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엽성운 11

아름다운 삼엽성운

Image Credit & Copyright: Chamaeleon Team - Franz Hofmann, Wolfgang Paech 아름다운 삼엽성운은 색채대비에 대한 우주의 연구라 할 수 있는 천체이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성운은 성운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5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별들의 탄생이 계속되는 있는 미리내의 평단면에 자리잡고 있는 삼엽성운의 3가지 색채는 서로 다른 유형의 성운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붉은 색의 발광 성운은 수소원자의 빛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성운이며, 파란색의 반사성운은 성운의 먼지에 별빛이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성운이다. 그리고 암흑 성운은 고밀도의 먼지구름이 별빛을 막아서면서 연출되는 성운이다. 붉은색으로 나타나는 발광지역을 빛을 막아서는..

M20 : 적외선으로 바라본 삼엽성운

Image Credit: J. Rho (SSC/Caltech), JPL-Caltech, NASA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삼엽성운은 성운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궁수자리에서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천체이다. 가시광선으로 바라본 삼엽성운은 검은 먼지 띠에 의해 세조각으로 갈라진 모습으로 보이지만 먼지를 투사하는 적외선으로 바라본 사진에서는 불타오르는 먼지구름과 갓 태어난 별들이 만들어낸 먼지다발들이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인위적인 색채를 입힌 이 멋진 사진은 스피처우주망원경의 선물이다. 천문학자들은 스피처적외선망원경을 이용하여 새로 태어난 별이나 배아기에 있는 별들의 수를 세곤 한다. 이들은 모두 적외선 관측이 아니라면 먼지와 가스구름에 숨겨져 볼 수 없는 천체들이다. 삼엽성운의 폭은 30..

VISTA가 바라본 미리내 반대편 : 삼엽성운 뒤에서 발견한 세페이드 변광성

사진1> VISTA VVV 서베이로부터 뽑아낸, 미리내의 중심부분을 촬영한 사진의 중심 우측으로 그 유명한 삼엽성운이 위치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익숙한 가시광선 사진과 비교해봤을때, 이 적외선 파장의 사진에서 삼엽성운은 희미한 유령처럼 보인다. 이러한 투명화 작업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뒷편의 천체들을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준다. 이 사진에서 두 개의 세페이드 변광성이 새로 발견되었는데, 이는 미리내 평면의 반대편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VISTA 가 우리은하의 반대편을 응시하다 : 적외선으로 바라본 삼엽성운에서 새로 발견된 두 개의 세페이드 변광성 ESO의 VISTA 관측 망원경이 촬영한 새로운 사진에는 희미한 빛 속에서 새롭게 드러난 그 유명한 삼엽성운의 모습을 보여..

M20과 M21

Image Credit & Copyright: Lorand Fenyes 메시에 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아름다운 삼엽성운은 성운이 풍부하게 위치하고 있는 궁수자리에서 소규모 망원경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5000광년 거리에서 화려한 우주의 콘트라스트를 보여주는 이 성운이, 거의 1도 너비로 퍼져 있는 메시에 21 산개성단(오른쪽 상단)과 함께 화면을 멋지게 구성하고 있다. 먼지띠에 의한 3등분 양상이 나타나는 이 삼엽성운의 지름은 40광년이며 그 나이는 아직 30만년이 채 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성운은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내는 가장 어린 지역이기도 하며, 갓태어난 별들과 아직 먼지와 가스구름이 만든 고치에 둘러싸인 태아기의 별들이 존재하고 있다. 산개성단 M21까지의 거리는 M20까지의 거리와 비슷하..

아름다운 삼엽성운

아름다운 삼엽성운은 우주의 콘트라스트를 연구할 수 있는 천체이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성운은 성운이 가득 들어차 있는 궁수자리 방향으로 5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 은하의 평단면, 별들의 탄생이 계속되는 있는 지역에 위치한 삼엽 성운의 3가지 색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성운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붉은 색의 발광 성운은 수소원자의 복사에 의한 색체가 우세하게 나타나는 성운이며, 파란색의 반사성운은 성운의 먼지에 별빛이 반사되면서 나타나는 성운이다. 그리고 암흑 성운은 고밀도의 먼지구름이 빛을 막아서면서 보이는 성운이다. 붉은 색으로 밝게 빛나는 지역은 이 지역을 막아서고 있는 먼지 대역에 의해 3개로 분리되어 보이는데, 이로 인해 삼엽성운이라는 대중적인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 고해상도의..

