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546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사라진 별자리'라는 문구가 낯설게 들릴지 모르겠습니다.  별을 잇는 패턴은 전적으로 상상에서 온 것입니다.  따라서 얼마든지 원하는대로 바꿔 그릴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별자리 자체가 만들어질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17세기와 18세기, 하늘 지도를 그리는 것이 한창 유행인 시대에 지도 제작자나 천문학자들이 한 일입니다.  4장에서 소개하는 별자리는 오래 전 별지도에는 등장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별자리들입니다.  다만 최소한 어느 정도 기준을 만족하는 별자리들로 추려보았습니다.  단 한 명의 천문학자가 만든 별자리라든가, 자기 이름이나 후원자 이름을 붙인 별자리라면 본인 마음대로 소개는 할 수 있을지언정 다른 이들로부터 철저하게 무시당했을 겁니다...

STAR TALES 3장 - 번외편 2. 오로라(Aurora)

그림 1 새벽의 문(The Gates of Dawn),  허버트 제임스 드레이퍼(Herbert James Draper, 1864~1920) 저 멀리 동쪽 하늘을 붉게 물들이며 깨어나는 새벽이  장미꽃 가득한 그녀의 침실을 가리는 빛나는 문을 열어젖힌다.영국의 화가 허버트 제임스 드레이퍼가 그린 이 그림은 오비디우스(Ovid, 43BC~17AD)의 에 실린 이 문구를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아우로라(Aurora)는 새벽을 상징하는 로마의 여신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에오스(Eos)로 등장합니다.  천문학에서 말하는 북극광과 남극광의 이름 즉, 아우로라 보레알리스(aurora borealis) 및 아우로라 오스트랄리스(aurora australis)가 바로 아우로라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

STAR TALES 3장 - 번외편 1. 미리내(Milky Way)

미리내는 물론 별자리는 아닙니다.  하지만 수없이 많은 별들이 만들어낸 희미한 은빛 강물이 띠를 이루며 밤하늘을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거대한 띠가 사방을 감싸며 하늘을 가르고 있다'라는 묘사를 남기며 이를 Γάλα(갈라)라고 불렀습니다. Γάλα(갈라)는 '우유'를 뜻합니다.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는 미리내를  Κύκλος Γαλαξίας(퀴클로스 갈락시아스)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우유로 만들어진 고리'를 의미합니다. 헤르쿨레스에게 헤라의 젖을 빨게 하다가 미리내가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바로 에라토스테네스의 이야기입니다.  헤르메스는 갓 태어난 헤르쿨레스를 헤라가 잠들었을 때 헤라의 가슴위에 두었습니다.  헤라는 곧..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8. 황소자리(TAURUS)

소유격 표기 : Tauri 약어 표기 : Tau 별자리 크기 순위 : 17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Ταῦρος (타우로스)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황소자리, 모우자리, 모우좌(牡牛座), 금우궁(金牛宮)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황소자리 황소자리는 날카로운 뿔과 V자 형태로 늘어선 여러 별이 선명하게 머리를 표시해주는 눈에 확연하게 띠는 별자리입니다.  대개 황소자리는 혼외정사를 위해 변신한 제우스로 이야기됩니다.   특히 페니키아의 왕 아게노르(Agenor)의 딸 에우로페(Europa)를 유괴한 황소로 이야기되죠.  에우로파는 해변에서 티레(Tyre)의 소녀들과 어울려 노는 것을..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7. 황새치자리(DORADO)

소유격 표기 : Doradus 약어 표기 : Dor 별자리 크기 순위 : 72번째. 기원 : 케이저와 드 후트만이 만든 12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황새치자리 남반구의 작은 별자리인 황새치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항해가인 피터 디르크스준 케이저(Pieter Dirkszoon Keyser, 1540~1596)와 프레데릭 드 후트만(Frederick de Houtman, 1571~1627)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황새치자리는 1598년 페트로스 프란키우스(Petrus Plancius, 1552~1622)의 천구의에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판본으로 등장한 것은 1603년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를 통해서..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6. 화살자리(SAGITTA)

소유격 표기 : Sagittae 약어 표기 : Sge 별자리 크기 순위 : 86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Ὀϊστός (오이스토스)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화살자리 화살자리는 세 번째로 작은 별자리이며 4등급 이상 밝은 별도 없습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잘 알려져 있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당당히 등록되어 있는 별자리입니다.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화살자리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이 별자리를 '활 없이 홀로 외로이 존재한다.'고 기록했습니다.  이 화살을 쐈을 누군가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습니다.  아라토스와 프톨레..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5. 화로자리(FORNAX)

소유격 표기 : Fornacis 약어 표기 : For 별자리 크기 순위 : 41번째. 기원 : 라카유가 만든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화로자리, 화학로(化學爐)자리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의 희망봉 관측(1751~1752)이후 만들어진 이 별자리는 화학 연구자가 증류실험을 위해 사용하는 화로를 묘사한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에리다누스강자리(ERIDANUS)가 꺾여 돌아가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756년 발행된 남반구 평면천구도에서 라카유는 이 별자리의 이름을 프랑스어로 '화덕'을 의미하는 'le Fourneau'라고 기록하고 그림은 증류기와 증류된 물질을 받아내는 그릇으로 간단..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4. 화가자리(PICTOR)

소유격 표기 : Pictoris 약어 표기 : Pic 별자리 크기 순위 : 59번째. 기원 : 라카유가 만든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화가자리, 화가좌, 이젤자리 화가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남반구 하늘에 만든 과학기구와 예술도구를 상징하는 14개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라카유는 1751년부터 이듬해까지 남아프리카 희망봉에서 남반구 하늘을 관측한 후 이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화가자리는 고대 그리스 별자리 아르고자리(Argo Navis)에서 갈라져 나온 용골자리(CARINA) 바로 아래, 카노우푸스(Canopus) 바로 옆에 위치합니다.  라카유가 화가자리 알파(α), 베타(β)..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3. 현미경자리(MICROSCOPIUM)

소유격 표기 : Microscopii 약어 표기 : Mic 별자리 크기 순위 : 66번째. 기원 : 라카유가 만든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현미경자리, 현미경좌 현미경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만든 별자리로서 과학장비인 현미경을 상징하는 별자리입니다.  라카유가 별자리로 고려한 현미경은 복합현미경으로서 하나 이상의 렌즈를 사용하는 현미경입니다.  이 별자리는 1756년 발표된 라카유의 평면천구도에 'le Microscope'라는 프랑스어로 소개되었습니다. 1763년, 재판본에서는 표기를 라틴어로 바꾸어 'Microscopium(마이크로스코피움)'이라는 라벨을 달았습니다.  라카유는 이..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2. 헤르쿨레스자리(HERCULES)

소유격 표기 : Herculis 약어 표기 : Her 별자리 크기 순위 : 5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Ἐνγόνασι (엔고나시)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헤르쿨레스자리 헤르쿨레스자리는 아주 오래된 별자리로서 고대 그리스에서도 이 별자리의 기원이 무엇인지 알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별자리를 Ἐνγόνασι(엔고나시) 또는 Ἐνγόνασιν(엔고나신)이라 불렀습니다.  이 이름은 '무릎을 꿇은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즉,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헤르쿨레스'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별자리였던 것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시인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이 사람을 '힘든 일에 시달려 옷은 온통 헤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