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1)
-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방법 - 2 -
4. 거리측정을 위한 다양한 천문학적 기반들. 거리측정을 위해 동원된 다양한 천문학적 지식들을 살펴보노라면, 하나의 학문이 발전하기 위해서 그 기반이 되는 기초적 지식들의 집합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거리 측정 방법들은 그 방법론에 있어서 상당히 그럴듯하긴 하지만 하나같이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방법들이었다. 결론적으로 천체간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단서는 별이나 은하등의 천체가 뿜어내는 '빛'이다. 그러나 이 막연한 별빛에서 어떻게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을까? 바로 여기에 누적된 학문적 성과로부터 발휘되는 위력이 숨어 있다. 따라서 '빛'을 통한 거리 측정의 원리를 알기 위해서는 천문학의 역사쪽으로 우회할 필요가 있다. 4-..
2008.05.20 -
페르세우스 은하단
이것은 누구나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천체들 중 하나이다. 각각의 흐린 방울들 하나하나은 은하로서 이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페르세우스 은하단은 우리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은하단 중 하나이다. 사진의 전면에 보이는 희미한 별은 우리 은하에 속한 별이다. 이 은하단의 중심으로부터 대략 2억 5천만광년 거리의 범위에서 가장 두드러진 은하는 NGC 1275로서 이 사진에서 왼쪽편에 크게 보이는 은하가 그것이다. 막대한 X선과 라디오파의 복사원인 NGC 1275는 가스나 다른 은하들을 그 중심으로 흡수하고 있다. 페르세우스 은하단은 하늘에서 15도를 넘게 펼쳐져 있으며 1000개가 넘는 은하를 포함하고 있는 물고기자리-페르세우스 슈퍼은하단의 일부이다. 사진으로 나타난 이 장면은 1500만 광년의 폭을 담..
2008.05.20 -
금의 기원에 대한 한가지 가설
금은 어디로부터 생겨난 것일까? 아무도 이를 확실히 알지 못한다. 우리 태양계에는 초기 우주에서의 별이나 일반적인 유형의 초신성폭발이 만들어낼 수 있는 금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풍부한 비율로 금이 존재한다. 몇몇 천문학자들은 이와 같은 점을 들어 금과 같이 풍부한 중성자를 함유한 무거운 ..
2008.05.18 -
별까지의 거리를 재는 방법 - 1 -
1. 광년이라는 단위 밤하늘에 영롱하게 빛나는 별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게 되는 거리 단위는 '광년'(Light Year, 'LY'로 표기함)이라는 단위이다. '광년'이라는 개념은 일상 생활에서는 실제 접하게 되는 거리개념이 아님에도 그리 낯선 개념은 아니다. 20세기 과학문명이 만개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게 되는 많은 과학용어들이 있거니와 '광년'이라는 용어 역시 이러한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용어이다. '광년'이란 말 그대로 빛이 1년동안 이동하는 거리를 말한다. 빛이 1초동안 움직이는 정확한 거리는 29만 9천 7백 90킬로미터인데, 일상적으로 초속 30만 킬로미터로 사용되곤 한다. 하루는 86,400초이므로 1광년은 300,000(Km) * 86,400(초) * 365(..
2008.05.17 -
은하와 태풍의 등각나선
오른쪽 사진으로 보이는 태풍 라마순과 왼쪽 사진에 보이는 2500만광년 거리의 M101은하는 닮은 점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우선 태풍 라마순의 지름은 고작 천킬로미터 정도에 지나지 않음에 반해 바람개비 은하라는 별명이 붙은 M101 은하는 17만 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다. 이..
2008.05.17 -
달걀 성운
수영장 물밑의 조명불빛이 수면에 어른거리는 모습을 한 듯한 달걀 성운은 늙은 별 주면을 감싸고 있는,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먼지 구조를 천문학자들에게 보여주는 아주 특별한 사진이다. 이 먼지대역들은 중앙의 별로부터 10분의 1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마치 양파껍질처럼 별을 중심으..
2008.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