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eil Nebula 12

베일성운 : 폭발한 별의 성긴 먼지다발

성긴 보풀과 같은 이 천체는 여전히 볼 수 있는 상태로 미리내에 남아 있다. 약 7천년 전,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하면서 베일 성운을 남겨놓았다. 당시 폭발로 팽창하는 구름은 초승달 만큼이나 밝게 빛났을 것이며 역사시대의 여명기에 살았을 인류에게 수 주 동안 목격되었을 것이다. 오늘날 백조의 고리라고 알려진 이 초신성 잔해는 많이 희미해져 망원경을 이용해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이 초신성 잔해는 백조자리에서 찾을 수 있으며 작은 망원경으로도 관측이 가능하다. 그러나 베일성운은 그 규모가 워낙 커서 1,400 광년이라는 거리에도 불구하고 보름달의 다섯 배에 해당하는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6장의 사진을 이어붙인 것으로서 그 방대한 잔해의 작은 부분인 약 2광년에 해당하는 부분..

별의 폭발이 만들어낸 충격파

1784년 9월 5일, 윌리엄 허셜 경에게 발견된 베일 성운은 한때는 별이었던 성운이다. 지금 베일 성운은 하늘에서 보름달보다 6배 이상의 크기로 보이는 뒤죽박죽 뒤틀린 충격파 덩어리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은 '남동쪽 점(‘south-eastern knot)'이라 불리는 베일 성운의 특정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 베일 성운 전체의 반지름은 대략 50광년이며 지구로부터 15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1만년 전에는 베일 성운이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베일 성운은 우리 태양보다도 훨씬 밝고 거대한 크기를 가진 별이었으며 중심의 핵 용광로로 인해 맹렬히 불타고 있던 별이었다. 그러던 별이 연로가 모두 고갈되어 불안정 상태에 빠졌을 때, 붕괴와 폭발을 맞게 된 것이다. 이러한 일이 발생한 것은..

베일 성운 동쪽의 유령

Image Credit & Copyright: Ken Crawford (Rancho Del Sol Observatory) 무시무시한 의상들과 무서운 얼굴들은 할로윈 시즌의 상징이다. 이러한 모습은 베일 성운의 동쪽을 확대한 사진에서도 출몰한다. 베일 성운은 거대한 초신성 폭발 잔해로서 무거운 별이 최후의 폭발을 일으키며 발생하여 팽창을 계속하고 있는 파편들이다. 베일 성운의 전체 원형 구조는 백조자리의 하늘에서 거의 3도 영역을 차지하고 있지만 베일 성운의 동쪽 부분은 0.5도로써 이는 달의 겉보기 크기에 해당하는 너비이다. 지구로부터 1400광년으로 재확인된 베일 성운까지의 거리를 고려할 때, 사진의 폭은 12광년이다. 광대역과 협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합성한 이 사진에서 잔해속에 존재하는..

베일 성운의 서쪽

Image Processing: Oliver Czernetz - Data: Digitized Sky Survey (POSS-II) 섬세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이 필라멘트들은 지구의 밤하늘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드리워져 있는 불타오르는 가스 및 충격파들로서 베일 성운의 서쪽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베일 성운은 그 자체가 거대한 초신성 폭발 잔해로서 무거운 질량의 별이 최후를 맞으면서 만들어진 팽창하는 구름이다. 이 초신성 폭발의 불빛은 5천년 전 지구에 도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가공할만한 사건에서 몰아쳐나온 성간 충격파가 우주 공간을 휩쓸며 성간 물질들을 이온화시키고 있다. 우리에게 거의 모서리를 보이고 있는 이 불타오르는 필라멘트들은 실제로는 훨씬 더 기다란 파동을 그리고 있을 것이며, 인상적이게..

베일 성운의 동쪽

무서운 차림과 얼굴은 할로윈의 마크이다. 또한 이러한 모습들은 베일 성운의 동쪽을 확대한 이 사진에서도 떠올리게 된다. 베일 성운은 거대한 초신성 잔해로서 무거운 별이 최후의 폭발을 맞으면서 뿜어낸 파편 구름들이다. 베일 성운의 전체 모습은 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백조자리 방향에 3도 영역에 걸쳐 펼쳐져 있는 성운이다. 사진에 담긴 이 부분은 베일 성운의 동쪽 일부이며 폭은 0.5도로서 이는 보름달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지구에서 1400광년으로 예측되는 베일 성운의 거리를 근거로 봤을 때 이 천체의 폭은 12광년으로 추정된다. 협대역 필터를 통해 촬영된 이 조합사진에는 수소원자의 복사는 붉은 색으로, 산소원자로부터 발생하는 강력한 복사는 청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베일 성운의 왼쪽에는 또 다른 할로윈..

