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3XMM J215022.4-055108 : 허블우주망원경이 추적한 중간질량블랙홀(IMBH)
CREDITS: NASA, ESA, and D. Player (STScI) 그림 1> 이 상상화는 별을 산산조각 내고 있는 블랙홀을 묘사한 것이다. 태양의 수만 배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 강력한 중력으로 지나가던 별을 빨아들이고 있다. 별의 잔해는 블랙홀 주위에 강착 원반을 만들고 있다. 초고온으로 가열된 가스 원반에서 발생하는 X선 플레어는 천문학자들이 블랙홀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현상이 아니라면 이 블랙홀의 존재는 전혀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이 블랙홀은 중간질량블랙홀(Intermediate-Mass Black Hole, IMBH)로 구분된다. 이 블랙홀들은 은하의 중심부에 도사리고 있는 초대질량블랙홀보다 훨씬 적은 질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IMBH는 대개 잠잠한 상태를 유지한다..
2020.05.01 -
S2 : 슈바르츠실트 세차 궤도를 그리는 별
그림 1> 우리은하 미리내 중심의 초대질량블랙홀 주위를 도는 별이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예견한 대로 궤도를 그리고 있다는 사실이 VLT 관측을 통해 사상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 별의 공전궤도는 뉴턴의 중력이론이 예견하는 타원형 궤도가 아닌 장미문양 궤도를 그리고 있었다. 슈바르츠실트세차( Schwarzschild precession )라는 현상으로 알려진 이 궤도가 초대질량블랙홀 주위를 도는 별에서 측정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상상화는 세차에 따른 이 별의 공전 궤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의 공전 궤도는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되었다. 유럽남부천문대(ESO)의 초거대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을 통해 우리은하 미리내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블랙홀 주..
2020.04.30 -
표준모형의 개념 - 천대넓얕 3회 3부
세상을 만드는 레고블럭. 입자물리학의 기본인 표준모형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자칫 장황하게 느껴질 수 있는 우주의 기본 구성 성분에 대한 기초를 다지실 수 있습니다. 천문학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3회 Full 버전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hiQYIHv7gTg
2020.04.30 -
Sagittarius A* 를 읽는 방법.
52초 부분에 나옵니다. '사지타리우스 에이 스타' 라고 읽네요. 천문학 용어집에 'Sagittarius A'는 나옵니다. '궁수자리에이'로 나오는데요. 잘 번역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천문학 용어집에 Sagittarius A*는 나오지 않습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는 '별표'라 읽는 것으로 나옵니다. (출처 : 국립국어원 온라인상담 ) 하여 있는 그대로 표기하여 '궁수자리에이별표'라고 읽으면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2020.04.30 -
메시에 목록의 완성과정 - 천대넓얕 3회 2부
아쉽게도 2020년 올해 메시에 마라톤은 코로나 19로 인해서 열리지 못했습니다. 메시에 마라톤이 열리지는 못했지만 메시에 목록의 완성과정을 공유드리는 것으로 그 아쉬움의 일부나마 달래보고자 합니다. 천문학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3회 Full 버전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hiQYIHv7gTg
2020.04.30 -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별보기 수칙 - 천대넓얕 3회 1부
코로나 19로 우리의 삶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별지기 분들의 별보기 생활에도 변화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감염병 예방을 위한 별보기 수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관측 준비물로 손소독제를 준비합니다. 2. 마스크는 반드시 착용합니다. 3. 다른 분의 장비를 만지지 않습니다. 4. 몸이 안 좋으실 때는 아쉬우시더라도 관측을 다음 기회로 미루도록 합니다. 별보러 가실 때마다 위의 수칙을 준수하셔서 건강한 별보기를 계속 이어 나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천문학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3회 Full 버전은 다음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hiQYIHv7gTg
202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