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유럽남부천문대(ESO)(217)
-
프록시마 b (Proxima b) : 가장 가까운 별의 생명체서식가능구역에서 발견된 행성
Credit:ESO/M. Kornmesser 그림1> 이 상상화는 프록시마 b 행성의 풍경을 그린 것이다. 프록시마 b는 적색난쟁이별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 별 주위를 돌고 있다. 이 별은 태양계와 가장 가까운 별이다. 그림에 보이는 가장 큰 별은 켄티아루스자리 프록시마별이며 상단 우측으로 켄티아루스자리 알파 A, B 별이 보인다. 프록시마 b는 지구보다 약간 더 무거우며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 주위의 생명체 서식가능구역 내에서 공전궤도를 유지하고 있다. 생명체서식가능구역이란 그 표면에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는 구역을 말한다. 천문학자들이 ESO의 망원경들과 여러 관측 설비들을 이용하여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켄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별 주위에 행성이 있다는 명백한 증거를 발견해..
2016.09.11 -
M18 : 궁수자리의 별 연구실
사진 1> 6억 1500만 화소에 달하는 이 사진의 상단 왼쪽에 푸른빛으로 밝게 보이는 적은 수의 별들은 별의 일생과 죽음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완벽한 우주의 실험실이 되어주고 있다. 메시에 18로 알려져 있는 이 성단은 동일한 거대 가스먼지구름으로부터 함께 탄생한 별들이다. 이 사진은 ESO 파라날 천문대의 VLT서베이망원경(the VLT Survey Telescope, 이하 VST)에 부착된 오메가캠(OmegaCAM)으로 촬영한 것이다. 6억 1500만 화소에 달하는 이 사진의 상단 왼쪽에 푸른빛으로 밝게 보이는 적은 수의 별들은 별의 일생과 죽음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완벽한 우주의 실험실이 되어주고 있다. 메시에 18로 알려져 있는 이 성단은 동일한 거대 가스먼지구름으로부터 함께 탄생한 별들이다..
2016.08.24 -
전갈자리 AR별 (AR Scorpii, AR Sco) : 독특한 이중별
그림 1> 이 상상화는 독특한 이중별 전갈자리 AR별을 그린 것이다. 빠르게 자전하는 백색난쟁이별(오른쪽)은 전자를 거의 빛의 속도에 육박하느 속도까지 올리고 있다. 이렇게 고에너지 상태로 들뜬 입자들이 몰아쳐나와 짝꿍별인 적색난쟁이별(왼쪽)을 강타하면서 자외선에서 라디오파까지 폭넓은 복사를 만들어 내고, 1.97분 단위의 드라마틱한 밝기 변화를 보이는 깜빡이별로 만들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ESO 초대형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 및 지상과 우주에 있는 여러 망원경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형의 독특한 이중별을 발견했다. 전갈자리 AR별의 구성원 하나는 빠르게 자전하는 백색난쟁이별인데 이 회전에 의해 전자들이 거의 빛의 속도에 육박하는 속도까지 가속되고 있다. 이렇게 들뜬 고에..
2016.08.21 -
오리온자리 V883에서 직접적으로 식별된 물얼음 한계선
그림1> 이 상상화는 오리온자리 V883 별 주위의 물얼음 한계선을 묘사한 것이다. ALMA가 원시행성원반에서 물얼음 경계선을 처음으로 식별해냈다. 얼음 경계선(Snow Line)이란 어린 별을 둘러싼 먼지 원반에서 얼어붙기 충분할만큼 온도가 떨어지는 한계선을 말한다.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어린별 오리온자리 V883 에서 나타난 급격한 밝기의 증가와 이 와중에서 발생한 섬광이 원시 행성원반의 안쪽을 데운 결과 일반적인 원시별보다 훨씬 더 먼 거리까지 물얼음 경계선이 밀려나가게 되었는데 이렇게 밀려나간 물얼음 경계선이 사상 처음으로 관측되었다. 이번 발견 결과는 2016년 7월 14일 네이처 지에 개재되었다. 갓 태어난 어린 별은 대개 그 주위를 도는 짙은 가스와 먼지 원반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
2016.08.17 -
가장 깊은 노출을 통해 바라본 오리온성운
사진 1> 별생성 구역인 오리온성운을 촬영한 이 멋진 사진은 ESO 초거대망원경(the 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에 장착된 HAWK-I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여러번의 노출로 촬영된 것이다. 이 사진은 지금까지 촬영된 이 지역의 사진들 중에서는 가장 깊은 노출을 이용하여 촬영된 것으로서, 이곳에 행성정도의 질량을 가진 희미한 천체들이 예상보다 훨씬더 많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VLT에 장착된 ESO의 HAWK-1 적외선 탐사기가 오리온성운의 심장부를 유례없이 깊이 엿보는데 사용되었다. 이 멋진 사진은 이전 관측보다 10 배나 많은 갈색난쟁이별의 존재와 홀로 떨어져 있는 행성 질량의 천체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발견은 오리온의 별생성 역사에 대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가설..
2016.08.06 -
HD 131399Ab : 삼중별계에서 발견된 외계행성
그림 1> 이 상상화는 다중별계 HD 131399 의 별 3개와 그 주위를 돌고 있는 거대한 행성을 그린 것이다. 이 행성의 이름은 HD 131399Ab이며 그림 하단 왼쪽에 자리잡고 있다. 켄타우루스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320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HD 131399Ab는 1,6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으로는 가장 어린 나이에 해당한다. 또한 이 행성은 직접적으로 사진이 촬영된 극소수의 행성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행성의 온도는 섭씨 약 580도이며 질량은 목성 질량의 4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 행성은 직접적으로 사진이 촬영된 행성으로는 가장 낮은 온도와 가장 적은 질량을 가진 행성이다. 천문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ESO 초거대망원경(Very L..
2016.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