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20)
-
토성의 오로라
이 사진은 토성에서 발생하는 오로라의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며칠동안 토성의 남극지방을 관측하면서 토성의 남극상공에서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오로라의 모습을 일련의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이 일련의 사진에서는 마치 지구의 오로라와 같이 매일매일 변화하는 오로라의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며칠간은 극 주변을 회전하다가 또 며칠간은 그대로 정지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지구 오로라의 경우 약 10분 정도의 시간동안 발달하여, 몇 시간 정도만 지속됨에 반하여 토성의 오로라는 항상 밝게 나타나며, 며칠동안 지속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허블과 카시니호에 의해 얻어진 관측자료에 의하면 토성의 오로라는 태양의 자기장 영향보다는 주로 대전입자들로 가득한 태양풍의 압력에 ..
2009.03.19 -
SN 1572
Credit: X-ray: NASA/CXC/SAO; Infrared: NASA/JPL-Caltech; Optical: MPIA, Calar Alto, O. Krause et al. 어떤 별이 이처럼 거대한 버섯을 만들어낸 것일까? 이 사진은 400년 전, 유명한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에 의해서 처음으로 기록된 별의 폭발 결과로 남겨진 이른바 '티코의 초신성' 잔해를 촬영한 최상의 다파장 ..
2009.03.17 -
SN 2004dj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 사진에는 거대한 별이 폭발하면서 2억개의 태양이 쏟아내는 것과 맞먹는 강렬한 빛을 쏟아내고 있는 천체가 담겨있다. 사진의 오른쪽 상단으로 뻗어나가고 있는 이 별 폭발 현상을 '초신성' 현상이라 한다. 이 초신성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너무나 밝아서 그 앞쪽으로 보..
2009.03.17 -
NGC 6514
NGC 6514와 M20으로 등재되어 있는 삼엽성운은 우리은하에서 새로운 별들을 생성하는 구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성운이 삼엽성운으로 불리는 이유는 소규모 천체망원경으로 이 성운을 관측했을때 3개의 대역으로 겹쳐져 있는 짙은 성간먼지들이 이 성운을 삼등분하듯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 성운은 궁수자리방향으로 9천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출처 : The European Homepage for The NASA/ESA Hubble Space Telescope http://www.spacetelescope.org/images/html/opo0417b.html 참고 : M20을 비롯한 각종 성운에 대한 포스팅은 하기 링크 INDEX를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https://big-crunch.tistor..
2009.03.16 -
데이모스
화성은 포보스와 데이모스라는 작은 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사진은 현재 화성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MRO위성(the Mars-orbiting Mars Reconnaissance Orbiter)에 탑재된 HiRISE가 촬영한 사진으로 두 개의 위성 중 규모가 더 작은 위성인 데이모스를 촬영한 것이다. 데이모스는 태양계에서 알려진 위성 중 가장 작은 규모로서 지름은 약 15킬로정도이다. 이처럼 매우 작은 규모인 데이모스는 워싱턴 미해군 천문대에 재직중이던 미국의 천문학자 에이사프 홀(Asaph Hall)에 의해 1877년에 발견되었다. 화성에 두 개의 위성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은 행성운동법칙을 정립한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이미 1610년에 예견되었다. 케플러의 예견은 과학적원리에 기반한 것은 아니었지만 케플러..
2009.03.16 -
SOHO가 촬영한 홍염
우리 태양에 무슨일이 발생했던 것일까? 이 사진은 매우 특이한 형태의 홍염을 촬영한 것이다. 홍염 현상은 태양의 자기장 작용에 의해 태양표면 위로 솟구치는 태양가스구름 현상을 말한다. 태양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SOHO 위성이 2004년에 촬영한 이 사진의 상단에는 태양 표면 위에 떠 ..
2009.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