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iral Galaxy 40

NGC 4921

나선은하 NGC 4921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일까? 비록 현재로서는 이 천체까지의 거리를 3억 2천만 광년으로 추측하고 있지만 이 천체가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속도를 통해 전체 우주의 팽창율을 보다 정교하게 계산하다보면 이 천체까지의 보다 정교한 거리가 다시금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진은 허블 우주 망원경을 통해 천체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일종의 지표인 세페이드 변광성을 관측하면서 촬영되었다. 코마 은하단의 구성원인 NGC 4921의 거리 측정 정교화 작업은 국부 우주에서 우리와 가까이 위치하는 이 거대한 은하단까지의 보다 정교한 거리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거대한 나선은하인 NGC 4921은 비공식으로는 빈혈증에 걸린 은하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새로운 별을 ..

NGC 4945

거대한 나선은하 NGC 4945가 사진 중앙에 비스듬한 측면각도로 보인다. 이 사진은 남쪽하늘에 뻗어있는 센타우루스 자리방향으로 2도각(보름달의 4배 너비)의 하늘을 촬영한 것이다. 약 1천 3백만 광년 거리의 NGC 4945는 우리은하와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이 은하의 핵을 X선과 적외선으로 관측한 결과 우리 은하보다 훨씬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하고 있으며 새로운 별들이 더 왕성하게 탄생하고 있었다. 이 사진에 보이는 또하나의 주요은하인 NGC 4976은 타원은하로서, 사진의 왼쪽 중앙에 나타나있다. NGC 4976은 3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NGC 4945와는 전혀 물리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정보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09년 1월 9일 자) http:/..

NGC 3370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들을 배경으로 그 한복판에 웅장한 나선은하 NGC 3370이 나타나 있다. 허블 ACS로 촬영된 최근의 관측자료에는 새로운 별들이 생성되고 있는 뜨거운 지역의 점들이 어우러진 복잡한 나선 팔 구조가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 은하는 단순히 멋진 외양만을 지닌 것은 아니다.10여년 전 사자 자리의 NGC 3370에서는 초신성 폭발이 발생했었다.1994년 11월 NGC 3370 근처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의 빛이 지구에 도달했던 것이다. 이 초신성이 내뿜는 빛은 이 은하의 다른 수십억개의 별들이 뿜어내는 빛보다도 더 밝게 빛났었다.비록 초신성 폭발은 이 우주의 어딘가에서 수초마다 한 번씩 발생하는 일상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이 경우는 특별한 경우..

NGC 4013

허블이 촬영한 이 멋진 사진은 NGC 4013은하를 평면각도로 완벽하게 담아냈다. 이 사진에는 은하 원반의 위아래 뿐만 아니라 은하 원반 디스크를 따라 퍼지고 있는 먼지와 가스로 구성된 거대한 구름의 정교한 세부 모습도 나타나 있다. NGC 4013은 우리 은하와 유사한 나선 은하로서 큰곰 자리 방향으로 5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다. 정면에서 본다면 이 은하는 거의 회전하는 불꽃처럼 보이겠지만 현재 우리 위치에서는 모서리만이 보일 뿐이다. 이 은하는 5천 5백만 광년 떨어져 있긴 하지만, 은하의 크기가 사진과 같은 세밀도로 전체를 한번에 잡아낼 수 있는 크기보다 더 크기 때문에, 비록 전례가 없는 세부적인 촬영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이 은하의 반 정도를 약간 넘어서는 부분만이 촬영되었다. 출처 : The..

NGC 4013

큰곰자리에 약 5천만 광년 떨어져 있는 NGC 4013은 오랫동안 홀로 떨어져 있는 섬우주로 간주되어 왔다. 모서리가 보이는 각도로 서 있는 이 나선은하는 평평한 원반과 중심부에 별들이 몰려있는 팽대부, 그리고 은하를 횡단면으로 가르듯이 가로질러 보이는 먼지대역으로 유명한 은하이다. 그런데 이 사진에는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던 이 은하의 새로운 구조물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거대하고 희미한 고리 모양의 구조가 은하중심부로부터 (위쪽과 왼쪽으로) 8만 광년 이상의 길이로 뻗어있는 것이 발견된 것이다. 이 놀라운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조사해 본 결과 이들은 원래 다른 은하에 속해 있는 별들이 거대한 나선형 은하인 NGC 4013의 중력장에 의해 찢겨지고 흡수되면서 발생한 별의 흐름인 것으로 밝혀졌다. 천문학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