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루만 16A(Luhman 16A)에서 측정된 줄무늬 구름
그림 1> 천문학자들이 루만 16A(Luhman 16A)라는 갈색왜성에 줄무늬 패턴을 이루는 구름이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 상상화는 루만 16A를 그린 것이다. 구름 띠는 편광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추론된 것이다. 편광된 빛은 빛을 차단하는 편광 선글라스와 상당히 비슷한 천체물리학적 물체에 의해 측정되었다. 갈색왜성의 구름 패턴을 측정하는데 편광측정 기술이 활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왼쪽에 보이는 붉은색 천체는 루만 16A의 동반 천체인 루만 16B를 그린 것이다. 이 이중천체계는 지구로부터 6.5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갈색왜성으로 알려진 루만 16A(Luhman 16A)에서 목성이나 토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구름띠의 신호를 포착했다. 과학자들이 태양..
2020.05.15 -
WASP-79b :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는 외계행성
그림 1> 이 상상화는 780광년 거리에 있는 뜨거운 목성형 외계행성 WASP-79b를 그린 것이다. 이 행성은 태양보다 훨씬 뜨거운 자신의 별을 불안정하게 바짝 붙은 궤도로 공전하고 있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더 크고, 섭씨 1600도로 들끓는 깊고 탁한 대기에 둘러싸여 있다. 뜨거운 목성급의 외계행성 WASP-79b의 일기예보를 전해드리자면 뜨거운 증기가 가득하겠고, 구름이 많아 강철비가 내리고 노란 하늘이 뒤덮고 있을 것입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기 위해 칠레에 있는 마젤란 콘소시엄의 마젤란II망원경과 팀을 구성하였다. 이 행성은 태양보다 더 뜨겁고 더 밝은 별인 WASP-79를 공전하고 있다. 이 별은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으로 780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다. WASP-79b는 ..
2020.05.11 -
한국의 밤하늘 3. 유성우가 내리는 밤 (지리산 와운마을)
유성우가 내리는 밤하늘의 풍경은 어떨까요? 언론의 호들갑과 달리 유성우를 만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난 3년 간 유성우다운 유성우를 보여 준 유일한 유성우는 동지 때 발생하는 쌍동이자리 유성우였습니다. 2018년 12월 14일 밤, 쌍동이자리 유성우 풍경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담아 드립니다. 지리산 뱀사골 계곡 와운마을에서 담았습니다.
2020.05.11 -
한국의 밤하늘 2. 소녀와 별 (경남 산청 간디숲속마을)
2020년 1월 5일 새벽.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내리는 날이었습니다. 생각만큼 많은 별똥별이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경남 산청 간디중학교 교정 앞에 세워진 어여쁜 소녀상과 찬란하게 빛나는 별들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2020.05.11 -
파괴되고 있는 C/2019 Y4 아틀라스 혜성
Credit: NASA, ESA, D. Jewitt (UCLA), Q. Ye (University of Maryland) 사진 1> 허블우주망원경이 C/2019 Y4 아틀라스 혜성의 파괴 양상을 최상의 해상도로 잡아냈다. 4월 20일 사진에서는 약 30개의 파편을 식별할 수 있으며 4월 23일 사진에서는 25개로 나뉘어진 혜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혜성은 2019년 12월 미국 하와이의 소행성충돌경보시스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혜성의 파편화는 2020년 4월에 확인되었다. 이 혜성은 3월 중순까지 빠르게 밝아졌으며 몇몇 천문학자들은 초반부터 5월이 되면 이 혜성이 눈으로도 볼 수 있을만큼 밝아져 최근 20여년 내에 가장 볼만한 혜성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이 혜성은 돌연 희미해졌다. 천문학자..
2020.05.09 -
최신천문뉴스브리핑 9. 가장 가까운 블랙홀
2020년 5월 6일 아스트로노미 앤 애스트로피직스(Astronomy & Astrophysics)라는 과학저널에는 '블랙홀을 품고 있는, 눈으로도 볼 수 있는 삼중 천체계'라는 제목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양한 연구소의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유럽남부천문대산하 라실라 천문대의 MPG/ESO 2.2미터 망원경을 이용하여 지구로부터 약 760광년 거리에 있는 이중별 HR 6819를 관측했습니다. 이번 관측은 순전히 이중별 연구를 위한 관측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중별을 구성하고 있는 별들 중, 안 쪽에 있는 별이 모종의 천체와 함께 40일을 주기로, 상호 공전 중에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하지만 상호 공전 중이라는 그 천체는 전혀 눈에 보이지 않았죠. 과학자들의 측..
20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