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3703)
-
Gaia BH3 : 우리은하에서 발견된 가장 무거운 별질량블랙홀
그림 1> 이 상상화는 '가이아 BH3(Gaia BH3)'으로 명명된 블랙홀과 그 짝꿍별을 그린 것이다. 짝꿍별의 요동은 수 년에 걸친 가이아 미션을 통해 측정되었다. 천문학자들이 우리 은하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무거운 별질량블랙홀을 발견했다. 이 블랙홀은 유럽우주국이 가이아 미션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에서 특정되었는데 이 블랙홀의 주위를 도는 짝꿍별의 요동을 통해 추정되었다. 유럽남부천문대의 초거대망원경(Very Large Telescope, 이하 VLT) 및 다른 천문대의 관측 데이터에 따르면 이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질량의 33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별질량블랙홀( Stellar black hole)이란 무거운 별의 붕괴로부터 생겨나는 블랙홀을 말한다. 지금까지 우리은하..
2024.05.12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말머리 성운(Barnard 33)
왼쪽 사진은 2023년 11월, 유럽우주국(ESA) 유클리드 망원경이 촬영한 말머리 성운의 모습이다. 가운데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근적외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것으로 2013년 허블 발사 23주년을 기념하여 발표한 사진이다. (참고 링크 : 허블발사 23주년 기념 릴리즈 )이 사진을 통해 먼지에 가려져 있던 섬세한 구조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오른쪽 사진은 이번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NIRCam으로 촬영한 것이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밤하늘에서 가장 독특한 천체중 하나인 말머리 성운( the Horsehead Nebula)을 고해상도 적외선 영상으로 촬영해냈다. 사진은 말머리 성운의 상단 '갈기' 부분을 촬영한 것으로 사진의 폭은 약 0.8광년이다.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장착된 N..
2024.04.30 -
초기 은하의 별 생성 역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은하가 막 생성되던 당시를 추적하여 가장 멀리 떨어진 우주를 탐사하겠다는 약속을 지켰다. 과학자들은 머나먼 우주를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도전적인 관측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활용되기를 기대해왔다. 우리는 카네기 과학관측 연구소(the 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의 명예천문학자 앨런 드레슬러(Alan Dressler)를 초빙하여 허블우주망원경으로부터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이르는 그의 탐사 여정을 들어보았다. 앨런 드레슬러의 주요 관심 분야는 은하의 구조와 형태 변화, 별 생성의 특성 및 속도, 은하가 어떻게 몸집을 불려왔는지에 대한 것이다. 앨런의 설명을 담은 아래 글은 2024년 3월 27일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The Astrophysical ..
2024.04.23 -
초기 우주의 은하는 어떤 모양을 갖고 있을까?
과학자들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초기 우주의 은하를 분석한 결과 동그란 형태의 외형을 가진 은하보다는 길쭉하고 평평한 형태의 은하가 더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 논문의 주저자인 콜롬비아 대학 NASA 허블 연구원인 비라즈 판디야(Viraj Pandya)는 대략 50에서 80%의 은하들이 평평한 2차원 은하였다면서 이러한 형태의 은하는 오늘날 근거리 우주에서는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라서 매우 놀라운 결과였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우주진화초기공개과학탐사 (the Cosmic Evolution Early Release Science, CEERS)를 통해 촬영된 광활한 영역을 담고 있는 근적외선 사진에서 우주의 나이가 6억 년에서 60억 년이었을 당시의 은하를 대상으로 연구하였..
2024.01.19 -
초신성과 중성자별(또는 블랙홀)의 직접적인 연결고리가 밝혀지다.
천문학자들이 무거운 별의 최후와 블랙홀(또는 중성자별) 탄생 간의 직접적 연관성을 찾아냈다. ESO VLT(초거대 망원경, Very Large Telescope)와 NTT(신기술 망원경, New Technology Telescope)를 활용한 두 연구팀이 가까운 은하에서 발생한 초신성 폭발 여파를 관측하였는데 폭발 후 수수께끼의 고밀도 천체가 만들어졌다는 증거를 확인한 것이다.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으면 자체 중력에 빠르게 붕괴되어 초신성이라 알려진 강력한 폭발을 일으킨다. 천문학자들은 폭발 후 초 고밀도의 핵, 또는 잔해가 남는 것으로 믿는다. 최후를 맞은 별이 얼마나 무거우냐에 따라 이 초고밀도 잔해는 중성자 별이 될 수도 있고 블랙홀이 될 수도 있다. 천문학자들은 사건이 이렇게 진행된다는 것을 암시..
2024.01.18 -
레퀴엠(Requiem)과 앙코르(Encore) : 가장 멀리 떨어진 초신성
지난 2023년 11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MACS J0138.0-2155라는 거대한 은하단을 관측한 바 있다. 이때 아인슈타인이 처음 예견한 중력렌즈 현상을 통해 MRG-M0138이라는 머나먼 은하도 발견했다. 이 은하는 MACS J0138.0-2155 은하단의 강력한 중력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은하단이 만들어낸 중력렌즈 효과는 이 머나먼 은하를 확대하고 구부러진 형태로 드러내 준 것 외에도 귀중한 사진 다섯 개도 제공해 주었다. 2019년,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이 2016년에 촬영한 MRG-M013은하 사진에서 초신성이 발견되었다는 놀라운 소식을 접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 또다른 천문학자들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2023년에 촬영한 사진에서 두 번째 초신성을 발견했..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