NGC 6960

1만년 전 인간의 역사가 여명을 맞기도 전에 밤하늘에서 갑자기 새로운 빛이 나타났다가 수주일에 걸쳐 사라졌다. 오늘날 우리는 이것이 폭발하는 별이 만들어내는 초신성의 빛임을 알고 있고, 그 흔적이 초신성 잔해인 '베일 성운'이라는 팽창하는 잔해 구름으로 남아있다. 이 고해상도 망원경 사진은 NGC 6960으로 기록되어 있는 베일 성운의 서쪽 파편 중심부를 촬영한 것으로 '마녀의 빗자루 성운'이라는 비공식적인 이름도 가지고 있다. 가공할 폭발로부터 휘몰아쳐나온 성간 충격파가 우주공간을 쓸어버리면서 성간 물질을 가열시키고 있다. 협대역 필터로 촬영된 이 불타오르는 필라멘트들은 거의 측면에서 바라본 기다란 파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수소(붉은색)와 산소(청록색) 원자가 갈라져 있는 모습이 확인히 보인다. ..

베일 성운

사진에 모이는 일련의 보푸라기들은 우리 은하의 별이 남겨놓은 것이다. 9천년 전에 별이 폭발하면서 남겨진 이 초신성 잔해는, '백조의 고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기도 한 베일 성운이다. 당시 폭발로 팽창하는 구름은 초승달 만큼이나 밝게 빛났을 것이며 역사시대의 여명기에 살았을 인류에게 수 주 동안 목격되었을 것이다. 오늘날 초신성 폭발 잔해는 사그러들었고 백조자리 방향으로 망원경을 통해서만 목격된다. 하지만 베일 성운은 그 규모가 워낙 켜서 14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크기는 보름달의 다섯배에 달한다. 이 사진에는 베일 성운 전체의 모습이 담겨져 있으며 공부하는 사람들이라면 개개의 필라멘트을 충분히 식별해낼 수 있어야 한다. 오른쪽으로 밝게 보이는 일련의 뭉치들은 '마녀의 빗자루'..

베일 성운

이 멋진 사진은 대략 5천년 전에서 1만년 전쯤 폭발한 초신성의 잔해인 베일 성운의 한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폭발로부터 발생한 섬세하고 갸날픈 잔해의 아름다운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시그너스 루프라고도 알려져 있는 베일 성운은 백조자리에 지구로부터 1500광년 떨어져 있다. 사진에 담긴 부분은 베일 성운의 서쪽 부근을 구성하고 있는 좀더 큰 규모의 조각에 위치하고 있다. (지상에서 전체 모습을 담은 사진에서는 상단 왼쪽에 위치함) 이 성운의 전체 크기는 하늘의 3도 영역에 걸쳐서 펼쳐져 있는데 이는 보름달의 6배에 해당하는 크기이다. 이 사진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WFPC2에 의해 촬영된 것으로 사진의 색체는 3장의 각기 다른 사진을 조합하여 얻어졌다. 이 색체는 폭발충격에 의해 여기된 서로다른 종류의 ..

NGC 6992

실뭉치인듯 보이는 이 천체는 우리 은하에 속한 별의 잔해이다. 이 별은 약 7천 5백년 전 초신성 폭발을 일으켰고, 시그너스 루프(the Cygnus Loop)라고 알려져 있는 베일 성운을 남겨놓았다. 이 별이 폭발했던 당시 그 밝기는 초승달의 밝기 정도와 비슷했으며 인류 역사의 여명기가 시작되던 당시를 살았던 인간들에게 몇 주동안 목격되었을 것이다. 오늘날 그 밝기는 많이 사그라들어 최소한 작은 천체망원경이 있어야 백조자리 방향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 성운의 크기는 워낙 방대해서 1천 4백광년의 거리에도 불구하고 보름달 크기의 5배를 커버하고도 남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베일 성운의 전체 사진을 보고 있는 열의에 찬 관측자라면 베일 성운의 하단 좌측 부분에서 사진에 보이는 부분을 식별해 낼 ..

베일 성운의 한 부분

이 사진은 대략 5천년~1만년전에 폭발한 초신성 잔해로서 베일 성운이라 불리는 성운의 한 부분을 촬영한 것이다. 마치 복잡하게 꼬여버린 밧줄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선형 가스들은 초신성폭발로부터 빠른속도로 밀려나온 잔해들이 주위공간으로 퍼져나가며 그 전면에 충격파를 만들어 냈을때 발생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로부터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시속 60만킬로미터의 속도로 밀려나온 잔해들에 의해 발생한 충격파는 주변의 가스를 수백만도로 가열시켰다. 사진은 이렇게 가열된 물질들이 식어가면서 만들어내는 찬란한 색채의 불꽃들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에 나타난 부분은 베일 성운의 한 부분으로 '마녀의 빗자루 성운(Witch's Broom Nebula)'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 베일 성운의 동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