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5)
-
고물자리 RS별 (RS Pup)
맥동 변광성* RS Pup은 태양보다 약 1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밝기는 15000배 더 밝은 별이다. 이 별을 둘러싼 성운의 먼지에서 빛이 반사되고 있다. Rs Pup는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이 유형의 별들은 우리와 가까이 존재하는 은하들의 거리를 측정할 때, 우주적 거리 범위를 설정하는 첫번째 단계중 하나로서 사용된다. RS Pup의 경우 변광주기는 약 40일이며, 이 별 자체의 규칙적인 밝기의 변화는 또한 성운을 따라 규칙적인 밝기 변화의 지연양상의 원인이 되는데, 이로 인해서 빛의 반향이 더욱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편 RS Pup 자체에서 뿜어져 나오는 압도적인 빛은 중앙의 검은 띄 뒤에 숨겨져 있다.* 맥동변광성의 변광주기 지연현상, 성운의 각거리라는 새로운 측정 도구와 우리..
2008.02.13 -
ESO 510-G13
허블이 촬영한 이 특이한 형태의 은하는 뒤틀린 먼지 원반의 세부적인 모습과 어떻게 은하들간의 충돌이 새로운 별의 형성을 만들어내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 은하와 같은 일반적인 나선 은하의 먼지와 나선 팔들은 측면에서 보면 평평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허..
2008.02.12 -
토성의 위성 에피메테우스
에피메테우스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아직 아무도 확실한 답을 알고 있지 못하다. 토성을 공전하고 있는 카시니 호에 의해 촬영된 이 정밀한 사진은 에피메테우스의 기원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에피메테우스는 토성의 또 다른 위성인 야누스에 대해 때로는 그 앞쪽으로, 때로는 그 뒷쪽으로 공전하고 있다. 지난 12월에 촬영된 이 사진을 보면 표면을 가득히 덮고 있는 크레이터를 보아 이 위성이 상당히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피메테우스의 지름은 약 115킬로미터로서 그 자체로는 구형을 형성할만한 충분한 표면중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 사진에 보이는 에피메테우스의 평평한 표면은 이 행성이 한 번의 큰 충돌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8년 2월 1..
2008.02.11 -
Abell 2218
중력은 빛도 휘게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거대한 규모의 은하단이 마치 망원경과 같은 작용을 하게 만든다.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관측되는 대부분의 밝은 천체들은 Abell 2218과 같이 무리지어 있는 은하들이다. 이 은하단의 질량이 워낙 거대하고 은하들이 워낙 촘촘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그 뒷쪽에 위치하는 은하들로부터 출발한 빛이 중력에 의해 휘어지고, 확대되어 나타난다. 그 결과 뒷쪽에 존재하는 은하들의 이미지들이 길쭉하고 희미한 아치 모양으로 왜곡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유리잔을 통해 길거리 멀리 위치하는 가로등을 볼 때 그 상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것과 같은 단순 렌즈 효과이다. Abell 2218은하단은 북쪽 용자리에 30억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단이다. 이 거대한 질량의 은하단이 만들어..
2008.02.10 -
호리병 성운(Calabash Nebula)
이 사진은 행성상성운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단계를 촬영한 사진이다. 최후를 맞이하고 있는 별(성운의 중심부에 먼지와 가스에 가려져 있음)이 대량의 가스를 뿜어내고 있다. 분출되고 있는 가스의 일부분은 무시무시한 속도로 가속되어 시속 150만 킬로미터에까지 다다르고 있다. 파란색으로 보이..
2008.02.10 -
NGC 4013
허블이 촬영한 이 멋진 사진은 NGC 4013은하를 평면각도로 완벽하게 담아냈다. 이 사진에는 은하 원반의 위아래 뿐만 아니라 은하 원반 디스크를 따라 퍼지고 있는 먼지와 가스로 구성된 거대한 구름의 정교한 세부 모습도 나타나 있다. NGC 4013은 우리 은하와 유사한 나선 은하로서 큰곰 자리 방향으로 5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정면에서 본다면 이 은하는 거의 회전하는 불꽃처럼 보이겠지만 현재 우리 위치에서는 모서리만이 보일 뿐이다. 이 은하는 5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긴 하지만, 은하의 크기가 사진과 같은 세밀도로 전체를 한번에 잡아낼 수 있는 크기보다 더 크기 때문에, 비록 전례가 없는 세부적인 촬영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이 은하의 반 정도를 약간 넘어서는 부분만이 촬영되었다. 출처 : The..
2008.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