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3)
-
온타리오의 밤하늘
때때로 우리 눈이 어둠에 익숙해지면 장엄한 하늘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와 같은 일이 이달 초에 캐나다 온타리오의 하늘에서도 있었다. 그리고 그 장대한 하늘의 모습이 호수위에 반사되어 나타났다. 우리 눈이 어둠에 익어가면서 처음에 보이는 천체는 밝은 별들과 이 사진의 상단 좌측에 보이는..
2008.07.29 -
SDSSJ1430
푸른색조를 띤 거대한 물체로서 그 자체로 은하 전체를 휘어감을 수 있는 천체는 무엇일까? 이것은 중력렌즈가 만들어낸 일종의 신기루이다. 사진의 왼쪽을 보면, 평범해 보이는 백색 은하의 중력이 그보다 훨씬 뒷쪽에 멀리 존재하는 푸른색 은하로부터 발생한 빛을 중력으로 뒤틀어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처럼 빛이 구부러지면 원거리에 존재하는 은하는 두 가지 형태의 이미지를 만들어내지만 사진에 등장하는 중력렌즈 현상의 경우 은하간 일직선 상 배열이 너무나도 정확해서 뒷쪽 은하로부터 발생한 빛이 거의 완벽한 고리 모양으로 나타나있다. 이와 같은 일종의 렌즈효과는 70년전 알버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자세하게 예견되었기 때문에 SDSSJ1430과 같은 고리를 일컬어 아인슈타인의 고리라고 한다. SDSS..
2008.07.28 -
바리온을 추적하여 우주의 구조를 탐색하다.
그림 1> 이 그림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수십억광년 떨어진 퀘이사로부터 발생한 빛을 관측함으로써 바리온이라 불리는 잃어버린 물질들을 어떻게 관측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빛속에는 잃어버린 물질들이 빛 속에 흡수되면서 특정한 진동을 나타내는 분광학적 지문이 각인되어 있다. 바리온을 ..
2008.07.28 -
IC 4406
둥그런 구체의 별이 어떻게 사각형의 성운을 만들수 있었을까? 이러한 수수께끼는 행성상성운 IC 4406으로부터 발생했다. IC 4406은 마치 속이 텅 빈 실린더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듯하며, 사각형으로 보이는 외형은 우리가 이 성운을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음을 알려준다. 만약 우리가 IC 4406을 위에서 ..
2008.07.27 -
IC 1805의 중심부
발광성운 IC 1805의 중심부에 환상적인 우주구름이 보이고 있다. 이 구름은 별들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폭풍과 이 성운에서 새로생겨난 성단 Melotte 15의 뜨겁고 거대한 질량의 별들로부터 발생한 복사에 의해 조각된 것이다. 태어난지 150만년 밖에 되지 않은 어린 별의 무리가 오른쪽에 어둡게 나타난 우주먼지 구름과 대비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 사진은 협대역 및 광대역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조합한 것으로 사진의 너비는 15광년에 달하며, 초록색은 수소복사를, 붉은 색은 유황을, 그리고 푸른색은 산소를 나타낸다. IC 1805를 좀더 넓게 바라보면 그 단순한 외형이 나타나는데 그 형태로 인해 하트 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이 붙어 있다. IC 1805는 카시오페이아 방향으로 7500광년 떨어져 있다. 정보..
2008.07.26 -
M101
거대한 규모의 아름다운 나선은하인 M101은 찰스 메시에의 목록에 가장 나중에 기재된 천체이지만 단순이 이와같은 이유가 특징인 천체는 아니다. 직경 약 17만 광년의 이 은하는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데 그 크기는 우리 은하의 2배에 달한다. M101은 또한 19세기 로스 경의 거대한 망원경..
2008.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