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6)
-
인류의 감성을 담은 최초의 편지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회 - 4 -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 편은 보이저 1호와 2호에 탑재되어 발사된 보이저 레코드를 다룹니다. 내용자체는 많지 않으나 인용자료가 많은 관계로 네 번에 나누어 기록합니다. 6. 보이저, 그 위대한 업적을 위한 찬사. 1977년 발사된 보이저1, 2호는 175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하는 태양계 행성의 일렬 배열을 활용하여 행성의 중력을 통해 얻은 추진력으로 태양계 외행성 너머까지 도달할 수 있었으며 결국 현재까지 인간이 만든 기계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간 공간을 향하고 있다. 태양계를 벗어나기 전까지 보이저 우주선은 같은 태양계지만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었던 그래서 너무나 빈약하기만 했던 외행성에 대한 인류의 지식을 풍족하게 만들어주었다. 우선 보이저 호는 목성의 3개 위성, 토성의 5개 위성, 천왕성의..
2008.05.12 -
인류의 감성을 담은 최초의 편지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회 - 3 -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 편은 보이저 1호와 2호에 탑재되어 발사된 보이저 레코드를 다룹니다. 내용자체는 많지 않으나 인용자료가 많은 관계로 네 번에 나누어 기록합니다. 4. 보이저 레코드에 실린 21개 지구의 소리 <이하 보이저 호 탑재 정보의 출처 : http://re-lab.net/welcome/index.html>..
2008.05.12 -
인류의 감성을 담은 최초의 편지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회 - 2 -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 편은 보이저 1호와 2호에 탑재되어 발사된 보이저 레코드를 다룹니다. 내용자체는 많지 않으나 인용자료가 많은 관계로 네 번에 나누어 기록합니다. 3. 보이저 레코드에 담긴 55개 언어의 인사말 (정보출처 : http://re-lab.net/welcome/images.html) 3-1. 수메르어 "모든일이 잘 되기를 빕..
2008.05.12 -
인류의 감성을 담은 최초의 편지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회 - 1 -
* 우주로 띄운 편지 마지막 편은 보이저 1호와 2호에 탑재되어 발사된 보이저 레코드를 다룹니다. 내용자체는 많지 않으나 인용자료가 많은 관계로 네 번에 나누어 기록합니다. 1. 불안함과 나약함이 담긴 편지 드레이크 방정식을 구성하고 있는 7개 변수 중 가장 마지막 변수는 '행성의 수명에서 고도 기술 문명의 지속 기간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 얼핏보아 평범해 보이는 이 변수를 보면서 우리 스스로 다음의 질문을 던져 보는 것은 어떨까? '우리 지구는 과연 고도 기술 문명을 이룩한 행성일까?'하는.... 우리의 머리위에는 비행기라는 거대한 쇳덩이가 중력을 무시한 듯 날아다니고 있다. 이를 신기하게 여기는 사람은 오늘날 거의 없다. 우리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일지라도 조그만 휴대폰 단말기 하나로 쉽..
2008.05.11 -
IC 4406
이 사진은 IC 4406이라 불리는 최후를 맞고 있는 별로부터 발생하는 찬란한 색깔을 촬영한 것이다. 행성상성운이라 불리는 대부분의 천체들이 그렇듯이 IC 4406 역시 높은 대칭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성운의 오른쪽과 왼쪽이 마치 거울에 비친것처럼 보인다. 만일 우리가 IC 4406으로 우주선을 타고 접근한다면 죽어가고 있는 별로부터 외곽으로 방출되고 있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도넛 모양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진은 지구 궤도의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이어서 도넛 형태는 나타나있지 않다. 우리가 위치한 지점에서는 그 측면만을 볼 수 있을 뿐인 것이다. 이 각도에서는 섬세하게 얽힌 덩굴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이유로 이 모습은 우리 눈의 망막과 비교되어 왔다. 사실 IC 4406은 '망..
2008.05.11 -
화성의 역행운동
왜 화성은 뒤로 움직이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 지구의 하늘에서 관찰되는 화성의 궤적은 멀리 위치한 별에 대해서 천천히,그리고 지속적으로 대부분 한 방향 운동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략 2년을 주기로 지구의 공전궤도가 화성을 앞질러 도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그러한 일은 작년에 발생했는데 이 기간중 화성과 지구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좁혀지면서 화성이 어느때보다도 크고 선명하게 보였다. 또한 이 기간중 화성이 마치 뒤로 후퇴하는듯이 보였는데 이 현상을 일컬어 '역행운동'이라 한다. 위의 사진은 이 기간중 촬영된 사진을 디지털 합성한 것으로서 많은 별들이 이 사진에 함께 나타나있다. 이 사진에는 화성이 고리를 그리는 궤적이 잘 나타나 있는데,이 고리의 가장 꼭대기 부분이 지구가 화성을 추월하면서 역행..
2008.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