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4)
-
루린 혜성
루린혜성은 얼마나 밝게 빛나게 될까? 아무도 이를 확신할 수는 없다. 새로 발견되는 혜성의 밝기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악명높지만 루린 혜성은 이번 달 하순에는 육안으로도 관측가능할만큼 밝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루린 혜성은 2월 중순이 되면 자정쯤에 지구 북반구 하늘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를 관측하려면 맑은 하늘에서 최소한 쌍안경 정도의 장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공식적으로 C/2007 N3(루린)으로 등재된 이 혜성을 추적기록을 보면 이 혜성은 현재 태양에 의해 흔들리고 있으며 2월 하순이면 지구~태양 거리의 반 정도 거리로 지구에 근접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루린혜성의 공전궤도를 분석해 본 결과 이 혜성이 내행성계에 진입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 혜성은 국립중앙대..
2009.02.07 -
NGC 1300
허블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은하사진 중 가장 큰 사진 중 하나가 캘리포니아 샌디에고에서 개최예정인 전미 천문학회에서 발표되었다. 막대나선은하 NGC 1300이 담겨있는 320 * 120Cm 사이즈의 이 사진에는 은하에 담긴 무수한 별빛과 불타오르고 있는 가스들, 성간먼지구름이 만들고 있는 검은 그림자가 잘 나타나 있다. NGC 1300은 막대나선은하의 전형으로 간주되고 있다. 막대나선은하는 보통의 나선은하들의 팔이 은하 중심으로부터 나선구조로 뻗어있음에 반해 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로선이 은하중심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은하이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
2009.02.07 -
Hubble Ultra Deep Field
허블우주 망원경으로 아주 멀리떨어진 은하단을 볼 수 있다. 1만여개에 달하는 은하들이 담겨 있는 이 사진에는 우주에서 가장 먼거리에서부터 날아온 빛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사진에는 다양한 나이와 크기, 모양, 색체를 지닌 은하들이 담겨 있다. 가장 규모가 작으며 가장 진한 붉은 색을 띤 대략 100여개의 은하들은 우주가 시작된지 고작 8억년쯤부터 존재하기 시작한, 우리에게 알려진 천체중 가장 멀리 떨어진 천체로 추측된다. 이 은하들 중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은하들은 규모가 크고 푸른 빛을 띄는 선명한 형태의 나선형과 타원형 은하들로서 이들은 우주의 나이가 130억살에 이른, 지금부터 대략 10억년 전쯤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천체이다. 화면에 가득 보이는 전형적인 나선형 은하 및 타원은하와 대조적으로 불..
2009.02.04 -
M17
허블이 촬영이 이 사진은 거대한 질량과 밝은 광채를 자랑하는 분자성운, 메시에 17을 촬영한 것으로써 수소와 산소, 황으로 구성된 불타는 가스가 마치 격랑과 같이 보이고 있다. 이 사진은 M17에서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는 부분만을 촬영한 것이다. 오메가 성운 또는 백조성운이라고도 불리는 이 성운은 궁수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5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진은 1990년 4월 24일에 발사된 허블우주망원경의 발사 13주년을 기념하여 발표된 사진이다. 파도를 닮은 모양의 가스는, 사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사진 상단 좌측 바깥쪽에 위치하는 젊고 거대한 별로부터 뿜어져나오는 자외선에 의해 조각된 것이다. 가스가 이루고 있는 모양에서 가장 압권은 가스들이 이루고 있는 입체구조이다. 자외선 복..
2009.02.02 -
2월의 천체관측 안내
1. 2월의 별자리 겨울의 밤하늘은 찬란하게 빛나는 별들로 가득차 있어서 가장 멋진 천상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리온 자리는 겨울의 밤하늘에서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별자리입니다. 오리온 자리는 별들의 배열패턴으로 인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젊은 별과, 늙은 별 그리..
2009.02.01 -
오로라
가장 높은 전파탑보다 더 높은 곳에, 가장 높은 산보다 더 높은 곳에, 그리고 가장 높이 나는 비행기보다 더 높은 곳에는 오로라의 왕국이 자리하고 있다. 오로라는 가장 낮게는 60킬로미터 상공부터 1000킬로미터 상공까지 뻗어올라 형성될 수 있다. 오로라는 에너지를 띈 전자나 양성자 입자가 지구대..
2009.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