삼엽성운의 중심부

삼엽성운의 먼지 띠와 함께 섞여 있는 불타오르는 가스구름들은 궁수자리 방향에 위치한 새로운 별의 탄생지이다. 사진 중심부에는 이 성운의 이름이 된 세 갈래의 먼지 띠가 서로 만나고 있다. 불투명한 먼지로 만들어진 산맥과 같은 모습이 오른쪽으로 보이고 어두운 먼지 필라멘트들이 성운 전체를 꿰맨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대질량의 별 하나가 중심부에 보이는데 바로 이 별이 삼엽성운 대부분을 불타오르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삼엽성운의 나이는 고작 30만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발광성운중 가장 어린 성운 축에 드는 나이이다. 이 성운은 9천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사진은 그 일부만을 담은 것으로 그 폭은 10광년이다. 이 사진은 지상에 위치한 8.2미터 스바루 망원..

궁수자리 삼총사

사진에 나타나 있는 세개의 밝은 성운들은 궁수자리 방향을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자주 눈에 띄는 천체이며 우리 은하의 중심부, 별들이 가득 들어차 있는 곳을 배경으로 몰려 있는 천체들이다. 18세기 천체관측자인 찰스 메시에는 이 천체 중 두 개를 목록에 등재하였는데 중심에서 왼쪽에 있는 거대한 성운을 M8로, 그리고 우측에 보이는 다채로운 색깔의 천체를 M20으로 등재하였다. 세번째 천체는 NGC 6559로서 M8의 바로 위에 있으며 검은 먼지대역에 의해 M8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천체이다. 3개 천체 모두 새로운 별들을 왕성하게 만들어내고 있는 별들의 육아실이며 약 5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백광년 이상에 걸쳐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M8은 라군성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M20은 삼엽성운이라..

은하수의 중심부

지구의 밤하늘에서 궁수자리에서 전갈자리까지는 우리 은하의 중심부로서 매우 아름다운 부분에 해당한다. 사진은 34 x 20 도 영역으로 펼쳐져 있는 하늘을 52개 구역으로 나누어 200시간의 노출을 통해 촬영된 1200개의 개개 이미지를 합성한 장대한 기가픽셀 모자이크 사진이다. 유럽 남방 천문대의 Gigagalaxy Zoom Project의 일환으로 집대성된 이 사진들은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서 빼어나게 청명하고 어두운 하늘을 보여줬던 총 29일의 밤하늘을 배경으로 소규모 천체망원경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숨막힐정도로 멋진 모습을 자랑하는 이 사진에는 복잡한 먼지대역 및 밝은 성운과 성단들이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가득채우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왼쪽부터 시작해서 라운성운과 삼엽성운, 고양이 발성운과 ..

삼엽성운

삼엽성운에서는 말로표현할 수 없는 아름다움과 상상할 수 없는 소동을 함께 발견할 수 있다. M20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멋진 성운은 성능이 좋은 쌍안경 정도라면 궁수자리 방향에서 관측할 수 있다. 새로운 별을 생성하는 왕성한 작용들은 사진에 보이는 찬란한 색채뿐 아니라 지독한 혼동도 만들어내고 있다. 붉은 색으로 불타고 있는 가스는 고에너지의 별빛이 성간 수소 가스를 때리면서 발생시키는 것이다. M20을 수놓고 있는 검은 먼지 띠는 차갑고 거대한 별들의 대기와 초신성 폭발잔해에 의해 생성된 것인데, 푸른 반사 성운을 만들어내고 있는 어린 별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연구대상으로 남아 있다. 비록 이 성운까지의 거리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오늘 우리가 바라보는 M20은 대략 3000년 전의 모습이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