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찬드라 X선 망원경 31

NGC 1333

별무리 NGC 1333 에 대한 새로운 사진이 발표되었다. 찬드라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분홍색의 X선 데이터가 적외선(빨강색) 및 가시광선(빨강,초록,파랑) 데이터와 합성되었다. NGC 1333은 780광년 거리에 있는 별무리로서 수많은 어린 별들을 품고 있다. X선 관측 결과는 이 어린 별들의 밝기 및 여러 속성들에 대한 정보를 밝혀주었다. 지구의 폭죽은 짧은 시간 나타났다 사라지지만 가까운 별무리에서 나타나고 있는 우주 불꽃은 아주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다. NGC 1333 은 나이가 2백만 년도 채 되지 않은 수많은 어린 별들을 품고 있는 별무리이다. 2백만 년이라는 시간은 수십억년의 삶을 사는 태양과 같은 별들의 시간 척도로 봤을 때 눈깜짝할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 이번 사진은 NASA 찬드라 X선 망..

컴퍼스자리 X-1 (Circinus X-1)

중성자 별 주변에서 나타나는 별의 메아리를 통해 해당 중성자별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결정할 수 있었다. 이 빛의 메아리는 폭발로부터 발생한 X선이 먼지 구름에 부딪혀 튀어나오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천문학에서 거리를 측정하는 것은 어렵기로 악명높은 일이기 때문에 이처럼 빛의 메아리를 만들어내는 천체는 매우 귀한 대상이 된다. 컴퍼스자리 X-1 까지의 새로운 거리 측정 결과 그 거리는 이전의 측정치보다 두 배 이상 더 확장되었다. NASA의 찬드라 X선망원경이 미리내에 반대편에 위치하는 머나먼 천체까지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있는 드문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 천체는 컴퍼스자리 X-1 (Circinus X-1)이라 불리는 천체로서 별의 폭발이후 남겨진 핵인 중성자별과 상호공전하는 무거운 별을 품고 있는 ..

NGC 5813 : 블랙홀이 여러차례 분출을 일으킨 증거를 찾아내다.

NGC 5813의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은 지난 5천만년동안 수차례 분출이 발생한 바가 있음을 찬드라우주망원경의 데이터가 보여주었다. NGC 5813은 뜨거운 가스를 담고 있는 거대한 저장고에 들어있는 은하군이다. 이 뜨거운 가스에서 찬드라가 탐지해낸 동공부나 거품들이 바로 블랙홀의 분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NGC 5813에 대한 찬드라우주망원경의 관측은 X선으로 수행된 은하군의 관측으로서는 최장시간에 도달한 관측이 되었다. 천문학자들이 NASA 찬드라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지난 5천만년동안 여러차례 분출을 일으킨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건은 은하군의 중심부에 나타나는 풍경을 변화시켰다. 과학자들은 지구로부터 1억 5백만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은하군인 ..

시공간 거품 : NASA의 망원경들이 시공간 양자 거품의 한계치를 설정하다.

X선과 감마선을 이용한 먼 거리 퀘이사 관측이 극도로 미세한 영역에서 시공간을 실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어떤 모델은 매우 작은 거품의 크기가 원자 핵보다 천조 배나 작을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 거품(space-time foam)'은 직접적인 관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이 아이디어를 실험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NASA의 찬드라 X선 망원경과 페르미 감마선 망원경 그리고 고에너지 복사 화상화 망원경 배열 (the Very Energetic Radiation Imaging Telescope Array, 이하 VERITAS)의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연구가 과학자들로 하여금 극도로 미세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시공간의 양자적 본성을 한정하는데 도움을 ..

마그네타 SGR 1745-2900

미리내의 초거대질량 블랙홀 근처에 있는 마그네타가 독특한 행동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2013년에 발견된 이 마그네타는 찬드라 X선 망원경과 XMM-뉴턴망원경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다. 이 마그네타로부터 발생하는 X선은 다른 마그네타보다 느리게 감소하고 있으며 그 표면은 비정상적으로 뜨거운 상태이다. 2013년에 천문학자들은 찬드라 X선 망원경을 포함한 우주에 자리잡고 있는 망원경들을 이용하여 미리내 중심부, 초거대질량의 블랙홀과 대단히 가까운 곳에 위치한 마그네타의 발견을 보고한바 있다. 마그네타는 중성자 별이라 불리는 고밀도의 붕괴된 별로서 엄청나게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는 별이다. 이 마그네타가 자리잡고 있는 위치는 우리 태양 질량의 4백만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진 미리내 중심의 블랙홀로부..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블랙홀을 암시하는 퀘이사들

