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agittarius 8

라군 성운

거대하고 장엄한 규모를 가진 라군 성운은 수많은 어린 별들과 고온 가스가 머물고 있는 집이다. 100광년에 걸쳐 뻗어있는 엄청난 규모와 5천광년밖에 되지 않는 거리로 인해 라군 성운은 궁수자리에서 망원경 없이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이 성운에 담겨있는 고작 수백만년 전에 생성된 산개성단 NGC 6530에서는 수많은 밝은 별들을 볼 수 있다. M8, NGC 6523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거대한 성운의 이름이 '라군(Lagoon)'으로 지어진 이유는 중심에 위치한 산개성단의 오른쪽으로 보이는 일련의 먼지대역 때문이다. 이 성운의 중앙에 위치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밝은 점은 '모래시계'성운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진은 GigaGalaxy Zoom project의 일환으로 촬영된 사진으로 칠레 라실라 천문..

은하수의 중심부

지구의 밤하늘에서 궁수자리에서 전갈자리까지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로서 매우 아름다운 부분에 해당한다. 사진은 34 x 20 도 영역으로 펼쳐져 있는 하늘을 52개 구역으로 나누어 200시간의 노출을 통해 촬영된 1200개의 개개 이미지를 합성한 장대한 기가픽셀 모자이크 사진이다. 유럽 남방 천문대의 Gigagalaxy Zoom Project의 일환으로 집대성된 이 사진들은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서 빼어나게 청명하고 어두운 하늘을 보여줬던 총 29일의 밤하늘을 배경으로 소규모 천체망원경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숨막힐정도로 멋진 모습을 자랑하는 이 사진에는 복잡한 먼지대역 및 밝은 성운과 성단들이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가득채우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왼쪽부터 시작해서 라운성운과 삼엽성운, 고양이 발성운과 ..

NGC 6537

거대한 파동에 의해 침식되고 있는 두 개의 둥근 돌출부를 가진 이 성운은 궁수자리 방향으로 3천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행성상성운은 우리에게 가장 뜨거운 별로 알려진 별들 중 하나를 품고 있는데, 이 별은 높이 1천억 킬로미터에 달하는 파동을 뿜어내고 있다. 초음속 충격파에 의해 촉발된 이 파동은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 성운의 둥근 돌출부의 전면에서 국부 가스가 압축되고, 가열되면서 그 강도를 더하고 있다. 그 충격파에 갇힌 원자들의 복사에 의해 만들어진 멋진 광경이 이 사진에 담겨 있는 것이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he..

M8

라군 성운에서는 별들과 가스 및 우주먼지간에 전쟁이 벌어지고 있지만 여기서 승리를 거두는 이는 사진가이다. M8로도 알려져 있는 이 멋진 성운은 궁수자리 방향으로, 육안으로도 볼 수 있는 성운이다. 새로운 별을 생성시키는 왕성한 작용은 화려한 색채 뿐 아니라 이 지역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위적으로 색깔이 구분되어 있는 영역에서 상단 왼쪽으로 보이는 붉은 빛의 불타는 가스는 고에너지의 별빛이 성간 수소가스와 충돌한 결과로 생겨나는 것이다. 오른쪽 멀리 보이는 성운은 삼엽성운이다. M8을 수놓고 있는 어두운 먼지선들은 차가운 거성의 대기작용과 초신성 폭발 잔해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M8은 5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너비는 약 50광년에 달한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

삼엽성운

삼엽성운에서는 말로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과 상상할 수 없는 소동을 함께 발견할 수 있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멋진 성운은 성능이 좋은 쌍안경 정도라면 궁수자리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새로운 별을 생성하는 왕성한 작용들은 사진에 보이는 찬란한 색채뿐 아니라 지독한 혼동도 만들어내고 있다. 붉은 색으로 불타고 있는 가스는 고에너지의 별빛이 성간 수소 가스를 때리면서 발생시키는 것이다. M20을 수놓고 있는 검은 먼지 띠는 차갑고 거대한 별들의 대기와 초신성 폭발잔해에 의해 생성된 것인데, 푸른 반사 성운을 만들어내고 있는 어린 별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연구대상으로 남아 있다. 비록 이 성운까지의 거리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오늘 우리가 바라보는 M20은 대략 3000년 전의 모습이며, 이..

NGC 6514

NGC 6514와 M20으로 등재되어 있는 삼엽성운은 우리은하에서 새로운 별들을 생성하는 구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성운이 삼엽성운으로 불리는 이유는 소규모 천체망원경으로 이 성운을 관측했을때 3개의 대역으로 겹쳐져 있는 짙은 성간먼지들이 이 성운을 삼등분하듯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 성운은 궁수자리방향으로 9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opo0417b.html 참고 : M20을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

M17

허블이 촬영이 이 사진은 거대한 질량과 밝은 광채를 자랑하는 분자성운, 메시에 17을 촬영한 것으로써 수소와 산소, 황으로 구성된 불타는 가스가 마치 격랑과 같이 보이고 있다. 이 사진은 M17에서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부분만을 촬영한 것이다. 오메가 성운 또는 백조성운이라고도 불리는 이 성운은 궁수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5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의 발사 13주년을 기념하여 발표된 사진이다. 파도를 닮은 모양의 가스는, 사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사진 상단 좌측 바깥쪽에 위치하는 젊고 거대한 별로부터 뿜어져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조각된 것이다. 가스가 이루고 있는 모양에서 가장 압권은 가스들이 이루고 있는 입체구조이다. 자외선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