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천문뉴스 3703

IC 5332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과 허블우주망원경의 사진 비교

이 웅장한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MIRI(the Mid-InfraRed Instrument, 중적외선장비)로 나선은하 IC 5332를 촬영한 것이다. 2,9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IC 5332는 지름 66,000광년으로 우리은하 미리내 대비 2/3정도 크기의 은하이다. 이 은하가 인상적인 점은 우리에게 거의 정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칭형으로 뻗어나간 나선팔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탑재된 MIRI는 중적외선 대역(5 μm ~ 28 μm)에 특화된 유일한 장비로서 다른 장비들은 모두 근적외선 대역에서 관측하는 장비이다. MIRI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여타 장비보다 33도나 낮은 영하 266도에서 작동한다는 것이다. 영하 266도는 절대온도 0도와 고작..

NGC 5086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우주먼지와 별무리가 만든 복잡미묘한 트레이서리(Tracery)무늬가 가득한 이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두 개 장비인 MIRI(중적외선 장비, Mid-Infrared Instrument)와 NIRCam(근적외선 카메라, Near-Infrared Camera)로 촬영된 사진을 합성한 것이다. NGC 5068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가 사진 상단 왼쪽에 보인다. 이 사진은 2023년 6월 2일 폴란드 바르샤바의 코페르니쿠스 사이언스 센터에서 NASA 국장 빌 넬슨(Bill Nelson)에 의해 공개되었다. NGC 5068은 처녀자리방향으로 지구로부터 2천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는 은하의 중심지역을 담은 이 사진은 가까운 은하에서 발생하는 별생성 관측 데이터를 모으는 천문학..

NGC 5068 :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1>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 대역에서 바라본 NGC 5068의 모습이 담겨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발표한 새로운 사진의 전면을 밝은 분홍 빛과 짙은 붉은 빛이 어우러진 다발이 가득 채우고 있다. 이 사진은 막대나선은하 NGC 5068의 사진이다. NGC 5068은 새로운 별들을 빚어내고 있는 수천 개의 별생성 구역과 막대한 양의 성간 먼지를 품고 있다. 영국천문학자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에 의해 1785년 처음 발견된 NGC 5068은 처녀자리의 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지구로부터는 2천만 광년 떨어져 있다.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의 지름을 45,000 광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진 상단 중앙에 보이는 확연히 밝은 막대는 NGC 5068..

테르잔 12 (Terzan 12)

테르잔 12 (Terzan 12)라는 구상성단을 촬영한 이 사진은 우주 공간에 있는 먼지가 별빛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는 멋진 예가 된다. 구상성단(Globular Star Cluster)란 회전 타원체 모양으로 별이 몰려 있는 천체이다. 구상성단의 별들은 상호 중력에 의해 묶여 있으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은 집중 양상을 보인다. 우리은하 미리내는 외곽에 거의 150 개에 달하는 오래된 구상성단을 가지고 있다. 이들 구상성단은 팬케이크 모양의 미리내 평단면 위, 아래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마치 벌집을 도는 벌처럼 공전한다. 테르잔 12는 궁수자리 방향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다. 이것은 미리내 중심을 감싸고 있는 가스와 먼지가 테르잔 12의 별빛을 흡수하고 뒤바꿔 놓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구상성단까..

허블 텐션(Hubble Tension)은 더 깊은 미궁에 빠졌다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허블상수(the Hubble Constant)는 우주가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를 의미하는 상수로서 우주론의 기본적 상수 중 하나이다. 그러나 다양한 관측을 통해 계산된 허블 상수와 빅뱅의 여파인 우주배경복사를 통해 예견된 허블상수와는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 차이를 허블텐션(Hubble Tension)이라 한다. 허블텐션의 가장 강력한 관측 증거 일부를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이 진행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인 존스홉킨스대학 및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의 애덤 리스(Adam Riess)는 허블상수의 국부적 측정치를 개선하기 위해 진행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관측현황을 발표하였다. 다음의 내용은 애덤 리스의 발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사진 설명> 이 사진은 NGC 5584 은하의 사진으로서 제..

