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4)
-
IRAS 12419-5414
부메랑 성운은 어린 행성상성운으로서,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들 중 가장 차가운 온도를 지닌 천체이다. 이 천체는 센타우루스 자리에 지구로부터 5천광년 떨어져 있다. 행성상성운은 별이 일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가스를 뿜어니면서 형성되는 천체이다. 부메랑 성운은 우주에서 특이한 지역 중 하나로 꼽히는 천체이다. 1995년 칠레에 위치한 유럽우주국 서브밀리미터 망원경을 사용한 관측결과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가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차가운 온도를 가진 지역임을 밝혀냈다. 당시 측정된 온도는 영하 272도였는데 이는 절대온도 0도에서 단지 1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온도이다. 빅뱅으로 인한 우주배경복사가 영하 270도이니 이 성운보다도 오히려 따뜻한 축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천체는 지금까지 발견된 천체 ..
2009.02.01 -
발광성운과 반사성운
1. 성운(Nebula)의 정의. 성운이란 우주공간에 뭉쳐진 채로 존재하는 우주먼지덩어리를 말한다. Nebula라는 영어표현은 구름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나온 말인데, 구름의 의미를 살려 '성운'이라 번역한 듯 하다. 차라리 우주구름이라고 번역했으면 더 맛스러웠을텐데....쯧... 매일 떠오르고 지는 해를 바라보며 사는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시속 10만 8천킬로미터로 돌진하고 있는 거대한 암석덩어리에 기생하고 있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거의 완벽한 진공상태인 우주를 비슷한 속도범위내에서 공전하는 관성체 위의 우리가 그러한 사실을 깨닫는다는 것은 비정상적인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새삼 강조하는 이유는 이 우주가 그렇게 정적이고 안정적인 곳은 아니라는 점을 말하기 위해서이다. 우주는 거대한 ..
2009.01.31 -
초신성 잔해 : Simeis 147
희미한 초신성 잔해 Simeis 147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 복잡한 필라멘트들을 따라가면 길을 잃기 쉽상이다. 황소자리 방향에 위치하고 Sh2-240으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하늘에서 3도각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보름달의 6개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이는 우리로부터 3000광년 떨어진 이 암석 부스러기가 150광년의 너비로 퍼져 있음을 의미한다. 허블이 촬영한 협대역 조합사진에는 충격파와 불타오르는 가스가 가득한 이 지역에 수소, 황, 산소 복사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초신성 잔해의 연령은 4만년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이는 이 초신성의 폭발로 발생한 빛이 4만년 전에 처음 지구에 도착했음을 의미한다. 초신성 폭발에서 이렇게 팽창하는 잔해만이 여파의 전부가 아니다. 우주적인 규모..
2009.01.31 -
NGC 1579
그 유명한 삼엽성운을 닮은 화려한 성운 NGC 1579는 삼엽성운보다 훨씬 북쪽 하늘에 있는 페르세우스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지구로부터 2,100광년 떨어진 이 성운의 너비는 3광년 정도이며 이름이 의미하듯이 성운중앙부 붉은색과 푸른색의 명확한 대비, 그리고 선명하게 그어져 있는 검은 ..
2009.01.31 -
마우나 케아에서 바라본 은하수
당신은 우리 은하를 본적이 있는가? 적시에 어두운 지역에서 청명한 하늘을 본다면 하늘을 가로지르고 있는 희미한 빛의 대역을 보게 될 것이다. 곧이어 당신의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면 당신은 어떤 띠를 주목하게 될 것이다. 그것이 보다 선명하게 나타나서 그 장대한 모습이 드러난 후 이 띠가 수십억개의 별을 담고 있는 우리 은하의 나선원반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 놀라움은 더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은하원반 안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대역은 우리 지구를 감싸안은 것처럼 보인다. 사진에 나타난 것은 바로 우리 은하의 아치를 촬영한 것이다. 아치 바로 및에 밝게 빛나는 점은 목성이다. 앞쪽으로 펼쳐진 달빛어린 칼데라는 하와이 마우이 섬에 위치한 하레카라 화산의 칼데라이다. 만약 당신이 우리은하를 한 번도..
2009.01.28 -
IC 405
AE Ayrugae 별은 불타고 있는 것일까? AE Aurigae가 불타는 별이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고, 그 주위의 성운 IC 405 역시 불타는 별의 성운이란 애칭을 가지고 있으며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붉은 연기가 가득하지만, 이곳에서 일체 불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불타다'라는 현상..
2009.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