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국립전파천문대(NRAO)(85)
-
브레이크스루 리슨 (Breakthrough Listen)에 참여하는 GBT
Credit: NRAO/AUI/NSF 사진 1> 그린뱅크망원경( Green Bank Telescope ) 국립과학재단의 그린뱅크망원경(Green Bank Telescope, 이하 GBT)이 외계 지적 생명체의 신호를 찾기 위한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이며 강도 높은 과학탐사 프로그램에 참여할 예정이다. 브레이크스루 리슨(Breakthrough Listen)'이라고 알려..
2015.07.21 -
탄소의 스모그에 잠겨 있는 태초의 은하들을 관측하다.
사진 1> 천문학자들이 ALMA를 이용하여 우주의 나이가 고작 10억년 밖에 되지 않은 시점의 일반 은하들을 관측하였다. 이 은하들에서는 이온화 탄소가 별 사이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양상이 감지되었는데, 이는 수십억 년 후의 유사한 은하들과 비교했을 때 형태는 완전히 갖춘 상태이지만 화학적으로는 아직 미성숙한 단계에 있음을 말해주는 결과이다. ALMA가 관측한 4개 은하의 모습이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COSMOS 관측상에 담긴 동일한 은하와 비교되어 나타나 있다. 천문학자들은 은하의 내부에서 벌어지는 일과 은하의 움직임 및 화학적 조성을 알기 위해 별 사이에 존재하는 원소들에 대해 연구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초기 우주에서 탄소의 전파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노력들은 번번히 실패해왔다. 아마도 - 어느..
2015.06.26 -
IC 342 : 은하 자기장을 통해 은하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단서를 추적하다.
사진 1> 이 사진은 VLA와 에펠스버그 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들어낸 IC 342의 전파 및 가시광선 사진이다. 사진 상의 선들은 이 은하내의 자기장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2> IC 342를 촬영한 에펠스버그 전파망원경의 거대규모 사진, 사진 상의 선들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천문학자들이 여러개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가까운 이웃 은하를 세밀하게 연구함으로써 은하의 주요 나선팔 주위를 휘감고 있는 자기장을 발견해냈다. 이번 발견은 은하의 나선팔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한다. 이번 연구는 또한 블랙홀을 품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은하의 중심지역을 향해 가스들이 어떻게 집중되어 쏟아져들어가는지를 알려주기도 한다.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 천문 연구소의 라이너 벡(..
2015.06.22 -
NGC 1097 : ALMA가 머나먼 은하의 블랙홀 질량을 측정하다.
사진 1> 이 사진은 막대나선은하 NGC 1097을 여러 파장에서 촬영하여 합성한 것이다. ALMA를 이용하여 두 개 분자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이 은하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억 4천만 배임을 알 수 있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가시광선 사진 위에 ALMA가 탐지한 포르밀리움(HCO+)이 빨간색으로, 시안화수소(HCN)가 녹황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모든 거대 은하의 중심에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숨겨져 있다. 그리고 이 블랙홀들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수백만배에서 수십억배까지 달한다. 그러나 블랙홀의 질량이 얼마나 무거운지를 결정하는 것은 특히 나선은하나 나선은하의 가까운 사촌격인 막대나선은에 있어서는 힘이 많이 빠지는 일이다. 천문학자들이 ALMA를 이용하여 새로운 ..
2015.06.18 -
M32 의 블랙홀 발견
사진 1> 가시광선으로 촬영된 이 사진에는 거대한 나선은하인 M31 안드로메다 은하와 그 위성은하인 M32의 모습이 담겨있다. 네모 상자에 담긴 것은 라디오파,가시광선,X선으로 촬영하여 합성한 M32의 모습이다. 네모 상자 전반에 걸쳐 흐릿하게 퍼져 있는 보라빛은 가시광선으로 보이는 M32의 별빛이다. 중심의 하얀색 천체는 M32의 중심부로서 이곳은 라디오파와 X선 복사가 모두 감지되는 부분이다. 붉은 색은 라디오파를 복사하는 천체들로서 여기에는 이전에 행성상별구름으로 예측된 한 쌍의 천체(사진 중심에서 왼쪽)가 포함되어 있다. 초록색은 강력한 X선을 뿜어내는 천체이다. VLA가 이웃 은하에서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블랙홀을 찾아내다. 탁월한 해상도의 칼 G 얀스키 초대형 배열(the Karl G. Jan..
2015.06.18 -
ALMA가 원시 거대 별무리를 발견하다.
사진 1> 허블우주망원경이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더듬이 은하(최상단 사진)가 ALMA에 의해 연구되면서 방대하게 펼쳐져 있는 분자 가스가 발견되었다.(중간 사진) 그 중 한 구름(하단 사진)은 놀라울 정도로 고밀도에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음에도 아직 별들이 전혀 생성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발달 초기 단계에 있는 구상성단의 예로서는 처음으로 식별된 천체일 것으로 보인다. ALMA를 이용하여 원시 거대 별무리를 발견하다 - 막 부화를 앞둔 우주의 '공룡알' 구상성단 - 최대 백만여 개의 오랜 별들이 모여 있는 찬란한 별무리 - 는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천체 중 하나이다. 비록 구상성단은 은하 내부나 주위에 많이 존재하지만 새로 태어난 구상성단의 예는 대단히 희귀하며 새로운 구상성단이 만들어지는..
201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