찬드라우주빛통을 통한 새로운 연구는 엄청난 양의 물질들을 먹어치우는 블랙홀들의 존재를 알려주고 있다. 이 블랙홀 주변에는 두꺼운 도넛 모양의 원반들이 감싸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이 복사의 상당 부분을 막아서고 있다. 이 일련의 퀘이사 속에 위치하는 블랙홀들은 비정상적인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천문학자들은 NASA 찬드라 X선 빛통을 이용하여 51개의 퀘이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왔으며 이곳에서 엄청난 양의 물질을 먹어치우는 독특한 블랙홀들의 존재를 발견한 것으로 보인다. 이 퀘이사들은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을 품고 있으며 각각 다른 유형의 빛으로 밝게 빛나고 있다. 찬드라 빛통에 의해 수집된 X선의 속성을 조사함으로써, 그리고 이 데이터를 자외선및 가시광선으로 관측한..

NGC 6388 : 행성을 파괴시킨 백색난쟁이별

미리내 외곽에서 행성 하나가 백색난쟁이별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 백색난쟁이별이란 태양과 같은 별이 핵연료를 모두 소진하고 고밀도 핵만 남은 별을 말한다. 찬드라우주망원경과 다른 망원경들의 관측 데이터를 함께 고려한 결과 천문학자들은 이번에 관측된 대상이 중력작용에 의해 파괴된 행성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행성의 파괴라는 것이 아마도 공상과학영화의 소재처럼 들리겠지만 천문학 연구팀이 미리내 외곽에 위치한 고대의 별무리에서 이러한 일이 실제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증거를 발견했다. NASA의 찬드라X선망원경을 포함한 몇몇 망원경의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과학자들은 백색난쟁이별이 지나치게 가깝게 접근한 행성을 찢어놓은 것으로 보이는 현상을 발견했다. 어떻게 지구정도 크기밖에 되지 않는 백색난쟁이별이 이처..

고전 신성(classical nova) 페르세우스자리 GK 별 (GK Persei)

페르세우스자리 GK 는 백색왜성의 표면에서 핵융합반응 폭발에 의해 생성된 "고전 신성(classical nova)"이다 고전 신성은 초신성 폭발의 축소 버전으로 간주된다. 천문학자들이 찬드라 X선망원경을 이용하여 거의 14년에 달하는 간격을 두고 페르세우스자리 GK 별의 변화를 관측했다. 페르세우스자리 GK 별에 대한 새로운 사진에는 X선(파란색), 가시광선(노란색), 라디오파(분홍색)의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헐리우드의 블록버스터 영화들을 보면 스타 배우들 사이에서 폭발이 발생하곤 한다. 우주에서 발생하는 실제 별들의 폭발은 별들의 탄생 및 삶과 죽음, 그리고 폭발하는 별이 주위에 어떤 상호작용을 끼치는지를 이해하려는 과학자들의 주목을 끈다. 천문학자들은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하여 특별한 폭발을..

은하의 성장을 억제하는 우주의 비

- 은하의 성장과 진화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독특한 우주적 강우 현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연구 결과. - 이번 연구에서는 찬드라 X선 망원경에 의해 획득된 200개 이상의 은하단에 대한 자료가 활용되었다. - 이번 연구는 은하의 강우 현상이 거대한 블랙홀과 함께 은하 내에서 별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 은하단은 블랙홀이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은하의 성장과 진화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가 연구된 200개 이상의 샘플에서 선정된 것이다. 이 연구는 가스가 차가와졌다가 뜨거워졌다가를 반복하는 되먹임 현상을 가능케 함으로서 이들 은하단의 내부에서 별의 생성을 억제하는 독특한 우주적 강우 현상(cosmic precipitation) 형성의 비밀을 밝혀주었다. ..

NGC 2276-3c : 찬드라 망원경이 찾아낸 블랙홀 계보 상의 흥미로운 천체

NGC 2276은하의 나선팔 중 하나에서 흥미로운 천체가 발견되었다. NGC 2276-3c라 불리는 이 천체는 중급의 질량을 가진 블랙홀인 것으로 보인다. X선 및 라디오파로 관측한 데이터에 따르면 NGC 2276-3c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5만배 정도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최근 보도된 바에 따르면 NGC 2276 은하에서 새로 발견된 천체는, 이들 색다른 천체들의 진화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만한 중요한 블랙홀로서 입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사진은 찬드라 X선 망원경이 촬영한 X선 데이터(분홍색)를 허블 우주망원경 및 DSS의 가시광선 데이터(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와 합성한 것이다. 네모 상자에 확대되어 있는 것은 이 은하의 나선팔들 중 하나에 위치하고 있는 흥미로운 천체이다. NGC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