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2020 여름 1. 별을 기다린다.
한여름밤 비가 내렸다. 인간 세상에 전쟁이 있듯, 자연에는 비가 내린다. 비온 뒤 나서는 이른 아침의 산책 길에는 생사의 갈림길에서 밀려난 처절한 생명의 부스러기들이 널려 있다. 그 밤에 거미 한 마리가 나타나 빨래줄에 거미줄을 쳤다. 낮에 보이지 않아 떠나 버렸나 했는데 삼일째 해가 지면 나타나 묵묵히 마수걸이를 기다린다. 녀석과 이 여름을 같이 보내기로 마음 먹었다. 녀석은 먹이를, 나는 별을 기다린다.
2020.06.13 -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은 첫 세대 별과 은하의 탄생시기.
Credit: ESA/Hubble, M. Kornmesser. 그림 1>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도출된 새로운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기 우주의 첫번째 별들과 은하들은 기존의 생각보다 더 빨리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유럽의 연구팀은 빅뱅 후 10억년 이내의 우주에서 항성종족3(Population III stars)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첫 세대의 별들에 대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 상상화는 초기 우주를 그린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수행된 새로운 연구결과는 초기 우주에서 첫 번째 별과 은하의 생성이 예전에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빨리 일어났음을 말해주고 있다.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유럽의 연구팀은 우주가 탄생한 후 5억 년밖에 되지 않았던 시점까지 조사를 진행한 결과..
2020.06.11 -
350만년 전, 인류의 하늘을 밝힌 거대한 폭발
CREDITS: NASA, ESA, G. Cecil (UNC, Chapel Hill), and J. DePasquale (STScI) 그림 1> 우주적 기준으로보자면 눈깜짝할 순간에 지나지 않는 약 350만 년 전, 거대한 폭발이 우리은하 중심에서 발생했다. 당시는 인류 최초의 조상이 아프리카 평원을 거닐고 있을 때였다. 이들은 강력한 폭발의 결과 밤하늘에 어른거리는 섬광을 봤을 것이다. 오늘날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이 거대한 폭발의 단서를 찾아보고 있다. 약 350만 년 전, 미리내 중심에 도사리고 있는 초대질량블랙홀에서는 거대한 에너지 폭발이 일어났다. 당시는 최초의 인류가 아프리카 평원에 살고 있었던 시기였다. 이들은 궁수자리에서 쏟아져나오는 광채를 목격했을 것이다. 이 현상은 약 ..
2020.06.09 -
마차부자리 AB별(AB Aurigae) : 외계행성이 형성되고 있는 지점을 포착하다.
Credit: ESO/Boccaletti et al. 사진 1> 이 사진은 마차부자리 AB별 주위의 원반을 촬영한 것이다. 이번에 VLT를 이용하여 행성이 형성되고 있는 지점을 포착하였다. 원반 안쪽 사진 한 가운데 인근에 밝은 노란색으로 빛나는 꼬인 지점을 볼 수 있는데 천문학자들은 바로 이 지점이 행성이 만들어지고 있는 지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지점은 태양계로 치면 태양으로부터 해왕성까지의 거리 지점에 해당한다. 이 사진은 VLT에 장착된 SPHERE를 이용하여 편광촬영한 것이다. 만들어지고 있는 행성계의 흔적이 유럽남부천문대(the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이하 ESO)의 초거대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을 이용한 관측으로 포착되었다..
2020.06.09 -
별지기 토크 1 : 천체망원경 구입, 폭망하는 세 가지 방법.
별지기 토크 1회는 천체망원경 구입, 폭망하는 세 가지 방법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첫째. 유명 홈쇼핑, 유명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합니다. 둘째. 천체망원경만 구입합니다. 셋째. 슈퍼문, 일식, 월식, 유성우 등을 보기 위해 천체망원경을 구입합니다. 왜 이러한 행동이 문제가 되는지 동영상을 참고하여 주세요. 천체망원경 구입하고자 하시면 아래의 전문업체를 추천드립니다. 추천 기준은 딱 하나, 여러분들이 천체망원경에 대해 질문을 하셨을 때 이에 대한 성의있는 답변을 들으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이스코프 : http://www.myscope.co.kr/src/main/indexpage.php 선두과학사 : http://www.telescope.kr/?act=main 스텔라에떼 : https://smartst..
2020.06.09 -
태양의 흑점과 달리 은백색 점을 가진 별
Credit: ESO/L. Calcada, INAF-Padua/S. Zaggia 그림 1> 천문학자들이 구상성단에 숨겨져 있는 이른바 뜨거운 수평가지별(the extreme horizontal branch star)이라 불리는 뜨거운 별들의 표면에서 거대한 점들을 발견했다. 이 사진은 거대한 은백색 점을 가진 뜨거운 수평가지별을 그린 상상화이다. 자기장에 의해 촉발된 이 점은 매우 밝게 빛나며 별 표면의 4분의 1을 뒤덮고 있다. 별의 자전으로 인해 이 점은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이로인해 별의 밝기 변화가 발생한다. 자기장에 의해 촉발된 점들로 뒤덮인 뜨거운 별들 천문학자들이 극단적인 온도로 들끓고 있는 뜨거운 별의 표면에서 여러 개의 거대한 점들을 발견했다. 이 별들은 자기장으로 촉발된 점의 홍..
20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