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1)
-
초생달 모양의 레아와 토성
부드러운 색조, 빛이 차오르고 있는 원, 고리의 얇은 궤적과 옅은 명암. 이것은 거대한 행성 토성의 웅장한 환경을 담담하게 표현하고 있는 사진이다. 이 사진은 현재 토성궤도를 공전하고 있는 카시니호가 몇 년 전 태양을 등진 방향에서 촬영한 것으로, 초생달처럼 보이는 토성과 토성의 위성 레아의 모습이 나타나있다. 위의 사진만큼이나 놀라운 사실은 이 사진이 단 한장의 사진에 표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장면은 최근에 발표된 60장의 연속 사진 중 하나인데 이 사진을 연결하여 보면 토성의 위성 레아가 마치 토성의 전면을 미끄러져내리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카시니의 공전 궤도는 토성의 적도면에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는 매우 인상적이게 보이는 토성의 고리가 사진 중심에 매우 얇은 선으로 표현되어..
2008.07.24 -
에추스 카스마를 둘러싼 절벽
무엇이 화성에 이처럼 거대한 절벽을 만든 것일까? 옛날 이곳에는 거대한 폭포가 있었던 것일까? 화성의 에추스 카스마(Echus Chasma)를 둘러싸고 있는 4킬로미터 높이의 이 거대한 절벽은 물 또는 용암에 의해 생성된 것이며 바로 근처에 매우 인상적인 크레이터가 자리잡고 있다. 길이가 100킬로미터, 폭이 10킬로미터에 달하는 에추스 카스마에 대한 선구적인 가설은 이곳이 한때 화성의 가장 큰 수원지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에추스 카스마에 갖혀있던 물이 화성의 표면을 가로지르면서 북쪽으로 3천 킬로미터나 뻗어있는 카세이 계곡(Kasei Valles)을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이 계곡이 처음에는 물에 의해 깎여져 형성되었으나 나중에 용암이 흐르면서 특이하게 부드러운..
2008.07.23 -
M16과 독수리 성운
새로운 별을 탄생시키고 있는 우주먼지와 불타는 가스구름에 둘러싸인 젊은 성단 M16은 독수리 성운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아름다운 사진은 새로운 별이 만들어지고 있는 곳으로 잘 알려진 독수리 성운의 아름다운 모습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사진의 중앙 부근에 엘리펀트 트렁크(코끼리 코)나 창조의 기둥이라 묘사되고 있는 고밀도의 먼지 기둥은 그 길이가 수광년에 달하며 중력상호작용으로 새로운 별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성단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고에너지 복사에 우주물질들을 깍여나가면서 먼지속에 파묻혀 있던 새로운 별들이 드러나게 된다. 이 성운의 왼쪽 상단에도 역시 새로운 별을 탄생시키는,독수리 성운의 요정으로 알려진 기둥이 자리잡고 있다. 이 성운은 지구로부터 7천광년 떨어져 있으며, 뱀자리의 꼬리 부분에 ..
2008.07.23 -
큰곰자리 방향 은하들
이 사진을 주의깊게 보면 큰곰자리 방향에 가까이 또는 멀리 위치하는 놀랄만큼 많은 은하들을 볼 수 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오른쪽 중앙에 뒤틀린 나선은하 NGC 3718의 선명한 모습이다. NGC 3718의 희미한 나선팔들이 휘어감긴 채로 쭉 뻗어 있는 모습이 보이고 이 먼지 대역이 교차되는 지역에 밝은 중심부가 보이고 있다. 그 왼쪽으로 15만 광년 거리에 다른 나선 은하 NGC 3729가 보인다. 이 두 은하 간에는 중력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영향은 NGC 3718이 기묘한 모습을 띄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이 한 쌍의 은하가 5천 2백만 광년 떨어져 있음에 반해 NGC 3718의 바로 아래쪽에 힉슨 밀집은하군 56이라는, 4억광년 떨어진 은하군이 보이는데, 이 은하군은 중력상..
2008.07.20 -
화성의 다양한 크기 변화
지구와 화성 모두 태양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바라본 화성의 크기는 항상 다르게 나타난다. 네덜란드 엔스헤데에서 촬영된 위의 사진은 2007년과 2008년 동일한 배율로 촬영된 화성의 30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지구와 화성이 태양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에 위치한다면 화성은 상대적으로 ..
2008.07.20 -
데스 밸리의 전천 사진
이 사진에는 아직까지 미국에서 가장 어두운 지역으로 남아 있는 캘리포니아 데스밸리의 장엄한 광경이 담겨 있다. 30장의 사진을 모아 만들어진 이 360도 전천 사진은 2년전 레이스트랙 플라야에서 촬영되었다. 이 합성사진은 디지털 처리를 거쳐 이와 같은 직사각형의 이미지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
2008.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