓태어난 어린별과 그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폭풍을 연구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왜냐하면 이처럼 어린 별들은 하나같이 두꺼운 분자구름 ..
2023.09.18 -
외계행성 K2-18 b의 대기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발견하다.
지구보다 8.6배 무거운 외계행성 K2-18 b에 대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이 행성의 대기에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유기분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발견으로 K2-18 b 행성은 수소가 풍부한 대기와 표면을 바다가 뒤덮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하이션 외계행성(Hycean exoplanet)으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다. 생명가능구간에 존재하는 이 외계행성의 대기에 대한 연구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이 행성계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왔다. K2-18 b는 사자자리 방향으로 120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K2-18이라는 이름의 난쟁이별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이며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인, 이른바 생명가능구간(the habitable..
202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