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5)
-
독수리 성운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바라보면 독수리와 같은 모습을 한 이 성운을 가까이에서 보게 되면 밝은 지역은 어두운 먼지덩어리 가운데에 달린 창문과 같다. 이 창문을 통해 새로운 별들이 탄생하고 있는 작업장을 볼 수 있다. 중앙 동공부에 보이는 여러 기둥들과 우주먼지로 이루어진 둥근 방울들 그리고 차가운 분자가스들은 이 곳에서 새로운 별의 탄생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미 앞서 형성된 푸른색의 어린 별들로부터 발생하는 강력한 빛과 항성풍은 주위에 가스와 우주먼지로 이루어진 필라맨트와 벽을 태워버리고 밀쳐내고 있다. M16 으로 등재되어 있는 독수리 성운은 6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그 너비는 20광년에 걸쳐 뻗어 있다. 이 성운은 뱀자리 방향으로 쌍안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이 사진은 아리조나의..
2009.02.14 -
NGC 1316
마치 구석이나 침대밑에 숨어 있는 먼지덩어리와 같이, 우주먼지로 이루어진 놀라우리만치 복잡한 고리와 얼룩이 거대한 타원은하 NGC 1316에 숨어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얻어진 이 사진에서는 이 거대한 은하의 먼지대역과 성단을 잘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 은하가 과거에 가스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던 두 개의 은하가 충돌하여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screen/opo0511a.jpg 참고 : NGC 1316을 비롯한 각종 은하 및 은하단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은하 일반..
2009.02.11 -
루린 혜성
내태양계를 지나가고 있는 루린 혜성은 쌍안경이나 소규모 망원경만으로도 북반구, 남반구 모두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다. 1월 31일에 촬영된 상단 사진과 2월 4일 촬영된 하단사진에는 초록빛으로 사랑스럽게 빛나고 있는 루린 혜성의 코마와 꼬리의 변화가 잘 나타나 있다. 뉴멕시코주의 어두운 하늘에서 촬영된 이 사진들은 2도 너비에 해당한다. 두 장의 사진 모두에서 왼쪽으로 뻗은 뚜렷한 반대방향의 꼬리를 볼 수 있다. -- 마치 공전궤도 뒷편으로 궤적을 그리듯이 보이는 혜성의 먼지꼬리는 지구에서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거의 모서리만을 볼 수 있다. 혜성의 오른쪽으로 뻗어 있는 것은 태양풍에 의해 밀려나가고 있는 이온 꼬리이다. 2월 4일에 촬영된 하단 사진에서 주목할 점은 루린 혜성의 이온 꼬리가 끊어져 보인다는..
2009.02.11 -
달 전면을 지나는 국제우주정거장
2월 2일 초저녁의 지구 하늘에는 상현달이 빛나고 있었다. 당시 미국 서부 켈리포니아 헤밀톤 산 근처의 해변가에서는 지평선위로 아치를 그리며 지나가는 국제우주정거장이 햇빛을 반사시키고 있는 달표면을 가로지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국제우주정거장이 달 전면을 가로지르는 현상은 0.49초동..
2009.02.11 -
NGC 604
300만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나선은하 M33 근처에는지름 1300광년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의 별들의 요람 NGC 604가 있다. 그 크기는 오리온 성운의 거의 100배에 달하는 크기이다. 사실 국부은하군에서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지역으로서 NGC 604는 대마젤란 성운의 타란툴라 성운으로 알려져 있는 30 Doradus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이 사진은 찬드라 망원경에 의해 얻어진 푸른색조의 X선 데이터와 허블 가시광선 데이터로 얻어진, X선을 복사하는 뜨겁고 희박한 가스로 가득차 있는 동굴과 같이 보이는 NGC 604의 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NGC 604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가스들이 마치 담처럼 NGC 604를 양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사진에서 우측으로 보이는 이 사..
2009.02.11 -
HD 80606b
외계행성 HD 80606b의 여름은 매우 위험한 계절일듯하다. 이 행성의 대기를 떠다니는 생명체가 있거나, 혹은 위성에 숨어 있는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다면 납뿐 아니라 니켈까지도 녹일수 있는 온도인 절대온도 1500K에 직면하여 두려움에 떨게 될 것이다. 지구의 경우 여름은 태양으로부터 받는 매일매일의 햇빛 총량으로 결정되지만 HD 80606b의 여름은 자신의 태양에 얼마나 가까이 위치하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약 200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HD 80606b은 지금까지 발견된 행성 중 가장 이심율이 큰 타원형 궤도를 공전하고 있다. 태양계외 비교해보자면 이 행성이 자신의 태양주위를 돌고 있는 궤도는 가장 멀때가 금성공전궤도정도이고, 가장 가까울때는 수성 궤도 안쪽으로 형성된다. 이 일련의 사진은 HD 80..
200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