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3)
-
적외선망원경으로 촬영된 우리은하 중심부
이 사진은 우리은하 중심부를 촬영한 적외선 합성사진으로 거대한 질량을 가진 별들과 은하 중심부 300광년 범위를 휘어감고 있는 뜨거운 이온화 가스 폭풍의 복잡한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 광대한 사진은 지금까지 촬영된 우리 은하의 중심부 사진중 가장 정교한 적외선 사진이다...
2009.01.08 -
허블이 촬영한 불가사의한 빛
사진설명> 이 한쌍의 사진은 2006년 2월 21일 촬영된 미스테리의 불빛을 찍은 것으로 이 빛은 100일동안 밝게 빛난 후, 이후 100일에 걸쳐 사그러들었다. 사진에 촬영된 발광체의 원천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빛은 멀리 떨어진 은하단의 초신성 연구를 수행하던 허블 우주망원경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 이 기이한 천체현상은 초신성 현상이나, 그간 우주현상으로 무수히 관측되어온 어떤 현상과도 일치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의 거리조차 가늠할 수 없어, 이 현상이 발생한 곳이 우리 은하 내부인지, 아니면 대단히 먼 우주인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얻어진 흡수선의 양상 역시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양상을 띄고 있었다. 이러한 ..
2009.01.07 -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의 식현상
어떻게 목성 상층대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까? 천문학자들은 목성 상층대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목성의 달 가니메데의 식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가니메데는 7일을 주기로 목성주위를 공전하지만, 특별히 유용한 식현상은 드물게 나타난다. 지난 2007년 4월 매우 상세한 식현상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가니메데가 목성 외곽테두리 가까이 위치했을 때, 가니메데에 반사된 태양빛이 목성의 상층 대기를 통과했고, 이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매우흐릿하게 나타난 이질적인 색채를 기록함으로서 모호한 목성의 상층대기를 관측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결과중 하나가 위의 사진으로서 목성대기를 휘감고 있는 구름들이 명확히 보일뿐 아니라, 대적반과 같은 거대한 폭풍의 구조도 선명히 볼 수 있었다. 이미지 하단의 가니메데..
2009.01.07 -
NGC 2397
NGC 2397은 나선팔의 모서리를 따라 명확히 나타나고 있는 먼지 대역을 가진 전형적인 나선은하이다. 허블이 제공하는 놀라운 분해능은 이웃 은하에 속한 별 하나하나의 연구를 가능하게 해 주고 있다. 지구로부터 6천만광년 떨어진 NGC 2397은 그 중심부에 붉은색과 노란색의 늙을 별들을 가지고 있는 반..
2009.01.06 -
외계 행성에서 이산화탄소를 발견하다.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다른 별을 공전하고 있는 외계 행성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발견했다. 이번 발견은 우리가 아는한도 내에서는 외계 생명체의 화학적 생체신호 발견 단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발견이다. HD 189733b라 불리는 목성 크기의 이 행성은 사실 생명체가 살기에는 너무 뜨거운 온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허블의 이번 관측은 생명체를 위한 기본적인 화학적 특징들이 다른 별의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에서 측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 개념증명이라는데 그 의미가 있다. 유기화합물은 생명활동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으므로, 지구와 닮은 행성에서 유기화합물의 탐색을 계속한다면 언젠가는 지구가 아닌 다른 곳에서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전에 HD 189733b에 대한 연구에서 허블과 스피처 우..
2009.01.06 -
사분의 자리 유성우
해마다 발생하는 사분의자리 유성우에서 발생한 유성 하나가 새벽하늘을 가로지르고 있다. 유성우의 발생지점은 사진에는 잡히지 않은 상단 북쪽 지점이며 유성의 궤적이 베타 스콜피 별의 오른쪽을 스쳐지나가고 있다. 유성의 꼬리 끝 부분에 초록색 톤으로 보이는 작은 점은 혜성이다. 이 혜성은 2007년 7월에 발견된 루린혜성(C/2007 N3)으로서 지금은 너무나 흐릿하여 육안으로 관측은 어렵지만 2월 하순경에는 육안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밝아질 것으로 보인다. 적시에 관측된 혜성과 유성우의 모습은 지구에 떨어지는 유성우가 혜성의 몸체로부터 발생한다는 사실의 특별히 적합한 예가 된다. 정보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9년 1월 5일 자) http://antwrp.gsfc.nasa.gov/apod/ap..
2009.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