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7. 황새치자리(DORADO)

2025. 2. 13. 15:01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Doradus
약어 표기 : Dor
별자리 크기 순위 : 72번째.
기원 : 케이저와 드 후트만이 만든 12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황새치자리

남반구의 작은 별자리인 황새치자리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항해가인 피터 디르크스준 케이저(Pieter Dirkszoon Keyser, 1540~1596)와 프레데릭 드 후트만(Frederick de Houtman, 1571~1627)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황새치자리는 1598년 페트로스 프란키우스(Petrus Plancius, 1552~1622)의 천구의에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판본으로 등장한 것은 1603년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를 통해서입니다.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 이름으로는 ' DORADO'가 사용되었습니다. 
황새치 가슴 위로 대마젤란은하가 '큰 구름'이라는 뜻의 'NUBECULA MAJOR'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이 별자리는 화려한 색깔을 가진 만새기를 상징합니다. 
만새기의 학명은 Coryphaena hippurus(코리파이나 히푸루스) 또는 mahi-mahi(마히-마히)라고 합니다. 
이 물고기는 열대바다에서 발견되는 물고기로 연못이나 수족관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금붕어와는 다른 물고기입니다.  

네덜란드의 탐험가들은 날치를 추격하는 거대한 육식동물로서 만새기를 관찰했습니다. 
그래서 밤하늘의 황새치자리는 날치자리(VOLANS)를 쫓아가는 형국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별자리의 표기로는 황새치를 의미하는 'XIPHIAS(지피어스)'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DORADO가 아닌 XIPHIAS가 처음 등장한 곳은 1627년 발행된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30)의 루돌핀 목록(the Rudolphine Tables)입니다. 
XIPHIAS라는 표기는 이후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의 남반구 별지도(1678)와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의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에도 연이어 사용되었습니다.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역시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 XIPHIAS라는 명칭을 사용했습니다. (그림 3 참고)

 

그림 2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의 황새치자리.
그림 1과 달리 별자리 이름으로 사용된 명칭은 'Xiphias'입니다. 


하지만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는 1756년 발행된 남반구 평면천구도에서 원래 이 별자리의 표기인 DORADO를 사용했고 이후 이 표기가 이 별자리의 정식 표기로 굳어졌습니다. 

대마젤란은하와 황새치자리30 성운

황새치자리를 유명하게 만드는 것은 이 별자리에 대마젤란은하 거의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대마젤란은하는 17만 광년 거리에 있는 우리은하 미리내의 위성은하입니다. 

 

유럽만 놓고보면 대마젤란은하가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큰부리새자리(TUCANA)의 소마젤란은하처럼 이탈리아 탐험가 아메리고 베스푸치(Amerigo Vespucci, 1454~1512)의 기록에서입니다.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502년 두 개는 밝고 하나는 어두운 세 개 덩어리가 보인다고 묘사했습니다.  
이 기록은 두 개 마젤란은하 뿐 아니라 천구의 남극을 중심으로 대척지점에 있는 남십자자리(CRUX)의 석탄자루성운(the Coalsack Nebula)을 목격한 기록인 것으로 보입니다. 

또다른 이탈리아 탐험가 안토니오 피가페타(Antonio Pigafetta , 1491~1531)는 1519년부터 1522년까지 진행된 마젤란(Ferdinand Magellan)의 지구일주항해를 함께하면서 '두 개의 구름이 떠 있다. 두 개는 서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약간 희미하다.'라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오늘날 이 두 개 천체는 마젤란은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요한 보데가 우라노그라피아를 출판하던 1801년까지는 라틴어로 '구름'을 의미하는 보통명사복수형인 'Nubeculae(누베꿀레)' 즉, '구름들'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그림 3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20장에 등장하는 황새치자리.

 

이 두 개 '구름'을 마젤란과 연결시켜 부른 이는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였던 로버트 휴즈(Robert Hues)로 보입니다. 
그는 1586년부터 1588년까지, 그리고 1591년부터 이듬해까지 남반구 바다를 탐험하였습니다. 
휴즈는 1594년 발행된 <지구와 그 활용에 대한 논문(Tractatus de globis et eorum usu)>이라는 책에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습니다. 

'우리는 안드레아 코르살리(Andreas Corsalius)가 언급한 바 있는 두 개 구름을 보았다.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두 배 또는 세 배에 가까울 만치 컸다. 
 그리고 그 빛깔은 어느 정도는 미리내 빛깔과 같이 보였다.  
 우리 선원들은 이 천체를 마젤란 구름이라 부르곤 한다.'

 

이 기록에 따르면 당시 이미 두 개 은하의 이름이 마젤란으로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의 기록에서도 확인됩니다. 
1679년 발행된 핼리의 남반구 별목록 말미에는 '뱃사람들이 마젤란의 구름이라 부르는 두 개 성운'이라는 기록이 존재합니다. 

1761년 남반구 성운 목록을 소개한 라카유 역시 이 두 개 성운을 대개 ‘les nuees de Magellan’이라 부른다고 기록했습니다. ‘les nuees de Magellan’은 '마젤란의 구름'을 의미합니다. 

리차드 힌클레이 알렌(R. H. Allen)은 그의 고전 <별 이름, 그 전승과 의미(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라는 책에서 대마젤란성운의 존재는 이미 10세기 아라비아 천문학자 알 수피(al-Ṣūfī )가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 이것은 알 수피가 용골자리(CARINA)와 돛자리(VELA)의 별을 언급한 것을 잘못 이해한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15세기 말 아라비아의 항해가 아마드 이븐 마지드(Ahmad ibn Mājid, 1430 ~ 1500)는 마젤란성운을 관측하고 이를 기록에 남겼습니다. 아라비아에서도 이때까지는 마젤란은하의 존재를 알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확실히 유럽의 발견보다는 앞선 것입니다. 

대마젤란은하는 NGC 2070이라는 거대한 성운을 품고 있습니다. 
이 성운은 오늘날 타란툴라(Tarantula)성운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성운은 너무나 밝아서 요한 바이어, 우라노메트리아에 실린 남반구 별지도에 별 형상으로 그려져 있기도 합니다.(그림 1 참고)  

타란툴라성운은 황새치자리 30(30 Doradus)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 번호는 요한 보데가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부록으로 발행한 <별들의 개요 및 소개(Allgemeine Beschreibung und Nachweisung der Gestirne)>라는 별목록에서 할당한 것입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