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1)
-
NGC 6397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가장 가까이 위치한 구상성단 중 하나인 NGC 6397의 중심부로서 마치 보석상자를 가득채운 빛나는 보석들처럼 보인다. 이 성단은 제단자리 쪽으로 82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이 사진은 이 성단에서 별들이 빽빽하게 밀집해 있는 부분을 촬영한 것이다. 이곳의 별들간의 밀집도는 우리 태양이 위치한 주변부의 백만 배에 달한다. 우리 태양에서는 가장 가까운 별이 4광년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반면 이 곳에서 별들은 단지 빛의 속도로 몇 주 정도 거리로 떨어져 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opo0..
2008.02.27 -
N 49 (DEM L 190)
한여름 불꽃놀이 대회의 불꽃과 연무를 닮은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으로 미세한 필라멘트는 이웃은하의 별이 폭발하면서 발생한 잔해들이다. 허블망원경이 조준한 곳은 남반구에서 관측되는 우리 은하의 동반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초신성 잔해이다. N 49 또는 DEM L 190으로 표시되는 이 잔해는 거대한 질량의 별이 초신성 폭발로 최후를 맞으면서 생성된 것으로 폭발로 인한 빛은 1,000년 전 지구에 다다른 것으로 추측된다. 이 잔해들은 궁극적으로 새로운 별을 형성하는 재순환 과정에 들어서게 될 것이다. 우리의 태양과 행성들도 수십억 년 전 이와 비슷한 초신성 폭발의 잔해들로부터 생성되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
2008.02.26 -
M31의 후광에서 잡아낸 별무리
지금까지 촬영된 가장 고해상도의 이 가시광선 사진에서는우리의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 은하(M31)의 후광속에 존재하는 30만개에 달하는 별들을 분간해 낼 수 있다. 이 사진은 허블 ACS(Advanced Camera for Surveys)에 의해 촬영되었다. 이 사진에는 희미한 왜성과 밝은 거성들이 함께 촬영되었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그 색채와 밝기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안드로메다 은하가 만들어내는 헤일로의 연령을 측정할 수 있었다. 안드로메다 은하를 둘러싸고 있는 별의 구름으로 구성된 구형의 헤일로는 지구로부터 250만년 떨어져 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
2008.02.25 -
개기월식(2월 21일)
이번 주, 미주와 유럽, 아프리카와 서아시아의 달 관측자들은 청명한 하늘에서 나타난 개기일식을 완벽하게 즐길 수 있었다. 천체사진 작가인 제리 로드리게스가 촬영한 이 월식 사진은 그림자가 지고 있는 달과, 왼쪽의 토성 그리고 상단 사자자리의 알파별인 레굴루스와 함께 영감어린 천상의 이벤트를 담고 있다. 이 매력적인 사진은 달과 그 주변의 하늘을 망원렌즈로 촬영한 후 이를 합성하여 만들어졌다. 지구의 그림자가 달 표면에 어스름하게 드리워지면서 발생한 색채와 밝기의 명료한 변화와 함께 붉은 빛을 띈 달빛이 극적으로 어우러져 나타나고 있다. 정보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8년 2월 22일 자) http://antwrp.gsfc.nasa.gov/apod/astropix.html 참고 : 다양한 ..
2008.02.25 -
NGC 4676
사진에 나타난 두 개의 거대한 은하들은 서로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기다란 꼬리처럼 생긴 구조 때문에 생쥐(The Mice)라는 이름이 붙은 이 천체는 각각의 나선형 은하들이 이미 서로를 스쳐지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 은하들은 최종적으로 완전히 합체할 때까지 충돌을 반복할 것으로 ..
2008.02.25 -
말머리 성운
말머리 성운은 가장 유명한 성운들 중 하나이다. 이 사진의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 하단에 붉은 복사선을 방출하고 있는 성운쪽으로 움푹 패인 어두운 지역이 보인다.또한 왼쪽에 가장 밝게 빛나고 있는 별은 우리에게 익숙히 알려져 있는 오리온 자리의 오리온 벨트 중 하나이다. 말머리 모양은 붉은 복사선을 방출하는 성운의 앞쪽에 놓여진 불투명한 먼지 구름으로 이루어진 천체이다. 우리 지구상의 구름들과 마찬가지로 이 구름 역시 우연히 특정한 모양과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수천년이 지나면 이 구름 내부의 작용으로 인해 이러한 형상은 변하게 될 것이다. 성운에서 방출되고 있는 붉은 빛은 수소 원자로부터 발생한 양자가 전자와 결합하여 발생되는 것이다.또한 성운들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파란색 빛은 근처에 위치한 ..
2008.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