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3)
-
개기일식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로 향하는 시베리아 횡단 철도 여행은 8월 1일 발생한 개기일식동안 태양의 테두리를 선명하게 담아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이 사진은 개기일식이 진행되는 동안 달이 태양의 처음과 끝에 완전히 맞아떨어지는 특별한 상태에서 촬영된 두 개의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일식을 쫓아다니며 촬영하는 사람들에게 이때는 2기와 3기 컨택으로 알려져 있다. 달의 어두운 그림자 주변에 밝게 빛나는 빛의 파편들이, 달표면의 계곡들을 관통하며 빛을 뿜어내고 있다. 또한 이 사진에는 태양의 활동 현상도 기록되어 있는데 태양의 외곽으로 뻗어있는 자기장 현상으로 추측되는 뜨거운 플라스마 고리모양이 바로 그것이다. 정보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8년 8월 7일 자) http://antwrp...
2008.08.08 -
NGC 1818
구상성단은 한때 우리은하를 지배했었다. 아주 오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우리 은하가 처음 형성될때 아마도 수천 개의 구상성단들이 우리 은하주위를 배회하고 있었을 것이다. 오늘날 그 중 약 200여개의 구상성단만이 남아있다. 수많은 구상성단들은 수십억년의 시간동안 서로간에 또는 은하중심과 충돌을 거듭하면서 파괴되어왔다. 이로부터 살아남은 잔해들은 지구의 지각보다도, 아니, 우리 은하의 어떤 구조물보다도 오래되었으며 어떤 구상성단들은 그 나이가 우주의 나이에 다다르는 것들도 있다. 만약 우리 은하에 젊은 구상성단이 존재한다면 이것은 그 구상성단이 형성되는데 충분한 조건이 갖춰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이웃 은하인 대마젤란 성운을 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이 사진은 NGC 1818을 촬영한 것으로 젊은..
2008.08.06 -
NGC 6543
행성상성운 NGC 6543은 그 아름다운 형상으로 인해 고양이 눈 성운이라는 대중적인 별칭을 가지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1995년 초에 촬영한 멋진 사진을 통해 이 성운의 세부적인 외양을 알게 되었고이 행성상성운이 3천광년 떨어진 우리의 태양과 같은 별이 일생을 마치면서 뿜어내고 있는 가스에 둘러싸인 성운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진에 최근 찬드라 X선 망원경에 의해 관측된 X선 이미지가 덧붙여졌으며, 이를 통해 이 성운에서 극단적인 뜨거운 온도의 가스로부터 강력한 X선이 방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X선 복사가 방출되는 부분이 이 성운의 중앙에 푸른색-자주색 색조로 나타나있다. 이 성운의 중앙에 있는 별은 수백만 도의 엄청난 온도로 X선을 분출하고 있는 가스속에 완전히 잠겨 있다. 이렇게 X선을..
2008.08.06 -
NGC 290
보석들 조차도 이와 같이 찬란한 빛을 발산하지는 못합니다. 오직 별들만이 할 수 있는 일이죠. 보석함에 가득담긴 보석과 같이 산개성단 NGC 290에 담겨 있는 별들이 찬란한 빛과 다채로운 색채를 아름답게 뽐내고 있습니다. 천체사진의 포토제닉이라할만한 이 사진은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촬영된 것입니다. 산개성단의 별들은 일반적으로 구상성단의 별들보다 젊은 편이며, 보유하고 있는 별의 숫자는 훨씬 적지만, 훨씬 더 매력적인 푸른별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NGC 290은 지구로부터 약 20만광년 떨어진 우리의 이웃은하인 소마젤란 성운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산개성단은 수백개 수준의 별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름은 65광년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NGC 290을 비롯한 산개성단들은 동시대에 탄생..
2008.08.06 -
Arp 104
상단 오른쪽에 보이는 은하 NGC 5216과 그 아래 NGC 5218은 마치 하나의 끈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것 처럼 보인다. 물론 이 끈은 우주의 가스와 먼지 그리고 별들로 구성된 2만 2천 광년 길이의 우주의 끈이다. 이 천체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키난 시스템(Keenan's system)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Arp 104로 분류..
2008.07.31 -
태양 전면을 통과하는 국제우주정거장
사진에 보이는 것은 태양의 흑점이 아니라 태양 전면을 통과하는 국제우주정거장(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을 촬영한 것이다. 태양흑점의 경우 각각의 중앙에 좀더 밝은 반영부에 둘러싸인 암영부를 가지고 있으며 당연히 태양전지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국제우주정거장은 복잡하고 다양한 기계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인간이 만들어낸 기계 중 가장 거대하고 정교한 기계에 속한다. 또한 태양의 흑점은 태양으로부터 발생하지만, 국제우주정거장은 지구주위를 공전하는 천체이다. 국제우주정거장이 태양의 전면을 지나가는 것, 즉, 천체현상에서 말하는 식 현상은 90분마다 한 번씩 지구를 공전하는 국제우주정거장에게는 매우 드물게 일어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어쩌다 한 번씩 이..
2008.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