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3)
-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
아래 동영상은 목성의 뒤쪽으로 들어가는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의 영상이다. 천문학자들은 허블 광대역 행성형 카메라2(the Wide Field Planetary Camera 2)로 촬영된 사진을 이어붙여 18초 분량의 동영상을 만들었다. 사진이 촬영된 2007년 4월 9일 당시, 2시간동안 허블이 촬영한 분량은 총 540 프레임 분량이었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까꿍' 놀이를 하는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를 포착했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생생한 사진에는 거대한 행성 뒷편으로 숨어들고 있는 가니메데가 나타나 있다. 가니메데는 정확히 7일을 주기로 목성주위를 공전한다. 가니메데의 공전궤도는 거의 지구와 수평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위성이 목성의 전면을 통과할 때 또렷이 목격되고, 뒷면을 통과할 때는 우리..
2009.01.05 -
빛의 해부
멀리 떨어진 우주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시간 팽창으로 인해 빛은 적색편이라고 불리는, 빛이 스펙트럼상에서 붉은색쪽으로 편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천문학자들은 이와 같은 우주적 규모의 시간 지체 현상을 통해 멀리 떨어진 우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사..
2009.01.05 -
페르세우스 자리의 이중 성단
약 7천광년 거리에 있는 이 한쌍의 성단은 쌍안경으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북쪽 페르세우스 자리의 사랑스러운 성단이다. 이 별자리는 어두운 밤하늘에서는 육안으로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별자리가 처음 기록된 것은 기원전 130년, 그리스의 천문학자 히파르쿠스에 의해서였다. 페르세우스 자리의 h 와 chi로 알려져 있기도 하고 NGC 869(우측), NGC 884로도 등재되어 있기도 한 이 성단은 서로에게서 백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태양보다 훨씬 젊고 뜨거운 별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각 성단이 가지고 있는 별들의 연령대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이 두 개의 성단은 동일한 별 생성 지대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정보출처 : NASA - 오늘..
2009.01.04 -
막대나선은하의 생성
사진 1> 이 사진은 은하핵을 관통하는 막대를 지닌 4개의 나선은하를 촬영한 것이다. 이들 은하들은 지구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존재하는 은하들이다. 상단 좌측은 21억 광년, 상단 우측은 38억 광년, 하단 좌측은 53억광년, 하단 우측은 64억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사진은 2003년 가을과 2005년 봄에 촬영된 것으로,허블 우주망원경과 하와이 마우나 케아의 스바루 천문대로부터 관측된 자료를 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Full Story> 나선은하의 성숙도를 측정하는데 종종 사용되는 단서로 은하핵을 가로지르는 별과 가스로 구성된 리본이 마치 금연표시의 가로선처럼 형성되어 있는가 하는 것이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을 통해 주도된 2000개 이상의 나선은하에 대한 기념비적인 연구에서 천문학자들은 이른바 '..
2008.08.09 -
코로나
개기일식이 발생하는 동안 코로나라고 불리는 태양의 외곽 확장 대기는 인상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코로나의 미묘한 명암과 희미한 구조는 겉보기 밝기등급의 편차가 1에서 1만을 상회할 정도로 폭이 넓으며, 이러한 특징은 코로나를 하나의 사진으로 담아내기 매우 어렵게 만드는 악명을 가지게 했다. 그러나 1000분의 1초에서 2초의 노출을 주어 촬영한 28장의 디지털 사진을 합성한 결과 태양의 왕관모양과도 같은 그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지난 8월 1일 러시아 코체네보 근처에서 촬영된 이 사진은 태양이 완전히 가려진 광경뿐 아니라 가려진 태양의 경계 바깥으로 펼쳐진 태양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놀랍게도 지구로부터 반사된 태양빛이 달을 희미하게 비추면서 달의 외곽 어두운 부분의 구조물들을 인식..
2008.08.08 -
구상성단 형성에 관한 최근의 연구
구상성단이란 수백수천개의 별들이 뭉쳐있는 천체로서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별들이 모여있는 천체이다. 우리은하 외곽에 존재하는 구상성단에 대한 최근 연구를 통해 이들 구상성단들이 한결같이 은하로부터 생겨나는 것이 아닌, 빠른 속도로 새로운 별들을 탄생시키는 고밀도 지역으로부터 생성된다는 증거를 발견하였다.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11,000개가 넘는 구상성단이 몰려있는 처녀자리 은하단으로부터 발견하였는데, 이들 구상성단들의 대부분은 50억년 이상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제공하는 고해상도 기능을 통해 희미한 왜소은하들뿐 아니라 100여개에 달하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 밝기를 지닌 은하들로부터 성단들을 탐색할 수 있었다. 처녀자리 은하단은 2000개가 넘는 은하들이 몰려 있는 지구로..
200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