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곰자리 8

큰곰자리(URSA MAJOR) 신화

1. 칼리스토와 아르카스 출처 : 변신 이야기1 p82 ~ 90, 오비디우스 저, 이윤기 옮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 칼리스토를 범한 유피테르 신들의 아버지이자 전능한 신인 유피테르는, 파에톤으로 인한 화변으로 혹 성벽에 상한 데가 없는지 알아보려고 천궁을 두루 돌아다녔다. 천궁은 이미 말짱하게 고쳐져 있었다. 천궁이 여전히 난공불락의 철옹성임을 확인한 유피테르는 이번에는 인간 세상을 살피러 하계로 내려갔다. 그가 가장 근심한 것은, 평소에 사랑하던 땅 아르카디아였다. 아르카디아로 내려간 그는 그때까지도 흐르지 못하는 강은 다시 흐르게 하고, 말라버린 샘은 다시 물로 가득 채웠다. 또 맨살이 드러난 대지는 풀과 나무로 옷을 입히고 황무지가 된 땅은 다시 푸른 숲이 되게 했다. 이렇게 분주하게 다니며 일..

큰곰자리 관측 대상 천체목록

큰곰자리 관측대상 천체목록입니다. 꾸준히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하기 목록은 첨부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No 대상 분류 별칭 밝기 각크기/각분리 거리(광년) 적경 적위 찾아가는 방법 1 Hickson 56 은하군 14.1 (총 밝기) 2.4' (총 각크기) 5억 광년 이상 11시 32.6분 +52° 57' 2 IC 2458 은하 홈버그 124, Holmberg 124 15.0 0.5' x 0.2' 7600만 광년 9시 21.5분 +64° 14' NGC 2820의 서쪽 끄트머리, 수프렌치도 10인치에서 못 봤다고 함 3 IC 2574 나선은하 코딩턴 성운(M81은하군) 10.4 13.2' x 5.4' 10시 28.4분 +68° 25' NGC 3077에서 동쪽 1.6도 지점의 6등급..

큰곰자리(URSA MAJOR) 천체목록

본 블로그에 포스팅되어 있는 큰곰자리 천체 목록입니다. 목록은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갱신해 나갈 예정입니다. 별지도출처 : http://www.iau.org/public/themes/constellations/ 가대 : EQ6Pro 적도의, 카메라 : Cannon EOS 650D 무개조 렌즈 : EF 16mm f/2.8L II USM Tv(셔터 속도) : 61.3초 Av(조리개값) : 3.2 ISO : 6400 촬영일시 및 장소 : 2015년 4월 25일 02시 31분, 강원도 인제 아홉싸리재, 무보정 북두칠성 https://big-crunch.tistory.com/12347819 M51, M101, M108 https://big-crunch.tistory.com/12348483 M81(나선은하) - 11..

북두칠성

보이세요? 이 질문은 종종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형태를 이룬 이 자리별을 찾아볼 때 질문되곤 한다. 이 자리별(Asterism)은 바로 북두칠성이다. 이 일련의 별들은 수 세대에 걸쳐 언제나 목격되어 왔고, 앞으로도 계속 목격될 몇 안되는 자리별 중 하나이다. 북두칠성은 그 자체로만 독립적인 별자리를 이루지는 않는다. 이 자리별은 큰곰자리의 한 부분이지만, 북두칠성은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진 자리별이다. 국자 모양을 구성하고 있는 다섯 개의 별은 실제 우주공간에서 서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마도 거의 동시에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큰 국자의 앞 부분 두 개의 별을 쭉 이어보면 이 연장성은 작은곰자리의 한 구성원인 북극성과 연결된다. 각 별들의 상대적인..

M82

무엇이 이 시거 은하(the Cigar Galaxy)에 불을 붙인 것일까? 뷸규칙은하로 분류되어 있는 M82는 최근 지근거리를 지나치고 있는 거대나선은하 M81에 의해 휘저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이것만으로는 터져나오고 있는 붉은 색 가스의 원인을 설명하지 못한다. 최근의 연구는 이 가스들이 수많은 별들로부터 복사되어 뻗어나오는 입자들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별들로부터 복사되어 나오는 입자들은 은하전반에 강력한 기류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 모자이크 사진에는 대전된 수소 가스로부터 방출되는 붉은 색이 강조되어 있어 붉은 가스선의 세부모습까지 볼 수 있다. 이 가스는 1만 광년 이상으로 뻗어있다. 1천 2백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시거 은하는 적외선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천체이며 큰곰자리 방향으로..

남반구와 북반구의 올빼미 성운

천체망원경으로 잡아낸 이 사진에는 지구를 향해 눈을 부릅뜨고 있는 우주의 올빼미 모습이 재미있게 담겨있다. 왼쪽은 올빼미 성운으로도 알려져 있는 M97로서 큰곰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른쪽 천체는 바다뱀 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남반구의 올빼미 성운으로서 PLN 283+25.1로 등재되어 있다. 두개 성운 모두 원형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크기도 비슷하여 약 2광년의 지름을 가지고 있다. 이는 우리 태양계 해왕성 궤도의 약 2천배에 달하는 크기이다. 행성상성운은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이 생명주기의 막바지에 이르러 만들어지는 천체로서 우리 태양 역시 다음 50억년 동안 모든 핵연료를 소진한 후 같은 운명에 처해지게 된다. 두 개 사진 모두 협대역 필터를 통해 촬영되었지만 다른 색으로 매핑처리되었다. 남반구 ..

새로운 눈이 열리다.-11-

2009년 9월 9일부터 업그레이드 된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고해상도 천체사진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2009년 9월 9일 발표된 허블 사이트의 뉴스를 나누어 싣습니다. 뉴스 헤더는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5815 ) 이 사진은 새로 수리된 허블의 ACS(the Advanced Camera for Surveys)에 의해 촬영된 첫번째 천체 사진이다. ACS의 조작체계는 허블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인 STS-125 임무수행동안 재구축되었다. 막대나선은하 NGC 6217은 2009년 6월 13일과, 7월 8일에 허블 ACS의 테스트와 조정작업의 일환으로 촬영되었다. 이 은하는 북반구 극점 부근의 큰곰자리에 있으며 6천만 광년 떨어져 있다..

큰곰자리 방향 은하들

이 사진을 주의깊게 보면 큰곰자리 방향에 가까이 또는 멀리 위치하는 놀랄만큼 많은 은하들을 볼 수 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오른쪽 중앙에 뒤틀린 나선은하 NGC 3718의 선명한 모습이다. NGC 3718의 희미한 나선팔들이 휘어감긴 채로 쭉 뻗어 있는 모습이 보이고 이 먼지 대역이 교차되는 지역에 밝은 중심부가 보이고 있다. 그 왼쪽으로 15만 광년 거리에 다른 나선 은하 NGC 3729가 보인다. 이 두 은하 간에는 중력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영향은 NGC 3718이 기묘한 모습을 띄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이 한 쌍의 은하가 5천 2백만 광년 떨어져 있음에 반해 NGC 3718의 바로 아래쪽에 힉슨 밀집은하군 56이라는, 4억광년 떨어진 은하군이 보이는데, 이 은하군은 중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