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1. 18:54ㆍ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Sagittae
약어 표기 : Sge
별자리 크기 순위 : 86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Ὀϊστός (오이스토스)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화살자리
화살자리는 세 번째로 작은 별자리이며 4등급 이상 밝은 별도 없습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잘 알려져 있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당당히 등록되어 있는 별자리입니다.
![]() |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화살자리 |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이 별자리를 '활 없이 홀로 외로이 존재한다.'고 기록했습니다.
이 화살을 쐈을 누군가에 대한 기록은 전혀 없습니다.
아라토스와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자리를 그리스어 Ὀϊστός(오이스토스)로 표현하였습니다.
반면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는 Τόξον(톡손)이란 표기를 사용했습니다.
Τόξον(톡손)은 '화살'이 아닌 '활'을 의미합니다. 즉 에라토스테네스에 따르면 이 별자리는 활자리인 셈입니다.
18세기까지 이 별자리의 이름으로 가장 많이 쓰인 라틴어는 Telum(텔룸)입니다.
Telum은 다트, 또는 창을 의미합니다.
누가 쏜 화살일까?
이 화살을 쏜 사람에 대해서는 최소 3개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선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화살이 아폴론이 키클롭스를 죽이기 위해 쏜 화살이라고 했습니다.
아폴론의 아들 아스클레피오스(Asclepius)가 제우스에게 벼락을 맞아 죽었는데 그 벼락을 키클롭스들이 만들어 바쳤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아스클레피오스는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는 대단한 의사였습니다.
하지만 제우스는 저승의 왕, 하데스의 불만을 듣고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였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아스클레피오스는 땅꾼자리(OPHIUCHUS)로 기억됩니다.
두 번째 이야기는 히기누스(Hyginus) 이야기입니다.
히기누스는 이 화살이 헤르쿨레스가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쪼아먹는 독수리를 죽이기 위해 쏜 화살이라고 했습니다.
프로메테우스는 점토를 빚어 인간을 만들고 제우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선사했습니다.
이때 프로메테우스는 마치 올림픽 성화를 봉송하듯 채소다발에 불을 붙여 날랐다고 하죠.
제우스는 이에 대한 징벌로 프로메테우스를 카프카스 산맥에 묶어 놓고 매일 거대한 독수리를 보내 간을 쪼아먹도록 하는 가혹한 형벌을 내렸습니다.
매일 밤마다 간은 다시 자라났고 독수리는 매일 아침 다시 나타나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쪼아 먹었습니다.
헤르쿨레스는 활을 쏘아 이 독수리를 죽임으로써 프로메테우스를 영원한 형벌에서 해방시켜주었습니다.
마지막 이야기는 게르마니쿠스 카이사르의 이야기입니다.
게르마니쿠스 카이사르(Germanicus Caesar, BC 15~AD 19)는 화살자리를 에로스의 화살로 정의하였습니다.
이 화살 때문에 제우스가 가니메데라는 목동을 사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가니메데는 물병자리(AQUARIUS)로 기억됩니다.
게르마니쿠스에 따르면 이 화살은 제우스의 독수리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며 그래서 화살자리가 독수리자리(AQUILA) 옆에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4.4등급의 화살자리 알파(α)별은 '솀(Sham)'이라고 합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화살'을 의미하는 al-sahm(알 사흠)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화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화살자리 감마(γ)별입니다.
화살자리 감마별은 3.5등급이며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을 화살촉으로 묘사하였습니다.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는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서 화살대를 화살자리 에타(η)별과 세타(θ)별까지 연장시켰습니다.(그림 1)
그러나 화살자리 에타별과 세타별은 프톨레마이오스의 별목록에는 존재하지 않는 별이었습니다.
한편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와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화살의 각도를 살짝 틀어 화살자리 에타별을 화살촉에 놓았고 알파별과 베타별은 화살깃에 놓았습니다.(그림 2)
하지만 원래 프톨레마이오스는 화살자리 알파별과 베타별을 화살대 끝에 놓았습니다.
![]() |
그림 2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화살자리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2. 별자리 이야기 > STAR TA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8. 황소자리(TAURUS) (0) | 2025.02.15 |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7. 황새치자리(DORADO) (0) | 2025.02.13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5. 화로자리(FORNAX) (0) | 2025.02.09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4. 화가자리(PICTOR) (0) | 2025.02.08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83. 현미경자리(MICROSCOPIUM)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