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 3703

스페이스X 로켓이 만든 로켓구름

Image Credit & Copyright: Craig Bobchin 하늘에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지난 금요일 스페이스X 로켓으로부터 만들어진 로켓발사구름이 남부 캘리포니아와 아리조나의 하늘에 장관을 만들어냈다. 마치 거대한 우주 물고기처럼 보이는 캘리포니아 롬폭 부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된 로켓은 저무는 태양빛을 받아 대단히 밝게 빛나고 있다. 대단히 짧은 발사 시한 내에 들어올려진 팔콘 9 로켓은 전지구적인 통신 네트워크 개발의 일환인 10대의 차세대 이리듐 위성을 성공적으로 지구 저궤도에 장착시켰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구름은 미사일 1단 추진체가 만든 구름이다. 그리고 이로부터 치솟아 오른 로켓이 왼쪽 구름의 정점에 보인다. 발사 장면은 몇몇 동영상에서도 멋지게 담겼다. 캘리포니아..

파에톤의 종족들

공전궤도가 익히 잘 규명된 소행성 3200 파에톤은 쌍둥이자리별비를 만들어내는 모천체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 별비의 모천체는 혜성이지만 3200 파에톤은 1.4년의 주기로 지구와 가까운 거리를 통과하는 소행성이다. 암석질에 태양에 바짝 구어진 이 소행성의 근일점은 수성 궤도 안쪽에 위치한다. 총 2분간의 노출로 촬영된 이 망원경 사진에서 3200 파에톤이 페르세우스자리의 별들을 배경으로 빠르게 움직이면서 왼쪽으로 짧은 궤적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3200파에톤으로부터 만들어진 별똥별의 궤적이 훨씬 빠른 속도로 평행선을 그리며 사진을 가로지르고 있다. 이 사진은 지난 12월 13일 쌍둥이자리별비가 절정에 달할 즈음에 촬영된 것이다. 이때는 3200 파에톤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를 통과하던 12월 16일..

Arp 256 : 은하충돌이 만들어낸 독특한 은하

사진 1> Arp 256은 두 개 나선은하가 이제막 충돌을 시작한, 3억 5천만광년 거리의 아름다운 은하들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는 심하게 뒤틀린 두 개 은하와 마치 불꽃놀이처럼 새로운 별들을 벼려내는 지역이 만들어내는 푸른색 점들이 놀랍도록 가득들어차 있다. 별의 생성은 두 개 은하가 접근하면서 만들어낸 중력상호작용에 의해 촉발된 것이다. 이 사진은 허블 ACS와 WFC3로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 18주년을 기념하여 발표된 은하충돌 59개 사진의 대상 중 하나를 새로 촬영한 것이다. 은하는 그저 정적인 상태로 머물러있는 별들의 섬이 아니다. 이들은 역동적이고 항상 변화하며 우주의 칠흙같은 어둠속에서 지속적인 움직임을 유지하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Arp 256..

쌍둥이자리 별비

아름다운 겨울 밤하늘의 풍경을 담아낸 이 합성사진에는 중국 북동부 헤이룽장성의 어두운 하늘로부터 쏟아져내리는 별비가 담겨 있다. 사진에 담긴 48개의 별똥별은 지난 주 해마다 찾아오는 쌍둥이자리 별비때 내린 별똥별들이다. 영하 28도의 혹한에도 불구하고 이 천상의 장관이 절정에 이루던 순간들이 카메라에 고스란히 담겼다. 이 별똥별들은 지평선 높이 떠올라있는 쌍둥이자리의 두 개 밝은 별 근처로부터 흘러나오고 있다. 매우 활발한 양상을 보여준 올해 쌍둥이자리 별비는 소행성 3200 파에톤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했던 2017년 12월 16일 바로 전인 12월 13일과 14일 사이 절정을 보여주었다. 수수께끼의 소행성인 3200 파에톤은 쌍둥이자리 별비를 만들어낸 모천체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동지의 태양과 미리내

Composite Image Credit & Copyright: Stefan Seip (TWAN) 동지에 든 것을 환영한다. 이 날은 북반구에서는 겨울의 첫날이고 남반구에서는 여름의 첫날이다. 계절의 변화를 말해주는 천문학적 지표들인 지점과 분점들은 행성 지구의 하늘에서 황도를 따라 움직이는 태양의 위치를 근거로 정해진다. 동지에 태양은 세계 표준시 16시 28분에 남위 23.5도에 자리잡는다. 이 지점은 천구상의 적경좌표로는 18시에 해당한다. 이 때 별자리에서 태양의 위치는 미리내 중심 방향으로 자리잡은 궁수자리이다. 사실 우리가 별과 성운을 배경으로 동지의 태양을 볼 수 있다면(사실 이건 정말 어려운 일이다. 더더군다나 대낮에 말이다.) 이 합성사진과 같은 모습을 보게 될 것이다. 이 사진을 만드는..

