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05)
-
가스다발에 둘러싸인 말머리 성운
오리온 자리에 유명한 성운 중 하나인 말머리 성운은 외로운 천체가 아니다. 장시간 노출을 통해 성운의 깊은 지역을 촬영한 이 사진에는 먼지를 흡수하면서 가스가 불타오르고 있는 방대하고 복잡한 지역의 일부분으로서 사진 중앙 바로 밑에 어두운 필라멘트가 움푹 들어간 형태로 보이고 있다. 말머리 성운 주변의 상세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뉴멕시코 주의 원거리 항성 천문대(Star Shadow Remote Observatory)에서 작은 망원경을 설치한 후 7시간 이상의 노출을 통해 여타 파장을 제외한 수소가스로부터 방출되는 붉은 빛의 특정 파장을 걸러내었다. 그리고 나서 3시간이 넘는 노출을 통해 전체 색채의 이미지를 얻어낸 후 이를 사진에 추가하였다. 그 결과 옛날 초신성 폭발과 현재의 별..
2008.04.12 -
유리 가가린의 지구
1961년 4월 12일, 소련 우주항공사의 유리 알렉세이비치 가가린은 인류 최초의 우주인이 되었다. 가가린은 보스토크 1호 우주선을 타고 320킬로미터 상공으로 올라 지구를 한 바퀴 선회하였다. 우주공간에서 가가린이 보고한 첫번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하늘은 매우 검고 지구는 푸른빛을 띄고 있다. ..
2008.04.12 -
화성의 신비로운 하얀색 바위
화성에서 발견된 이 하얀 바위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이 바위는 예전에는 호수였던 곳이 증발하면서 염분을 함유한 지역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지금까지 이 흔적에 대한 연구는 아무것도 확실히 답해주지 못하고 있다. 주변 지역에 침식현상으로 나타나는 밝은 물질들은 이 지역이 밀도가 낮은 물질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려주는데 화산재나 바람에 의해 형성된 먼지들로 구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하얀 바위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모래들간의 뚜렷한 명암대비는 이곳을 구성하고 있는 모래들의 특이한 색채가 혼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이 사진은 현재 화성궤도를 공전하고 있는 마스 익스프레스 호에 의해 촬영되었다. 행성과학자인 Emily Lakdawalla와 그의 동료들은 화성의 이 특이..
2008.04.11 -
오리온 벨트의 남쪽 지역
이 사진에서 오리온 벨트를 찾을 수 있는가? 육안으로 쉽게 관측되는 오리온 벨트로 알려진 이 친숙한 3개의 별은 이 사진의 상단 왼쪽에 위치해 있다. 한편, 오리온 별자리의 남쪽 구역을 촬영한 이 사진에서는 오리온 벨트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알니탁 (Alnitak) 부근을 고감도 광대역 사진으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알니탁의 왼쪽에 나타나고 있는 것은 불타오르고 있는 성운으로서 검은 먼지 선들과 함께 밝은 복사를 방출하는 구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알니탁의 바로 아래를 확대해서 관찰하면 말머리 성운을 볼 수 있다. 오리온 성운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좀 떨어진 곳에는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M42가 자리잡고 있다. 이 사진에서 오른쪽 하단에 가장 밝게 나타나고 있는 별이 리겔(Rigel)이다.이 밝고..
2008.04.11 -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M104)
허블우주 망원경이 메시에 104번째 천체이며, 가장 장엄하고 유명한 은하중 하나인 솜브레로 은하에 레이저 초점을 맞추는 훈련을 했다. 이 은하를 특징짓는 요소는 은하의 나선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두꺼운 먼지팔과 여기에 둘러싸인 매우 환하게 빛나는 구체 핵이다. 지구에서 바라보는 각도에서 이 은하는 거의 모서리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보는 각도는 이 은하평면의 적도면에서 북쪽으로 약 6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이 찬란한 은하의 이름은 솜브레로(Sombrero)로 명명되었는데 넓은 챙과 맥고모자 형태의 멕시코 전통모자인 솜브레로를 빼닮았기 때문이다. 이 은하의 상대 밝기 등급은 8등급으로 육안으로 관측가능한 한계를 약간 벗어나고 있어 소규모의 망원경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솜브레로 은하는 처녀자리 은하..
2008.04.10 -
대 마젤란 성운
마치 나선 은하처럼 보이는 이 사진은 대 마젤란 성운(Large Magellanic Cloud, LMC)으로 우리 은하의 가장 큰 위성 은하이다. 대 마젤란 성운은 혼란스럽게 보이는 외양으로 인해 불규칙 왜소은하로 분류되고 있다. 이 사진은 마젤란 성운의 깊고, 넓은 지역을 촬영하여 대 마젤란 성운의 보다 확장된 전체 형태를 볼 수 있게 해 준다. 놀랍게도 더 오랫동안 노출을 지속하면 할수록 대 마젤란 성운이 마치 막대나선형 은하의 모습을 닮은것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대 마젤란 성운은 황새치 자리(Dorado) 방향으로 18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1만 5천 광년의 너비로 뻗어있는 대 마젤란 성운에는 현대에 발견된 초신성 중 가장 밝고 가장 가까이 위치한 SN1987A가 자리잡고 있다. 소 ..
2008.04.10