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3703)
-
태양의 흑점과 달리 은백색 점을 가진 별
Credit: ESO/L. Calcada, INAF-Padua/S. Zaggia 그림 1> 천문학자들이 구상성단에 숨겨져 있는 이른바 뜨거운 수평가지별(the extreme horizontal branch star)이라 불리는 뜨거운 별들의 표면에서 거대한 점들을 발견했다. 이 사진은 거대한 은백색 점을 가진 뜨거운 수평가지별을 그린 상상화이다. 자기장에 의해 촉발된 이 점은 매우 밝게 빛나며 별 표면의 4분의 1을 뒤덮고 있다. 별의 자전으로 인해 이 점은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며 이로인해 별의 밝기 변화가 발생한다. 자기장에 의해 촉발된 점들로 뒤덮인 뜨거운 별들 천문학자들이 극단적인 온도로 들끓고 있는 뜨거운 별의 표면에서 여러 개의 거대한 점들을 발견했다. 이 별들은 자기장으로 촉발된 점의 홍..
2020.06.02 -
가장 밝은 별로부터의 '거리'가 원시행성원반의 존재를 결정한다.
Credit: NASA, ESA,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A. Nota (ESA/STScI), and the Westerlund 2 Science Team 사진 1>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 25주년 기념으로 발표된 웨스터룬드 2(Westerlund 2)의 중심부를 보여주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에 장착되어 있는 근적외선카메라는 먼지가득한 환경을 투시하여 별들의 육아실을 들여다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천문학자들은 성단 중심에 빽빽하게 몰려 있는 별들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Credit: NASA, ESA,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A. Nota (ESA/STScI), and the Westerlund 2 Scien..
2020.06.01 -
목성의 깊은 대기를 관측하다
CREDITS: NASA, ESA, and M.H. Wong (UC Berkeley) and team 사진 1> 목성의 대적반을 담은 이 사진들은 2018년 4월 1일 허블우주망원경과 제미니천문대의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천문학자들은 두 개의 관측 설비로 거의 동시에 수집된 데이터를 합쳐 대적반에 보이는 검은 구조물들이 특정 물질 덩어리가 아니라 구멍이라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상단 왼쪽과 하단 왼쪽 사진 :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가시광선 사진으로서 대적반 내에 태양빛을 반사해 내고 있는 구름들 사이로 검은 구조물들이 보인다. 상단 우측 : 동일한 지역을 제미니천문대에서 촬영한 열적외선 사진으로 적외선 에너지로 방출되고 있는 열을 볼 수 있다. 구름이 겹쳐진 차가운 지역은 검게 ..
2020.05.16 -
루만 16A(Luhman 16A)에서 측정된 줄무늬 구름
그림 1> 천문학자들이 루만 16A(Luhman 16A)라는 갈색왜성에 줄무늬 패턴을 이루는 구름이 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이 상상화는 루만 16A를 그린 것이다. 구름 띠는 편광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추론된 것이다. 편광된 빛은 빛을 차단하는 편광 선글라스와 상당히 비슷한 천체물리학적 물체에 의해 측정되었다. 갈색왜성의 구름 패턴을 측정하는데 편광측정 기술이 활용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왼쪽에 보이는 붉은색 천체는 루만 16A의 동반 천체인 루만 16B를 그린 것이다. 이 이중천체계는 지구로부터 6.5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천문학자들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갈색왜성으로 알려진 루만 16A(Luhman 16A)에서 목성이나 토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구름띠의 신호를 포착했다. 과학자들이 태양..
2020.05.15 -
WASP-79b :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는 외계행성
그림 1> 이 상상화는 780광년 거리에 있는 뜨거운 목성형 외계행성 WASP-79b를 그린 것이다. 이 행성은 태양보다 훨씬 뜨거운 자신의 별을 불안정하게 바짝 붙은 궤도로 공전하고 있다. 이 행성은 목성보다 더 크고, 섭씨 1600도로 들끓는 깊고 탁한 대기에 둘러싸여 있다. 뜨거운 목성급의 외계행성 WASP-79b의 일기예보를 전해드리자면 뜨거운 증기가 가득하겠고, 구름이 많아 강철비가 내리고 노란 하늘이 뒤덮고 있을 것입니다. 허블우주망원경은 이 행성의 대기를 분석하기 위해 칠레에 있는 마젤란 콘소시엄의 마젤란II망원경과 팀을 구성하였다. 이 행성은 태양보다 더 뜨겁고 더 밝은 별인 WASP-79를 공전하고 있다. 이 별은 에리다누스자리 방향으로 780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다. WASP-79b는 ..
2020.05.11 -
파괴되고 있는 C/2019 Y4 아틀라스 혜성
Credit: NASA, ESA, D. Jewitt (UCLA), Q. Ye (University of Maryland) 사진 1> 허블우주망원경이 C/2019 Y4 아틀라스 혜성의 파괴 양상을 최상의 해상도로 잡아냈다. 4월 20일 사진에서는 약 30개의 파편을 식별할 수 있으며 4월 23일 사진에서는 25개로 나뉘어진 혜성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혜성은 2019년 12월 미국 하와이의 소행성충돌경보시스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혜성의 파편화는 2020년 4월에 확인되었다. 이 혜성은 3월 중순까지 빠르게 밝아졌으며 몇몇 천문학자들은 초반부터 5월이 되면 이 혜성이 눈으로도 볼 수 있을만큼 밝아져 최근 20여년 내에 가장 볼만한 혜성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이 혜성은 돌연 희미해졌다. 천문학자..
2020.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