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80)
-
목성과 이오
화산활동이 왕성한 목성의 위성인 이오 사진이 1.8시간 간격으로 세 번 촬영되었다.이오의 크기는 대략 지구의 위성이 달과 비슷한 크기이지만 거리는 2천 배 이상 떨어져 있다. 사진에서 이오는 마치 목성의 대기 상층부에 떠다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 위성은 목성으로부터 50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지구의 위성인 달은 28일마다 한 번 지구를 공전하는데 반해 이오는 목성주위를 1.8일 단위로 공전하고 있다. 목성에 뚜렷하게 보이는 검은 점은 이오의 그림자인데 지름이 3640킬로미터로서 이오 자체와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고 있다.이 그림자는 목성 표면을 초속 17킬로미터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 이오와 목성을 가장 세부적인 해상도로 보면 코네티컷 주의 크기와 비슷한 직경 150 킬로미터까지 식별할 수 ..
2008.02.03 -
금성과 목성
태양이 뜨기 전 동쪽하늘에 빛나고 있는 두 개의 별은 실은 태양의 자식들인 금성과 목성이다. 밤하늘에 달 다음, 2번째와 3번째로 빛나는 금성과 목성은 이 사진이 촬영된 1월 30일에는 보름달 겉보기 크기의 2배 정도(약 2도 )정도로 떨어져 있었지만 2월 2일 이른 아침에는 보름달 겉보기 크기의 1.5배(약1.5도) 까지 가까워졌다. 사진에 잔잔하게 나타난 전경은 카스피아 해의 남동쪽, 새와 야생동물의 중요한 은신처인 미안칼레 반도(Miankaleh Peninsula)와 고간만(Gorgan Bay)의 해안이다. 앞으로 이틀동안 아침일찍 일어나는 사람은 모두 초승달과 함께 가깝게 짝을 이룬 금성과 목성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8년 2월 2일 자) http://a..
2008.02.03 -
목성 대기의 폭풍
사진설명>왼쪽 이미지는 2007년 4월 5일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로, 하와이의 적외선 망원경(Infrared Telescope Facility (IRTF))으로 촬영되었다. 오른쪽 가시광선 이미지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2007년 5월 11일 촬영한 것으로 상단 좌측에 두 개의 분출구름에 의해서 생성된 대기 폭풍의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2007년 3월에 목성 대기상에 분출된 2개의 폭풍에 대한 세부 분석을 통해 목성 내부의 열기가 목성 대기상에 동요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폭발양상의 이해를 통해 목성 대기 깊숙한 곳에서 발생하는 신비로운 대류의 비밀을 밝힐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대기의 순환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제..
2008.01.28 -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목성과 이오
뉴호라이즌 호가 태양계를 항해하면서 경이로운 사진들을 촬영하고 있다.뉴호라이즌 호는 2007년 2월 목성과 활화산으로 익히 알려진 목성의 위성 이오 근처를 통과했다. 적외선으로 촬영된 목성의 이 합성사진에서 대적반이 하얀색으로 보이고 있고, 목성의 복잡한 대기에 타원모양, 소용돌이 모양의 복잡한 태풍들과 행성을 휘감고 있는 대기의 띠가 보인다.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목성의 위성 이오는 합성처리된 것이다. 우연히도, 이오의 화산 트바쉬타르(Tvashtar)에서 연기구름이 분출되고 있다. 서리와 유황용암이 이 위성을 덮고 있고, 파란색의 태양빛을 반사하고 있는 연기구름 바로 아래에 잠깐동안 붉은색 용암이 빛나고 있다. 뉴호라이즌 호는 여행을 계속하여 2015년 명왕성에 도착할 예정이다. 정보출처 : NASA ..
2008.01.08 -
목성의 고리
목성은 왜 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목성의 고리는 1979년 보이저 1호가 목성을 통과할 때 발견되었지만, 고리의 기원은 수수께끼였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목성주위를 공전했던 갈리레오 탐사선에 의해 이 고리들이 목성 주위의 작은 위성들과 충돌한 유성의 파편에 의해 생겨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작은 유성이 목성의 작은 위성 아드라스티아와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 유성은 위성에 크레이터를 남기면서 기화되고, 이 충격으로 폭발되어 나온 파편과 먼지들이 목성궤도로 날아들게 된다. 이 사진은 목성이 해를 가리는 시점에 갈릴레오 탐사선으로부터 촬영된 것이다. 고리를 구성하고 있는 먼지입자들뿐만 아니라 태양빛을 반사시키고 있는 목성 상층 대기의 작은 먼지입자들도 볼 수 있다. 정보출처 : NA..
2008.01.06 -
목성 극지방의 오로라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2월 28일 목성을 근접비행한 뉴호라이즌호의 도움으로, 2월 17일과 21일까지 촬영한 목성의 가시광선 및 자외선 영상이다. 사진에서 네모박스안의 부분부분은 허블ACS 자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다. 자외선 이미지를 통해 목성의 극지방에 항상 나타나고 있는 오로라를 볼 수 있다. 이 오로라들은 지구의 북극에서 볼 수 있는 오로라보다 10배에서 100배 밝은 빛을 띄고 있다. 이 오로라들은 태양에서 발생한 대전입자들이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에 충돌하면서 자기장 극 근처의 대기 상층부에서 형광가스가 발생하면서 생성되는 것이다. 목성의 적도 부근 사진은 2007년 2월 17일 광대역행성형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을 통해 목성의 주요 대기에 존재하는 구름의 구조를 알 ..
2008.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