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ctilucent Clouds 6

페르세우스 별비, 오로라, 야광구름.

8월의 스웨덴 북쪽 밤하늘은 사람을 애태우게 만드는 몇몇 풍경을 연출해 낼 수 있다. 북두칠성을 바라보며 촬영된 이 아름다운 밤하늘 사진은 2015년 8월 12일~13일 사이에 촬영된 것으로 세개의 풍경이 담겨 있다. 점점 물러나고 이때즈음의 북쪽하늘 바로 위로 야광구름이 걸려 있다. 사랑스러운 초록빛 오로라 띠 바로 아래에 걸려 있는 야광구름은 아주 높은 고도에서 먼지에 얼음이 응축되면서 만들어지며 오로라와 마찬가지로 우주의 끝자락에서 밝게 빛난다. 해마다 나타나는 페르세우스 별비의 섬광 또한 사진을 장식하고 있다. 앞으로 며칠동안 페르세우스 별비가 절정에 다다르면서 밤하늘을 촬영하는 사진가들에게 해트트릭의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6년 8월 11일 자) ht..

프랑스 상공의 야광구름

프랑스 북부에서 밝게 빛나는 야광구름의 모습은 그다지 낯익은 풍경이 아니다. 그러나 지난 6월 6일 동트기 바로 전에 프랑스 파드칼레의 작은 마을 왕쿠르트의 하늘을 이 감청색의 파도가 가로질러갔다. 우주로 접어들어가는 경계인 80킬로미터 고도의 이 얼음 구름은 지상에서 봤을 때는 아직 떠오르지 않은 태양빛을 반사해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높은 하늘에서 아주 얇게 형성되는 이 구름은 극지중간층구름(polar mesospheric clouds)으로도 알려져 있다. 계절적으로 나타나는 이 구름은 산산히 분해된 유성이나 화산재에 의해 대기상에 유입된 미세한 먼지 알갱이들에 상층 대기에서 수증기가 들러붙어 응축되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NASA의 AIM 미션은 우주에서 이 야광구름의 투사영상을..

하늘의 광맥

어둠에 잠긴 하늘에 스며들고 있는 태양빛, 야광운의 독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이 사진은 이달 초 스웨덴 고트랜드섬에서 촬영된 것이다. 80킬로미터 상공, 우주와 맞닿은 부분에 위치하는 이 구름들은 태양이 이미 지평선 아래로 내려갔음에도 태양빛을 반사하며 밝게 빛나는 구름이다. 일반적으로 여름밤 높은 고도에 나타나는 이 구름이 이번 7월 그 선명한 모습을 드러냈다. 극지 중간대기층 구름(polar mesopheric clouds)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구름은 유성파편이나 화산재에 의해 공급된 미세한 먼지 입자들이 상층대기로 상승하면서 차가워진 수증기와 응축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NASA의 AIM 위성은 우주에서 바라본 야광운의 분포정보를 매일매일 제공해주고 있다. 출처 : NASA - ..

런던 상공의 야광운

7월 3일 이른 아침에 찰영된 이 사진은 웨스트민스터 다리에서 템즈강을 가로질러 바라본 모습을 담고 있다. 화려한 동영상의 일부인 이 사진은 런던의 익숙한 풍경인 조명을 가득 밝힌 런던 아이(the London Eye)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사진에서 익숙하지 않은 풍경은 어두운 밤하늘에서 여전히 밝게 빛나고 있는 것으로서 이것은 넓게 퍼져 있는 야광운이다. 지구 상공 80킬로미터 지점, 우주와 맞닿은 지점에 존재하는 이 얼음 구름은 지상에서 봤을 때는 이미 지평선 아래로 저문 태양의 빛을 반사하면서 여전히 밝게 빛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름에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환영처럼 얇게 펼쳐지는 이 구름은 극지 중간층 구름(polar mesospheric clouds)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구름..

야광운과 오로라

왜 하늘은 해가 진후에도 여전히 밝게 빛나고 있을까? 별과 우리 은하의 띠 말고도 하늘은 야광구름이나 오로라에 의해 여전히 빛이 서려있을 수 있다. 개개의 현상으로도 드물게 목격되는 이 두 개 현상이, 이달 초 스코트랜드 케이스네스에서 하룻밤에 한꺼번에 발생했으며 이 장면이 동영상에 담겨 있다. 1885년 처음으로 기록이 야광운은 비록 세부적인 내용이나 다른 많은 원인론들이 여전히 연구과제로 남아 있긴 하지만 많은 야광운들이 대기상 유성의 궤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빛을 반사하는 얼음 결정들로 이뤄져 대기상에 유유히 떠다니는 밝은 선형뭉치들은 지구의 대기 가장 높은 곳에서 형성되는 구름이다. 동영상에는 다양한 야광운뿐 아니라 수분에 걸쳐 그 구조가 변화하는 모습도 함께 담겨 있다. 낮은..

우주의 끝자락에 뜨는 구름

밤에 빛을 내는 구름들은 우주의 끝자락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구름들이다. 약 80킬로미터 상공 이상에 위치하고 있는 이 얼음 구름들은 지상에서 태양이 완전히 지평선 너머로 넘어간 이후에도 태양빛을 받아 밝게 빛을 낸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높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극지 증간층 구름(polar mesospheric clouds)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투명한 유령과 같은 구름은 보다 낮은 고도의 대기에서 발생하는 지구적 규모의 변동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야광운을 담고 있는 이 평화로운 풍경의 사진은 지난 달, 스웨덴 벡스홀름이라는 해안도시 근처에서 촬영되었다. 사진이 촬영될 당시 이 곳의 시간은 자정즈음이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2년 8월 22일 자) http://ap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