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3)
-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별보기 수칙 - 천대넓얕 3회 1부
코로나 19로 우리의 삶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별지기 분들의 별보기 생활에도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별보기 수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관측 준비물로 손소독제를 준비합니다. 2.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합니다. 3. 다른 분의 장비를 만지지 않습니다. 4. 몸이 안 좋으실 때는 아쉬우시더라도 관측을 다음 기회로 미루도록 합니다. 별보러 가실 때마다 위의 수칙을 준수하셔서 건강한 별보기를 계속 이어 나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천문학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3회 Full 버전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hiQYIHv7gTg
2020.04.29 -
은하수 여행 - 전남 화순, 고흥
2020년 첫 번째 미리내 알현 여행으로 전남 화순과 고흥을 다녀왔습니다. 작년에 밤하늘 사진을 찍으러 천불천탑으로 유명한 화순 운주사를 여러 번 찾아간 적이 있습니다. 그때 운주사 근방에 고인돌 유적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고인돌과 함께 밤하늘을 담아도 괜찮겠다 싶었고 그래서 2020년 첫 번째 미리내 알현 여행으로 화순 고인돌 유적지를 찾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날에는 고흥으로 넘어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이정양 전남지부장님을 뵙는 것으로 일정을 구성하였습니다. 이정양 지부장님께서 산청에 오고 싶어하셨는데 제가 자리를 자주 비우다보니 초대를 못했었습니다. 죄송한 마음에 먼저 찾아뵈어야 되겠다 싶었죠. 그런데 찾아뵙겠다고 연락을 드리자 오히려 이정양 지부장님께서 화순으로 넘어오겠다고 하셨..
2020.04.20 -
은하를 관통하는 퀘이사의 쓰나미
사진 1> 이 그림은 중심에 활동성 퀘이사를 품고 있는 은하를 그린 상상화이다. 퀘이사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로부터 생성된 어마어마한 양의 에너지를 뿜어낸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독보적인 관측능력을 이용하여 블랙홀 인근의 작열하는 복사압력에 의해 은하 중심에서 어마어마한 속도로 밀려나오고 있는 물질들을 관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퀘이사 폭풍은 매년 태양 질량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질량들을 몰아내고 있으며 은하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독보적인 관측 성능을 이용하여 천문학자들이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폭풍을 포착해냈다. 이 폭풍은 퀘이사로부터 몰아쳐 나오는 것으로 퀘이사가 자리잡은 은하 전반을 마치 쓰나미처럼 휩쓸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퀘이사는 극단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천체로서 어..
2020.03.20 -
LHA 120-N 150 : 무거운 별의 기원
사진 1> 이 사진은 LHA 120-N150라는 이름의 천체를 담은 사진이다. 이 천체는 거대한 타란툴라성운의 하부구조 중 하나이다. 타란툴라성운은 국부우주에서 가장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별들의 육아실이다. 타란툴라성운은 16만 광년 거리에서 우리은하 미리내의 주위를 돌고 있는 불규칙 왜소은하인 대마젤란은하에 위치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그 유명한 타란툴라성운의 외곽을 촬영한 것으로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장면을 담아낸 것이다. 갓태어난 수많은 무거운 별들에 둘러싸여 있는 가스와 먼지 구름은 무거운 별의 기원을 연구하는데 최적의 실험실이 되어 주고 있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으로, 갓 태어난 어린 별들에 둘러싸여 있는 밝은 분홍색의 구름은 그다지 낭만적이지 않은 L..
2020.03.19 -
최신천문뉴스브리핑 6. 강철비가 내리는 행성
안녕하십니까? 별지기마을 촌장 다락방별지기 이강민입니다. 오늘은 2020년 3월 11일 네이처에 개재된 독특한 외계행성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WASP-76은 물고기자리 방향으로 640광년 거리에 있는 9.5등급의 분광유형 F형인 별입니다. 이 별 주위를 지구 기준 이틀도 채 되지 않는 주기로 맹렬하게 공전하는 거대 가스 행성이 있습니다. WASP-76b라는 이름의 외계행성입니다. 이 행성은 우리 지구에 대해 달이 그런 것처럼 자신의 별에 대해 중력잠금상태에 있습니다. 따라서 공전과 자전 주기가 동일한, 결론적으로 낮은 영원한 낮, 밤은 영원한 밤인 상태죠. 유럽남부천문대의 과학자들은 VLT와 외계행성 대기의 분광을 목적으로 제작된 ESPRESSO장비를 이용하여 WASP-76b 행성의 대기를 측정하였습..
2020.03.13 -
최신천문뉴스브리핑 5. 곰팡이가 알려준 우주의 비밀
안녕하십니까? 별지기마을 촌장 다락방 별지기 이강민입니다. 1980년대 대규모 은하탐사가 본격화되면서 과학자들은 우주에 모종의 물질들이 퍼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눈에 보이는 은하나 은하단이 아무렇게나 정렬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퍼져 있는 모종의 물질 다발을 따라 정렬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이렇게 우주 전역에 걸쳐 수억 광년의 길이로 펼쳐져 있는 구조를 코스믹웹(Cosmic Web)이라 합니다. '천문학용어집'을 비롯하여 이에 대한 우리나라말 번역이 존재하지 않아 많이 아쉽습니다. 저는 여기서 코스믹웹을 직역한 '우주거미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지난 반세기동안 이 우주거미줄의 분포양상을 추적하고 있습니다. 우주거미줄은 암흑물질로 구성되어 있죠. 하..
20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