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4. 화가자리(PICTOR)

2025. 2. 8. 12:34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Pictoris
약어 표기 : Pic
별자리 크기 순위 : 59번째.
기원 : 라카유가 만든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화가자리, 화가좌, 이젤자리

화가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남반구 하늘에 만든 과학기구와 예술도구를 상징하는 14개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라카유는 1751년부터 이듬해까지 남아프리카 희망봉에서 남반구 하늘을 관측한 후 이 별자리를 만들었습니다. 

화가자리는 고대 그리스 별자리 아르고자리(Argo)에서 갈라져 나온 용골자리(CARINA) 바로 아래, 카노우푸스(Canopus) 바로 옆에 위치합니다. 
라카유가 화가자리 알파(α), 베타(β), 감마(γ), 델타(δ)로 명명한 네 개 밝은 별은 사실 이보다 150여년 전, 네덜란드의 탐험가 프레데릭 드 후트만(Frederick de Houtman, 1571~1627)이 아르고자리의 일부로 기록한 별이었습니다. 

1756년, 라카유가 처음으로 발행한 평면천구도를 보면 라카유가 이 별자리에 처음 지은 이름은 프랑스어로 '이젤과 팔레트자리'를 의미하는 'le Chevalet et la Palette'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부록으로 붙은 별목록에는 이 이름을 단순화하여 '이젤자리'를 의미하는 'le Chevalet'으로 기록하였습니다. 

1756년 발행된 <프랑스왕립과학원사(the Histoir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에 라카유의 남긴 글을 보면 라카유는 이 별자리를 '팔레트가 부착되어 있는 화가의 이젤(Le Chevalet du Peintre, auquel est attache une palette)'이라고 묘사했습니다. 
이후 1763년, 라카유는 이 별자리 이름을 라틴어로 바꾸었는데 그 이름은 '화가의 이젤자리(EQUULEUS PICTORIUS)'였습니다.  

번역자 주
라틴어 'EQUULEUS PICTORIUS'를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화가의 조랑말'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해석하면 뜻이 이상해지고 맙니다. 
사전으로는 전혀 확인되지 않지만 중세시대 화가의 작업도구들이 주로 당나귀에 의해 운반되면서 관행적으로 이 단어가 '이젤'이라는 뜻으로 쓰였다는 주장이 있어 '화가의 이젤자리'로 번역하였습니다. 
(참고자료 : Chartrand, Mark R. III (1982). Skyguide: A Field Guide for Amateur Astronomers. ISBN 0-307-13667-1.)


반면 요한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서 '화가의 작업대'를 의미하는 'PLUTEUM PICTORIS(플루테움 픽토리스)'라는 이름을 달았습니다. 


그림  1
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1801) 20장에는 화가자리가 'PLUTEUM PICTORIS', 즉 '화가의 작업대'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보데는 다른 별자리와 달리 이 별자리에는 라카유가 원전에 표기한 이름을 최대한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화가자리 오른쪽에 밝게 빛나는 별은 아르고 호의 키잡이 노를 상징하는 카노우푸스(Canopus)입니다. 


1844년 영국 천문학자 존 허셜(John Herschel)은 이름을 간단하게 줄여 'PICTOR'로 표기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제안을 프랜시스 베일리(Francis Baily)가 받아들여 1845년 영국학술협회 천체목록(British Association Catalogue)에 'PICTOR'로 표시한 이후 이 이름이 이 별자리의 이름으로 고정되었습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