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8)
-
황도 12궁 (The Solar Zodiac)
별빛 찬란한 12마리 짐승들이 자리잡은 곳 드넓게 펼쳐진 황금벨트가 포이보스의 영토를 지키고 있노라. 루이즈 드 카모에스(Luiz de Camoes)의 오즈 루시아다스(Os Lusiadas) 中 황도12궁 황도12궁이 형성된 시기와 장소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들이 존재합니다. 대체적으로 황도12궁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발생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황도12궁 중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부터 유래한 별자리는 6개 정도까지 나열할 수 있습니다. 황소자리와 게자리, 처녀자리와 전갈자리, 염소자리와 물고기자리가 바로 그것입니다. 후에 각 별자리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이는 일 년에 보름달이 12번 발생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원후 약 400년 경 세르비우스(Servius)는 원래 ..
2021.01.22 -
아모르포토이(αμορφωτοἰ)
별자리에 속하는 별이지만 별자리의 형태를 구성하지 않는 별들을 일컫는 고대 그리스어. 아모르포토이(αμορφωτοἰ)는 별자리에 속하는 별 중에 별자리의 형태를 구성하지 않는 별들을 일컫는 고대 그리스어이다. 이 단어는 단어 자체의 의미보다 이 단어가 성립되려면 '별자리는 특정한 형태를 띠고 있다.'라는 명제가 먼저 성립되어야 쓸 수 있는 단어라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현대 천문학은 별자리를 영역의 개념으로 본다. 즉, 형태로서의 별자리가 아닌, 하늘을 측량하여 경계를 지은 개념으로 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은 '오리온 자리'를 나타내는 별지도이다. 그림 설명> 국제천문연맹에서 제공하는 '오리온자리' 별지도 현대 천문학에서의 오리온 자리는 이 그림에서 밝은 영역을 말한다. 눈에..
2021.01.08 -
알 파르가니(Al-Farghani, Al Ferghani)
달집(Lunar Mansion)의 기원에 대한 논쟁 중 달집을 다룬 최초의 출판물로서 알 파르가니의 저서 「키타브 피 자와미 일름 알 누줌 Kitāb fī Jawāmiʿ ʿIlm al-Nujūm, كتاب في جوامع علم النجوم」이라는 책이 등장합니다. 이 책은 서양에는 '별과학개론(A Compendium of the Science of the Stars)', 또는 '천구의 운동에 존재하는 천문학의 요소들(Elements of astronomy on the celestial motions)'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습니다. 2021년 1월 6일 현재, 사전을 비롯한 각종 공식 사이트에 이 분에 대한 한글 소개문은 존재하지 않아 이름 표기는 발음 그대로 읽은 것으로 기록합니다. 위키피디아를 비롯..
2021.01.06 -
별지기 사전 작성을 시작하며.
별자리를 공부하다보면, 천문학과 관련된 새로운 용어, 역사, 인물, 서적 등 다양한 관련 자료들이 나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한글로 된 자료를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제가 '딥스카이 원더스'를 번역하던 당시에도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자주 있었습니다. 외국에서는 아마추어천문인들의 관측대상으로 다뤄지는 천체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아마추어천문인들은 물론 천문연구원과 같은 전문 기관에서조차 자료를 찾을 수 없는 천체들이 많았습니다. 때로는 알파벳으로 된 그 단어의 의미나 정확한 Full Name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도 했고 그러다보니 하루에 한 줄도 번역하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했습니다. 그저 남들이 찾아내고 기록한 천체를 찾아보거나 익히 알려진 천체의 사진을 찍는 것에 만족하는 별지기라..
2021.01.06 -
2MASS J10475385+2124234 : 갈색왜성의 풍속 측정
그림 1> 갈색왜성 및 갈색왜성의 자기장에 대한 상상화. 자기장은 천체 내부 깊은 곳에 그 근원을 두고 있어 대기 상층부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한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대상 천체의 풍속을 측정할 수 있었다. 천문학자들이 미국국립과학재단의 칼잰스키극대배열전파망원경(Karl G. Jansky Very Large Array, 이하 VLA)과 NASA의 스피처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갈색왜성에 불고 있는 바람의 속도를 처음으로 측정해냈다. 갈색왜성은 행성과 별의 중간 질량을 가진 천체를 말한다. 버크넬 대학 케이틀린 알러스(Katelyn Allers)가 이끄는 연구팀은 우리 태양계의 두 개 거대 행성인 목성과 토성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VLA의 전파관측 데이터와 스피처우주망원경의 적외선 관측 데이..
2020.07.20 -
한국의 밤하늘 5. 네오와이즈 혜성 (C/2020 F3 NEOWISE)
머나먼 우주의 소식 한 자락을 품은 손님별이 찾아왔습니다. 휴가철 불야성을 이룬 한여름 동해바다. 어부님들 길 잃지 말라는 속초 등대 불빛. 빛보라 뿌려내는 파도 위 물보라들. 손님별은 그곳에 우주의 빛깔을 더해 주었습니다.
2020.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