110억년 전 은하에서 자기장을 탐지해내다.

천문학자들이 ALMA(the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를 이용하여 110억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는 은하의 자기장을 관측했다. 이 은하는 우주의 나이가 고작 25억 년 밖에 되지 않던 시절의 은하이다. 이번 관측은 우리은하 미리내와 같은 은하의 자기장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 우주에 존재하는 천체는 행성이든 별이든 은하든, 자기만의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2023년 9월 6일 네이처지에 개재된 논문의 주저자인 영국 하트퍼드셔 대학의 천체물리학 교수 제임스 기치(James Geach)는 은하가 수십만 광년에 걸쳐 뻗어있는 자기장에 둘러싸여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허빅하로 211 (HH 211)

허빅하로 천체(Herbig-Haro, 약어 HH)란 갓태어난 어린 별 주위에 형성된 밝은 천체를 말한다. 이 천체는 갓태어난 어린 별로부터 대단히 빠른 속도로 쏟아져나온 폭풍과 제트가 주변에 있는 가스 및 먼지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다. 이 사진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HH 211로서 제로 등급의 원시별에서 쏟아져 나오는 폭풍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중심에 있는 원시별은 고작 수만 년 정도 밖에 안 된 아주 어린 태양과 비슷하며 그 질량은 오늘날 태양 질량 대비 8%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별 역시 결국에는 우리 태양과 같은 별로 성장할 것이다. 적외선 사진은 갓태어난 어린별과 그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폭풍을 연구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왜냐하면 이처럼 어린 별들은 하나같이 두꺼운 분자구름 ..

외계행성 K2-18 b의 대기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발견하다.

지구보다 8.6배 무거운 외계행성 K2-18 b에 대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결과 이 행성의 대기에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유기분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발견으로 K2-18 b 행성은 수소가 풍부한 대기와 표면을 바다가 뒤덮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하이션 외계행성(Hycean exoplanet)으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다. 생명가능구간에 존재하는 이 외계행성의 대기에 대한 연구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이 행성계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왔다. K2-18 b는 사자자리 방향으로 120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K2-18이라는 이름의 난쟁이별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이며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인, 이른바 생명가능구간(the habitable..

PSR J1023+0038 : 독특한 양상을 보이는 펄서

지상과 우주에 있는 무려 12개에 달하는 망원경이 협력한 관측 프로그램을 통해 특이한 행동 양상을 보이는 펄서를 연구하고 있다. 펄서란 빠르게 회전하는 죽은 별을 말한다. 이 펄서는 서로 다른 복사 양상을 보이는 두 개 모드를 지속적으로 왔다갔다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까지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하지만 이번 관측을 통해 대단히 짧은 순간 일어나는 펄서의 물질 방출이 펄서의 독특한 복사 양상 변경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번 논문의 주저자인 마리아 크리스티아 바그리오(Maria Cristina Baglio)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번에 우리는 아주 독특한 우주의 사건을 목격하였습니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고밀도의 작은 천체가 수십초 상관에 엄청난 양의 물질을 뱉어내는 사건이 바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바라본 초신성 1987A (SN 1987A)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그 유명한 초신성 SN 1987A에 대한 관측을 시작했다. 168,000 광년 거리의 대마젤란 은하 내에 자리잡고 있는 SN 1987A는 1987년 2월 처음 발견된 이래 감마선에서 라디오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관측의 대상이 되어왔다. 근적외선 카메라(Near-Infrared Camera, 이하 NIRCam)를 이용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자료는 이 초신성 잔해가 어떤 모양으로 바뀌어가는지 알 수 있는 값진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사진 설명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NIRCam으로 촬영한 SN 1987A의 모습 초신성에서 쏟아져나온 물질들이 중심에 열쇠구멍과 같은 모양을 만들고 있다. 바로 양옆으로 희미한 초승달 형태의 구조가 보이는데 이 구조는 이번 사진에서 처음으로 드러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