우주에서 머리감기

Video Credit: NASA, Expedition 36 Crew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어떻게 머리를 감을 수 있을까? 국제우주정거장의 비행엔지니어이자 오랫동안 국제우주정거장에 머물러 있는 캐런 니버그(Karen Nyberg)가 방법을 알려주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을 뿜는 주머니를 잘 다루고, 린스가 없는 샴푸와 수건, 그리고 머리빗을 빠르게 활용하는 것이다. 이 동영상은 고작 몇 분 내에 끝내야 할 이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머리를 감는데 쓰인 물은 최종적으로는 머리카락에서 증발되어 국제우주정거장의 공기통제시스템에 포획되고 정화를 거쳐 음용수로 재활용된다. 180일간의 체류를 마치고 돌아온 니버그는 로봇공학분과의 책임자를 비롯한 여러 자격을 갖추고 NASA에서 재직하고 있다. 출처 : NA..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프록시마 센타우리)에서 감지된 거대 플레어

그림 1> 이 그림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과 같은 유형의 적색난쟁이별을 그린 상상화이다. ALMA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에서 발생하는 폭발적인 플레어로 인해 이곳에 있는 행성은 실제 생명체가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로부터 몰아쳐나오는 폭풍으로 인해 이 곳은 생명체가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ALMA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난 3월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로부터 분출된 거대한 플레어를 발견했다. 아스트로피지컬 저널에 개재된 이번 발견은 우리 태양계로부터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이자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별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프록시마..

화성북극의 소용돌이 지형.

화성의 북극은 왜 이처럼 나선형구조를 보이고 있는 것일까? 매 여름마다 화성의 북극에는 얇은 화성의 대기로부터 얼어붙은 이산화탄소가 약 1미터 두께로 쌓인다. 이렇게 새로 생성된 층이 한 해 내내 유지되는 물얼음 위에 쌓인다. 극관의 중앙으로부터 강력한 바람이 휘몰아쳐 나오는데 이 바람이 행성의 자전에 의해 소용돌이 치면서 보레움 평원(라틴어로서 '북쪽 평원'을 의미함)에 나선형 구조를 만들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 사진은 2017년 초 ESA의 마스익스프레스호가 촬영한 사진들을 모자이크한 것으로서 지형의 고도자료는 NASA의 마스글로벌서베이어 호에 탑재된 레이저 고도계가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향수 수년 내에 계획된 새로운 화성 탐사계획에는 화성굴착 계획과 엑소마스(ExoMars), 화성에서 현재와 ..

케플러 90 (Kepler-90) 행성계

다른 별들도 우리 태양계와 같은 행성계를 갖추고 있을까? 그렇다. 그 중에 하나가 케플러 90 행성계이다. 케플러우주망원경에 의해 등재된 이 행성계에서는 지금까지 8개의 행성이 발견되었다. 이 숫자는 우리 태양계가 거느린 행성의 숫자와 같다. 케플러 90 행성계와 우리 태양계 간의 유사점이 몇 개 더 있는데 우선 두 별이 모두 G유형이고, 케플러 90 행성계의 암석질 행성의 질량은 우리 지구와 비교될만한 크기이며 그곳의 거대 행성의 질량은 목성 및 토성과 비슷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케플러 90 행성계에서 발견된 모든 행성들이 태양계와 다른 점은 그 공전궤도가 태양에 대한 지구궤도보다 훨씬 더 자신의 별에 가깝게 다가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행성들은 엄청난 열로 인해 생명체를 품고 있을 가능성은 없는..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대부분의 은하는 하나의 은하핵을 갖는다. -- 그런데 이 은하는 왜 무려 4개나 가지고 있는 것일까? 천문학자들이 도출해낸 이상한 해답은 이 빛을 둘러싸고 있는 은하의 핵은 이 사진에서 보이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사진 중앙에 보이는 네잎 클로버 모양은 뒤쪽에 위치한 퀘이사로부터 발생한 복사이다. 그 복사가 앞쪽에 보이는 은하의 중력장에 의해 4개의 다른 이미지로 분리되었다. 퀘이사로부터 발생한 빛이 이와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퀘이사가 거대 질량의 은하 뒤편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효과를 중력렌즈효과라 부르거니와 그 모양이 이처럼 특이한 형태를 띄는 경우 이를 '아인슈타인의 십자가(the Einstein Cross) '라 부른다. 여전히 의문점으로 남는 것은 이 '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