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상성운 31

IRAS 12419-5414

부메랑 성운은 어린 행성상성운으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들 중 가장 차가운 온도를 지닌 천체이다. 이 천체는 센타우루스 자리에 지구로부터 5천광년 떨어져 있다. 행성상성운은 별이 일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가스를 뿜어니면서 형성되는 천체이다. 부메랑 성운은 우주에서 특이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천체이다. 1995년 칠레에 위치한 유럽우주국 서브밀리미터 망원경을 사용한 관측결과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가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차가운 온도를 가진 지역임을 밝혀냈다. 당시 측정된 온도는 영하 272도였는데 이는 절대온도 0도에서 단지 1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온도이다. 빅뱅으로 인한 우주배경복사가 영하 270도이니 이 성운보다도 오히려 따뜻한 축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천체는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 ..

NGC 2818

독특한 행성상성운인 NGC 2818은 산개성단 NGC 2818A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성운과 성단은 남반구 나침반 자리에, 지구로부터 1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NGC 2818은 산개 성단안에 위치한 행성상성운으로 우리 은항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성운이다. 일반적으로 산개성단이란 수억년에 걸쳐 별들이 지속적으로 분산되고 있는, 별들이 느슨하게 무리지어 있는 천체를 말한다. 이에 반해, 행성상성운을 만드는 별들은 일반적으로 수십억년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산개 성단이 행성상성운을 거느리고 있다는 얘기는 산개성단에 속한 별이 행성상성운을 만들만큼, 산개성단 자체가 오랫동안 수명을 유지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이 산개성단은 특출하게 오래된 산개성단이 되는데, 그..

NGC 6543

행성상성운 NGC 6543은 그 아름다운 형상으로 인해 고양이 눈 성운이라는 대중적인 별칭을 가지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1995년 초에 촬영한 멋진 사진을 통해 이 성운의 세부적인 외양을 알게 되었고이 행성상성운이 3천광년 떨어진 우리의 태양과 같은 별이 일생을 마치면서 뿜어내고 있는 가스에 둘러싸인 성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진에 최근 찬드라 X선 망원경에 의해 관측된 X선 이미지가 덧붙여졌으며, 이를 통해 이 성운에서 극단적인 뜨거운 온도의 가스로부터 강력한 X선이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X선 복사가 방출되는 부분이 이 성운의 중앙에 푸른색-자주색 색조로 나타나있다. 이 성운의 중앙에 있는 별은 수백만 도의 엄청난 온도로 X선을 분출하고 있는 가스속에 완전히 잠겨 있다. 이렇게 X선을..

IC 4406

이 사진은 IC 4406이라 불리는 최후를 맞고 있는 별로부터 발생하는 찬란한 색깔을 촬영한 것이다. 행성상성운이라 불리는 대부분의 천체들이 그렇듯이 IC 4406 역시 높은 대칭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성운의 오른쪽과 왼쪽이 마치 거울에 비친것처럼 보인다. 만일 우리가 IC 4406으로 우주선을 타고 접근한다면 죽어가고 있는 별로부터 외곽으로 방출되고 있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도넛 모양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진은 지구 궤도의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이어서 도넛 형태는 나타나있지 않다. 우리가 위치한 지점에서는 그 측면만을 볼 수 있을 뿐인 것이다. 이 각도에서는 섬세하게 얽힌 덩굴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이유로 이 모습은 우리 눈의 망막과 비교되어 왔다. 사실 IC 4406은 '망..

NGC 7293

행성상성운에 특이하게 보이는 가스와 먼지의 점들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가락지성운(Ring Nebula), 덤벨성운(Dumbbell Nebula), 에스키모성운(Eskimo Nebula)에서 발견되는 이 점들의 존재는 전혀 예견되지 않은 것들이며 그 기원에 대해서도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사진에 나타난 멋진 이미지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성운(Helix Nebula)으로, 신비로운 가스 점들의 대단히 세부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에 나타난 혜성처럼 생긴 먼지 점들은 지구와 유사한 질량을 가지고 있지만 공전궤도의 반경은 명왕성 궤도의 수배에 달한다. 이처럼 가스들이 점점이 나눠지며 변화되는 양상에 대한 하나의 가설은, 밀도는 덜 나가지만 중심부의 별에서 발생한 강력한 고에너지 태양풍으로..

NGC 2371

허블 우주망원경이 불타오르는 가스와 먼지 구름에 의해 둘러싸여 최후를 맞고 있는 별을 탐색함으로써,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구조를 밝혀내었다. 이 천체는 NGC 2371이라 불리는 행성상성운으로 우리 태양과 같은 별의 잔해가 불타오르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의 정 중앙에 보이는 잔해는 이전 적색 거성 단계의 매우 뜨거운 중심핵으로서 지금은 별의 외피 부분을 모두 벗어던진 상태이며, 그 표면 온도는 무려 13만 도에 달한다. NGC 2371은 쌍둥이 자리에 4300 광년 떨어져 있다. 허블이 촬영한 사진에는 몇몇 눈길을 끄는 구조들이 보이는데, 이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분홍색 구름이 중앙 별의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색채가 나타나는 이유는 이들을 구성한 가스가 이 성운의 여타 부..

NGC 3132

NGC 3132은 대단히 인상적인 행성상성운의 예이다. 죽어가는 별을 둘러싸고 팽창을 계속하고 있는 가스 구름의 이 행성상성운은 '8자 폭발(Eight-Burst)' 또는 '남반구 가락지'(Southern Ring)우주구름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남반구에서 아마추어 천문가에 의해 발견되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opo9839a.html 참고 : NGC 3132를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y.com/12346974 원문> NGC 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