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유럽남부천문대(ESO)(217)
-
VLT가 촬영한 세레스
이 사진들은 2주 간격으로 촬영된 사진들로서 난쟁이행성 세레스의 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이 사진은 지금까지 난쟁이행성을 지상에서 촬영한 사진으로는 최상의 해상도를 자랑하는 사진이다. 이 사진들은 2015년 7월 중순이래 ESO 초대형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VLT)에 장착되어 운용되고 있는 SPHERE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되었으며 세레스의 표면이 편광계지도로 합성되었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벨트에서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세레스는 1801년 소행성 벨트의 천체로서는 최초로 발견된 천체이며 소행성벨트에서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하는 천체이다. 세레스는 또한 지구 근처의 천체로서는 가장 많은 물을 보유한 천체이기도 하다. 이 물의 대부분은 맨틀에 얼음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
2015.09.09 -
Gum 56 : 우주적 재활용
사진 1> 가스 구름이 풍부하게 들어찬 이 사진은 참새우 성운(the Prawn Nebula )이라는 별칭을 가진 거대한 별들의 육아실의 일부를 촬영한 것이다. 이 성운의 공식 등재명칭은 Gum 56, 또는 IC 4628이다. 칠레 라실라 천문대의 MPG/ESO 2.2미터 망원경으로 촬영된 이 사진은 지금까지 촬영된 Gum 56 성운의 사진으로는 최상의 사진일 것이다. 사진에는 구름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일단의 갓태어난 뜨거운 별들이 보인다. 사진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Gum 56 거대 성운의 일부이다. 이 지역은 그 속에 품고 있는 뜨겁고 어린 별들에 의해 밝게 빛나고 있다. 수백만년 동안 성운의 가스로부터 별들이 탄생되었고, 이 별들이 나이가 들어 초신성 폭발과 같은 파괴적인 방식이나 분출과 같..
2015.09.06 -
라실라 천문대 하늘의 별일주
Credit:ESO/A.Santerne ESO의 사진대사 알렉산더 산테르네(Alexandre Santerne)가 촬영한 이 사진은 처음 봤을 때는 약간 혼동스러워보인다. 착시현상이나 추상화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칠레 ESO 라실라 천문대 상공의 남극점을 중심으로 별들의 일주를 담아낸 것이다. 각 원호는 하나의 별을 나타낸다. 오랫동안의 노출을 이용하여 하늘을 담으면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하늘을 가로지르는 별들의 움직임이 담기게 된다. 칠레 아타카마 사막의 가장자리, 해발 2400미터 고지에 자리잡고 있는 라실라 천문대는 이처럼 오랫동안의 노출을 이용한 사진을 촬영하기에 완벽한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이 지역은 일년에 300일 이상 청명한 날씨가 유지된다. 이 지역에는 ESO 소속의 여러 빛통들이 입주에 ..
2015.08.24 -
IC 4651
사진 1> 찬란한 별들이 수놓고 있는 이 테피스트리는 칠레 라실라 천문대의 MPG/ESO 2.2미터 망원경에 장착된 광대역화상기를 이용하여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은 산개성단 IC 4651의 모습으로서 이 별무리는 제단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것과 같은 산개성단은 아름다운 사진 촬영의 대상으로서만 완벽한 대상은 아니다. 이와 같은 별무리들은 별무리 내에 있는 대부분의 별들과 함께 과학자들로 하여금 별들이 어떻게 진화하고 최후를 맞는지를 연구할 수 있게 해주는 실험실이기도 하다. 라실라 천문대의 광대역 화상기(the Wide Field Imager, 이하 WFI)로 촬영된 이 별무리는 IC 4651로서 다양한 별들을 품고 있는 별무리이다. 별들이 느슨하게 몰려 있는 이 별무리는 IC 4651..
2015.08.19 -
우주의 무지개 : 차이난토르 고원 상공의 미리내
ESO Ultra HD 원정팀의 일원인 바박 타프레시(Babak Tafreshi)가 촬영한 이 파노라마 사진에는 칠레 안데스, 차이난토르 고원의 하늘에 아치를 그리고 있는 미리내와 그 아래 도열해 선 ALMA 안테나들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해발 5천미터 고지에 자리잡은 차이난토르 고원은 ALMA에게는 이상적인 관측 장소가 되고 있다. ALMA는 우주에서 가장 차가운 지역을 밀리미터 및 서브밀리미터 파장으로 관측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고원이 제공하는 극단의 건조한 기후는 해발고도와 비슷해질수록 강하게 나타나는 수증기에 의한 서브밀리미터 복사의 흡수나 약화가 최소화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ALMA가 우주의 비밀을 찾아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박 타프레시와 그의 동료들 역시 ALMA와 그 주변의 독특한 환..
2015.08.17 -
천천히 죽어가는 우주
사진 1> 이 사진은 일반적인 은하가 GAMA 서베이에서 사용한 다양한 파장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거대 프로젝트에서는 20만개 이상의 은하를 대상으로 근거리 우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가장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 우주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20억년 전에 비해 반이 줄어든 상태이며 에너지의 감소 양상은 자외선에서부터 원적외선에 이르는 모든 파장에서 골고루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제 천문학 연구팀이 20만개 이상의 은하들을 연구하여 우주의 거대 지역 내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해냈다. 이번 연구는 근거리 우주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가장 포괄적으로 측정해낸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늘날 우주의 특정 부분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20억년 전..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